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한 장애영․유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실태와 요구 = A Study on the Compilation and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Curricula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Using Focus Group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8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ilation and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curricula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nd the relevant needs of teachers in our countr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 teachers a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clusive education institutions, day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inclusive daycare centers attended by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deal with five selected themes: opinions on the compilation and management of existing curricula, suggestions about curriculum compilation, suggestions about curriculum management, suggestions about curriculum evaluation and suggestions about materials for curriculum compilation and management.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teachers investigated modified the national curricula in diverse ways, and they were thrown into confusion and faced difficulties in that process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he absence of curriculum for infant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s a consequence, they asked for guidelines about the general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nd for materials about curriculum compilation and management involving plenty of applicable and specific exampl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ilation and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curricula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nd the relevant needs of teachers in our countr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 teachers at ear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pilation and management of early childhood curricula for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nd the relevant needs of teachers in our countr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 teachers a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inclusive education institutions, day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and inclusive daycare centers attended by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deal with five selected themes: opinions on the compilation and management of existing curricula, suggestions about curriculum compilation, suggestions about curriculum management, suggestions about curriculum evaluation and suggestions about materials for curriculum compilation and management. As a result, it's found that the teachers investigated modified the national curricula in diverse ways, and they were thrown into confusion and faced difficulties in that process for various reasons such as the absence of curriculum for infants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s a consequence, they asked for guidelines about the general developmental stages of preschoolers with special needs and for materials about curriculum compilation and management involving plenty of applicable and specific exampl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장애영․유아가 재원(학)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육기관, 통합교육기관, 장애전담 보육기관과 통합보육기관의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장애영유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련한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고자 포커스 그룹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면담은 2007년 7월 20일에 실시되었으며, 면담결과는 연속적 비교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면담은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영․유아부분의 편성 운영에 대한 의견, 교육과정 편성의 실태,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 교육과정 평가의 실태와 향후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에 대한 제안이라는 다섯 가지의 주제에 대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현장의 교사들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영아교육과정의 부재 및 장애영유아의 개별적 특성과 요구에서 오는 어려움들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요소들로 교육과정의 편성․운영과정에 혼란과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개별적 특성을 지닌 장애영․유아 교육 및 보육을 위해서는 향후 일반적인 발달단계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함께 현장적용이 가능 하도록 장애영∙유아에 대한 구체적이고 풍부한 예시자료를 포함하는 수준에서의 편성․운영 자료가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장애영․유아가 재원(학)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육기관, 통합교육기관, 장애전담 보육기관과 통합보육기관의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장애영유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장애영․유아가 재원(학)하고 있는 유아특수교육기관, 통합교육기관, 장애전담 보육기관과 통합보육기관의 교사 17명을 대상으로 장애영유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관련한 실태 및 요구를 알아보고자 포커스 그룹면담(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포커스 그룹면담은 2007년 7월 20일에 실시되었으며, 면담결과는 연속적 비교법에 의해 분석되었다. 면담은 2008년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영․유아부분의 편성 운영에 대한 의견, 교육과정 편성의 실태,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 교육과정 평가의 실태와 향후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에 대한 제안이라는 다섯 가지의 주제에 대해서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현장의 교사들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다양한 형태로 변형 및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영아교육과정의 부재 및 장애영유아의 개별적 특성과 요구에서 오는 어려움들을 포함한 여러 가지 요소들로 교육과정의 편성․운영과정에 혼란과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개별적 특성을 지닌 장애영․유아 교육 및 보육을 위해서는 향후 일반적인 발달단계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함께 현장적용이 가능 하도록 장애영∙유아에 대한 구체적이고 풍부한 예시자료를 포함하는 수준에서의 편성․운영 자료가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임, "특수학교 유치부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연구" 4 (4): 17-37, 2002

      2 장선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국립특수교육원 2006

      3 강영택, "특수학교 교육과정 현장 적합성 검토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7

      4 교육과학기술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6 안병환, "특수교육 연구방법"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7 이미애,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유아 중재 연구 동향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21-40, 2008

      8 성동학교, "청각장애영아 무상교육 지원방안"

      9 김병하 역, "질적연구의 이해와 실천"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3

      10 백유순, "조기 중재 및 유아특수교육에서의 가족중심 실제를 위한 실천 과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89-111, 2008

      1 한경임, "특수학교 유치부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질적연구" 4 (4): 17-37, 2002

      2 장선희,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국립특수교육원 2006

      3 강영택, "특수학교 교육과정 현장 적합성 검토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7

      4 교육과학기술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해설"

      5 교육과학기술부, "특수학교 교육과정"

      6 안병환, "특수교육 연구방법"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1

      7 이미애, "통합 환경에서의 장애유아 중재 연구 동향 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21-40, 2008

      8 성동학교, "청각장애영아 무상교육 지원방안"

      9 김병하 역, "질적연구의 이해와 실천"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3

      10 백유순, "조기 중재 및 유아특수교육에서의 가족중심 실제를 위한 실천 과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8 (8): 89-111, 2008

      11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지원법 (2007. 5. 25). 법률 제8483호"

      12 홍은숙, "장애영아교육 및 조기개입의 개선 방안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59-284, 2008

      13 희망학교, "장애영아 및 가족지원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수요자 만족도 향상방안"

      14 최민숙, "장애아동을 위한 가족참여와 지원" 학지사 2007

      15 이소현, "장애 영유아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한 질적 구성 요소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6 (6): 83-107, 2006

      16 박계신,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진전 점검 활동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 및 요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31-66, 2006

      17 김하종,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육평가 실제에 대한 연구" 4 (4): 79-104, 2004

      18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기관에서의 장애유아 교육진단 및 교육과정 운영 실태 조사" 한국특수교육학회 36 (36): 191-212, 2002

      19 김성애, "우리나라 특수교사의 자질 및 교사양성 과제에 관한 논의"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95-121, 2008

      20 김성애,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른한국 유아특수교육의 과제 및 해결방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7 (7): 111-139, 2007

      21 McLean,M.E., "The DEC Recommended Practice in early interven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ocial validation" 25 (25): 120-128, 2002

      22 Sandall,S., "Qualitative research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5 (25): 129-136, 2002

      23 Odom,S.L., "Evidence-based practice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ingle subject design research" 25 : 151-160, 2002

      24 Sandall,S., "DED recommended practice in early interventi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opris West. 2002

      25 Dyck.N., "A recipe for efficient co-teaching" 30 (30): 43-45,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