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함께 쓰기활동에서 나타나는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상호작용 특성 = A Study on Types of Mother-Child Joint Writing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28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mother-child joint writing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ternal mediation in writing task according to the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10children with hearing loss and their mother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writing proficiency: high performing group, low performing group. Researchers recorded mother-child joint writing activities on videotapes and transcrib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graphophonemic mediation, the type that mothers encouraged their children to write by themselves was most frequently, then was followed by the type of giving children a model to copy and the type of dictating the required letter name. In the atmosphere, neutral atmosphere was most frequently, then was followed by positive atmosphere, negative atmosphere. In the linguistic feedback, ‘no feedback' was most frequently, then was followed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Second, in the graphophonemic mediation mothers in high performing group most frequently showed the type that mothers encouraged their children to write by themselves, and mothers in low performing group mainly showed the type of giving children a model to copy. Mother's demand for precision in high performing group was low, but mother's demand for precision in low performing group was high. In the atmosphere, the mothers in high performing group mainly created neutral atmosphere, but the mothers in low performing group mostly created positive atmosphere. As for mother-child collaboration, the mothers in two groups mainly collaborated with their children, but the mothers in low performing group also showed the type of ‘partially acceptance’ and ‘neglect’. In the linguistic feedback, ‘no feedback' was most frequently in all two groups, then was followed by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This study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the types of joint writing interaction that could facilitate literacy skills at home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mother-child joint writing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ternal mediation in writing task according to the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of hearing 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mother-child joint writing interaction among children with hearing lo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aternal mediation in writing task according to the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of hearing impair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10children with hearing loss and their mother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writing proficiency: high performing group, low performing group. Researchers recorded mother-child joint writing activities on videotapes and transcrib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graphophonemic mediation, the type that mothers encouraged their children to write by themselves was most frequently, then was followed by the type of giving children a model to copy and the type of dictating the required letter name. In the atmosphere, neutral atmosphere was most frequently, then was followed by positive atmosphere, negative atmosphere. In the linguistic feedback, ‘no feedback' was most frequently, then was followed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Second, in the graphophonemic mediation mothers in high performing group most frequently showed the type that mothers encouraged their children to write by themselves, and mothers in low performing group mainly showed the type of giving children a model to copy. Mother's demand for precision in high performing group was low, but mother's demand for precision in low performing group was high. In the atmosphere, the mothers in high performing group mainly created neutral atmosphere, but the mothers in low performing group mostly created positive atmosphere. As for mother-child collaboration, the mothers in two groups mainly collaborated with their children, but the mothers in low performing group also showed the type of ‘partially acceptance’ and ‘neglect’. In the linguistic feedback, ‘no feedback' was most frequently in all two groups, then was followed by positive feedback, negative feedback. This study provided the information about the types of joint writing interaction that could facilitate literacy skills at home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함께 쓰기활동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상호작용 특성과 청각장애유아의 쓰기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청각장애유아 10명과 그들의 건청어머니 10명에게 함께 쓰기과제를 실시하여 상호작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자소음소 지도에 있어서는 유아가 전체적인 과정을 독립적으로 쓰도록 격려하는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정확성 요구하기에 있어서는 교정에 초점을 두고 자녀가 철자와 단어를 정확하게 쓰도록 요구하는 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분위기에 있어서는 중립적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상호성에 있어서는 상호협력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언어적 피드백에 있어서는 언급 없음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자소음소 지도에 있어서 상집단은 유아가 전체적인 과정을 독립적으로 쓰도록 격려하는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 하집단은 어머니가 단어를 말하고 단어를 보여주면서 베껴 써보게 하는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정확성 요구하기에 있어서 상집단은 쓴 결과에 대해 거의 언급을 하지 않는 유형이 가장 많은 반면 하집단은 만족스러운 산출이 아닐 때 교정을 요구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다. 분위기에 있어서 상집단은 중립적 분위기에 치중되어 있는 반면 하집단은 온화한 분위기가 가장 두드러졌다. 상호성에 있어서는 상하집단 모두 상호협력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상집단에서는 상호협력 유형만 나타났으며 하집단에서는 일부 수용 및 거부무시 유형도 같이 나타났다. 언어적 피드백에 있어서는 상하집단 모두 언급없음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의 문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가정에서 행해질 수 있는 쓰기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함께 쓰기활동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상호작용 특성과 청각장애유아의 쓰기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청각장애유아 10명과 ...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와 그들의 어머니간의 함께 쓰기활동에서 나타나는 전반적인 상호작용 특성과 청각장애유아의 쓰기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특성을 살펴보았다. 청각장애유아 10명과 그들의 건청어머니 10명에게 함께 쓰기과제를 실시하여 상호작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반적으로 자소음소 지도에 있어서는 유아가 전체적인 과정을 독립적으로 쓰도록 격려하는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정확성 요구하기에 있어서는 교정에 초점을 두고 자녀가 철자와 단어를 정확하게 쓰도록 요구하는 유형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전반적으로 분위기에 있어서는 중립적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고, 상호성에 있어서는 상호협력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언어적 피드백에 있어서는 언급 없음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둘째, 자소음소 지도에 있어서 상집단은 유아가 전체적인 과정을 독립적으로 쓰도록 격려하는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은 반면 하집단은 어머니가 단어를 말하고 단어를 보여주면서 베껴 써보게 하는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정확성 요구하기에 있어서 상집단은 쓴 결과에 대해 거의 언급을 하지 않는 유형이 가장 많은 반면 하집단은 만족스러운 산출이 아닐 때 교정을 요구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다. 분위기에 있어서 상집단은 중립적 분위기에 치중되어 있는 반면 하집단은 온화한 분위기가 가장 두드러졌다. 상호성에 있어서는 상하집단 모두 상호협력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나, 상집단에서는 상호협력 유형만 나타났으며 하집단에서는 일부 수용 및 거부무시 유형도 같이 나타났다. 언어적 피드백에 있어서는 상하집단 모두 언급없음 유형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각장애유아의 문해를 촉진시키기 위해 가정에서 행해질 수 있는 쓰기활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선하, "한국 유아의 창안적 철자 발달 과정 분석"

      2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3

      3 김선영,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79-199, 2008

      4 김남희,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5 DeBaryshe,B., "What a parent brings to the table: Young children writing with and without parental assistance" 28 (28): 71-90, 1996

      6 Aram,D., "The role of maternal mediation of writing to kindergartners in promoting literacy in school: A longitudinal perspective" 17 (17): 387-409, 2004

      7 Aram,D, "Sensitivity and consistency of maternal writing mediation to twin kindergartners" 18 (18): 71-92, 2007

      8 Haney,M., "Relationships between parent-teaching activities and emergent literacy in preschool children" 174 (174): 215-228, 2004

      9 Spira,E.G., "Predicting improvement after first-grade reading difficulties:. The effects of oral language, emergent literacy, and behavior skills" 41 (41): 225-234, 2005

      10 Aram,D., "Mother-child joint writing in low SES sociocultural factors, maternal mediation, and emergent literacy" 16 (16): 831-852, 2001

      1 조선하, "한국 유아의 창안적 철자 발달 과정 분석"

      2 김영태, "취학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도서출판 특수교육 2003

      3 김선영, "청각장애유아-어머니간의 책읽기 상호작용 유형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7 (47): 179-199, 2008

      4 김남희, "유아기초학습기능검사 개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5

      5 DeBaryshe,B., "What a parent brings to the table: Young children writing with and without parental assistance" 28 (28): 71-90, 1996

      6 Aram,D., "The role of maternal mediation of writing to kindergartners in promoting literacy in school: A longitudinal perspective" 17 (17): 387-409, 2004

      7 Aram,D, "Sensitivity and consistency of maternal writing mediation to twin kindergartners" 18 (18): 71-92, 2007

      8 Haney,M., "Relationships between parent-teaching activities and emergent literacy in preschool children" 174 (174): 215-228, 2004

      9 Spira,E.G., "Predicting improvement after first-grade reading difficulties:. The effects of oral language, emergent literacy, and behavior skills" 41 (41): 225-234, 2005

      10 Aram,D., "Mother-child joint writing in low SES sociocultural factors, maternal mediation, and emergent literacy" 16 (16): 831-852, 2001

      11 Stobbart C., "Home-based literacy experiences of severely to profoundly deaf preschoolers and their hearing parents" 20 (20): 139-153, 2008

      12 Williams,C.L, "Emergent literacy of deaf children" 9 (9): 352-365, 2004

      13 Aram,D., "Early literacy of kindergartner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role of mother-child collaborative writing" 28 (28): 31-41, 2008

      14 Aram,D., "Early literacy of kindergartner with hearing impairment: The role of mother-child collaborative writing" 28 (28): 31-41, 2007

      15 Sénéchal,M., "Differential effects of home literacy experiences on the development of oral and written language" 33 (33): 96-116, 1998

      16 Diamond,K.E., "Development in early literacy skills during the pre-kindergarten year in Head Start: Relations between growth in children’s writing and understanding of letters" 23 (23): 467-478, 2008

      17 Aram,D., "Contributions of mother-child storybook telling and joint writing to literacy development in kindergartners with hearing loss" 37 (37): 209-223, 2006

      18 Whitehurst, G. J., "Child development and emergent literacy" 69 (69): 848-872, 1998

      19 Ruiz,N.T, "A young deaf learns to write: Implications for literacy development" 49 (49): 206-217,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