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 =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233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생태계의 환경보호는 세기의 문제가 되었다. 환경문제는 본질상 자연의 생태계와 인간의 사회체계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므로 그 복잡성이 배가 될 것임을 예상...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 생태계의 환경보호는 세기의 문제가 되었다. 환경문제는 본질상 자연의 생태계와 인간의 사회체계가 교차하는 지점에 있으므로 그 복잡성이 배가 될 것임을 예상할 수 있는 일이다. 이처럼 지구환경에 관한 녹색담론은 복잡한 환경과 생태계의 문제를 함께 지니고 있다. 여기서는 전통문화에 나타난 생태주의의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조선시대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사상과 환경담론을 분석하여 그 의미가 시사하고 있는 바를 살펴보았다. 자연시조란 조선시대 선비들이 자연과 함께 살아가면서 전원생활과 산수자연 그리고 생활현장에서 생태계의 자연을 노래한 일련의 시조를 의미한다.
      자연시조는 그 주제와 지구환경에 관련된 녹색담론의 의식지향에 따라서 크게 세 갈래로 나누어질 수 있다. ‘자연으로 돌아가자!’라는 표어를 강조하면서 귀향이나 귀거래를 통해서 귀향의식의 주제를 설파하는 전원시조, ‘자연과 함께 공생하자!’라는 표어로 정리할 수 있는 규범과 함께 강호가도와 자연의 흥취를 노래하는 산수시조, ‘자연을 이용하자!’라는 표어로 정리하여 농촌현실과 생활현장을 묘사하고 전달하는 생활시조가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자연시조들은 세속적인 가치를 부정하면서 자연과 함께 행복한 생활을 영위하고 조화롭게 살아가야 한다는 공통된 녹색담론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처럼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전원시조, 산수시조, 생활시조 등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 조선전기 전원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귀거래를 통한 귀향의식을 주된 미의식으로 하면서 녹색낭만주의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으며, 16세기 산수시조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대등한 관계에서 산수자연을 통해 예술미를 발견하는 녹색합리주의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고, 조선후기 생활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은 생활의 체험을 위주로 하여 생산성의 발전을 기대하면서 자연을 잘 활용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이라 할 수 있는 녹색경제주의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21세기 우리나라의 자연환경에 관련된 생태문제는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연합하여 생태계 파괴문제를 쟁점화하면서 평행선을 달리며 투쟁하고 있는 현상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생태계 파괴라는 무지에서 탈출해 나가려고 노력하는 현대인들에게 조선시대 자연시조에 나타난 녹색담론을 살펴봄으로써 그 대안을 모색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meanings of the discourse on ecologism in Nature Sijo. Sijo. Nature Sijo are a group of short poems written by the Sarim, literati authors of the mid Chosun period who removed themselves from the politic...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and meanings of the discourse on ecologism in Nature Sijo. Sijo. Nature Sijo are a group of short poems written by the Sarim, literati authors of the mid Chosun period who removed themselves from the political struggle of the time, retired to the countryside, gained enlightenment concerning the laws of nature and then expressed their own individual world views through poetry. A focus was particularly placed on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as the investigator reviewed Green Romanticism, Green Rationalism and Green Economicism related to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traditional culture.
      Nature Sijo of Chosun have three type as Pastoral Sijo, Scene Sijo and Life Sijo. In short, Korea’s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was initated with the integration with Orental ideology. Firstly Pastoral Sijo with Green Romant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Return to Nature’, secondly Scene Sijo with Green Rational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Symbiosis to the nature’, and thirdly Life Sijo with Green Economicism were derived to the theme : ’Improve to the nature’.
      The discourse of ecologism in Nature Sijo that can make active responses to the changes of reality and cause fundamental change of human is possible when those ideologies are combined togeth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글
      • 2. 자연으로 회귀를 노래하는 전원시조
      • 3. 자연과 공생을 추구하는 산수시조
      • 4. 자연을 활용하는 생활시조
      • 〈국문초록〉
      • 1. 머리글
      • 2. 자연으로 회귀를 노래하는 전원시조
      • 3. 자연과 공생을 추구하는 산수시조
      • 4. 자연을 활용하는 생활시조
      • 5. 마무리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2 김욱동, "한국의 녹색문화" 문예출판사 2000

      3 김천택, "진본 청구영언" 명문당 1957

      4 죤 S. 드라이제크, "지구환경정치학 담론" 에코 2005

      5 위백규, "존재전서" 경인문화사 1974

      6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동광당서점 1937

      7 이민홍, "조선 중기 시가의 이념과 미의식" 형설출판사 1985

      8 메리 에벌린터커, "유학사상과 생태학" 예문서원 2010

      9 도정일,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민음사 1994

      10 김복근, "생태주의 시조론" 도서출판 경남 2009

      1 박희병, "한국의 생태사상" 돌베개 1999

      2 김욱동, "한국의 녹색문화" 문예출판사 2000

      3 김천택, "진본 청구영언" 명문당 1957

      4 죤 S. 드라이제크, "지구환경정치학 담론" 에코 2005

      5 위백규, "존재전서" 경인문화사 1974

      6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동광당서점 1937

      7 이민홍, "조선 중기 시가의 이념과 미의식" 형설출판사 1985

      8 메리 에벌린터커, "유학사상과 생태학" 예문서원 2010

      9 도정일, "시인은 숲으로 가지 못한다" 민음사 1994

      10 김복근, "생태주의 시조론" 도서출판 경남 2009

      11 류해춘, "산수시조에 나타난 여가활동의 양상" 한국시조학회 (31) : 45-75, 2009

      12 조동일, "산수시의 경치, 흥취, 주제" 국어국문학회 (98) : 1987

      13 손오규, "산수문학연구" 부산대학교출판부 1994

      14 김신중, "사시가형 시조의 강호인식" 한국시조학회 8 : 1992

      15 이황, "도산전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6 이황, "도산십이곡"

      17 최진원, "국문학과 자연" 성균관대출판부 1977

      18 김흥규, "강호자연과 정치현실, In 고전시가론" 새문사 1984

      19 崔東國, "朝鮮朝 山水詩歌의 理念과 美意識 硏究"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20 金碩會, "存齋 魏伯珪의 生活詩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21 김상진, "<고산구곡가>의 성리학적 생태인식" 한국시조학회 (20) : 51-74, 2004

      22 辛映明, "16세기 江湖時調의 연구 : 政治的·哲學的 性格을 중심으로"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0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