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과정의 지역화와 교사의 역할 =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mplied in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6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mplied in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They say that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s to hand over school subjects to students mechanically. This point of view never appear without separating between teacher and school subjects. The school subjects separated from teacher mean the language consists in surface of school subjects. So the aim of teaching school subjects is understood as transmitting the language to students without the meaning. In this case,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have nothing to do with self-cultivation of students.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suggests alternative view for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To localize the curriculum, teacher has to make use of the theory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But his doing is understood not as mechanical application of the theory, but as externalization of his mind to curriculum. In this respect, it is a mistake to regard curriculum separated with teacher's mind. So do school subjects, because they represent the curriculum. Teaching school subjects is par excellence externalization of teacher's mind. Consequently,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awake us ideal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through continuity between teacher and school subjec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mplied in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They say that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s to hand over school subjects to students me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icate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mplied in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They say that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is to hand over school subjects to students mechanically. This point of view never appear without separating between teacher and school subjects. The school subjects separated from teacher mean the language consists in surface of school subjects. So the aim of teaching school subjects is understood as transmitting the language to students without the meaning. In this case,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have nothing to do with self-cultivation of students.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suggests alternative view for the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To localize the curriculum, teacher has to make use of the theory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But his doing is understood not as mechanical application of the theory, but as externalization of his mind to curriculum. In this respect, it is a mistake to regard curriculum separated with teacher's mind. So do school subjects, because they represent the curriculum. Teaching school subjects is par excellence externalization of teacher's mind. Consequently, the concept of curriculum localization awake us ideal role of teacher in teaching school subjects through continuity between teacher and school su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과교육에서 교사의 주된 역할은 통념상 이미 주어져 있는 교과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데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교사의 역할에 관한 이러한 통념이 가정하는 교사와 교과의 분리는 그로 하여금, 교과 속에 들어있는 심오한 의미를 전수하는 일과는 무관하게, 그것의 표면을 이루는 문자를 전달하는 데에 집착하도록 이끌 수 있다. 그럴 경우에 교과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심성의 함양과는 무관하게, 교과의 표면에 드러난 문자를 활용하여 당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끄는 일로 전락하게 된다.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은 표면상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교과를 가르치는 식의 외부적인 활동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그 아이디어는 그러한 외부적인 활동이 마음과 그 표현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교육과정의 지역화라는 아이디어는 이와 같이 교사와 교육과정 혹은 교사와 교과를 비분리의 상태로 되돌려 놓는다는 점에서 교과교육이 직면하는 불행한 사태를 극복하는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번역하기

      교과교육에서 교사의 주된 역할은 통념상 이미 주어져 있는 교과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데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교사의 역할에 관한 이러한 통념이 가정하는 교사와 교과의 분리...

      교과교육에서 교사의 주된 역할은 통념상 이미 주어져 있는 교과를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데에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교사의 역할에 관한 이러한 통념이 가정하는 교사와 교과의 분리는 그로 하여금, 교과 속에 들어있는 심오한 의미를 전수하는 일과는 무관하게, 그것의 표면을 이루는 문자를 전달하는 데에 집착하도록 이끌 수 있다. 그럴 경우에 교과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심성의 함양과는 무관하게, 교과의 표면에 드러난 문자를 활용하여 당면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이끄는 일로 전락하게 된다. 교육과정의 지역화가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은 표면상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그것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교과를 가르치는 식의 외부적인 활동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그 아이디어는 그러한 외부적인 활동이 마음과 그 표현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교육과정의 지역화라는 아이디어는 이와 같이 교사와 교육과정 혹은 교사와 교과를 비분리의 상태로 되돌려 놓는다는 점에서 교과교육이 직면하는 불행한 사태를 극복하는 근본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학습과 교수" 교육과학사 196519921998

      2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탐구"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3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문교부 1988

      4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2

      5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2종 교과용도서 집필상의 유의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6 "세계화와 교사혁신:연구자로서의 교사"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5 : 1995

      7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1992

      8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관한 연구" 1988

      9 "교육과정 지역화의 과제와 전망"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37 : 1999

      10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 한국교육개발원 1983

      1 "학습과 교수" 교육과학사 196519921998

      2 "학교중심 교육과정의 탐구"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8

      3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주식회사" 문교부 1988

      4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1992

      5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2종 교과용도서 집필상의 유의점"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9

      6 "세계화와 교사혁신:연구자로서의 교사" 경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5 : 1995

      7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1992

      8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관한 연구" 1988

      9 "교육과정 지역화의 과제와 전망"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37 : 1999

      10 "교육과정 운영의 정상화" 한국교육개발원 1983

      11 "교사와 교육자. 길병희 외 15인(편)." 교육과학사 2004

      12 "교과와 교사" 성경재 2001

      13 "교과서 제도와 교육과정의 이상" 한국초등교육학회. 14 (14): 2001b

      14 "교과교육자로서의 교사" 1981

      15 "교과교육에서의 교사의 위치" 한국도덕교육학회. 13 (13): 2001a

      16 Tanner, "Theory into Practice" Macmillan Co 1980

      17 "The Principles of Art" Oxford University Press 1938

      18 "Teacher's Participation in Curriculum Development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Curriculum" Pergamon Press 1991

      19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임의도 외" 19561966

      20 "Question for Relevance" 1976

      21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1962

      22 "Curriculum Improvement:An Administrator's Guide" Parker Publishing Co 1974

      23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24 "A Language for Curriculum" The Univ of Chicago Press 19691978

      25 "21세기와 교육과정의 지역화: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3 :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2-03-1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5 1.65 1.6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1 1.85 2.063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