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상상의 공동체에 대한 해석-영화<웰컴 투 동막골>의 시선으로 바라본 소설 『邊城』에 대한 斷想 = An Interpretation of Imagined Communities-A Draft on the Novel <BianCheng(󰡔邊城󰡕)>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37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and village people shown in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enabled us to discover director’s will to pursue an invisible imagined community through the movie and the village is forming a place of communi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who dream a new world for an ethnic group through it. Also, the novel 『BianCheng』 shows pure and simple appearance of Miaozu(苗族) by forming an ideal world named ‘chatong(茶?): tea village’ as a manifestation of author‘s patriotism, expressing the author’s will to recover invisible horizontal relationship throughout the war-torn China jumping over Xi?ngx?(湘西) area. Evaluating him simply as a revivalist, purist or pacifist is no more than a very glimpse evaluation of his world of art works. Shen congwen‘s will to pursue such an imagined community introduced in this thesis is not reflected in a variety of evaluations on his work. Thus, this thesis inquired into the possibility of his will toward an imagined ethnic community by comparing through a Korean movie.
      번역하기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and village people shown in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enabled us to discover director’s will to pursue an invisible imagined community through the movie and the village is forming a place of com...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soldiers and village people shown in the movie <Welcome to Dongmakgol> enabled us to discover director’s will to pursue an invisible imagined community through the movie and the village is forming a place of communi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who dream a new world for an ethnic group through it. Also, the novel 『BianCheng』 shows pure and simple appearance of Miaozu(苗族) by forming an ideal world named ‘chatong(茶?): tea village’ as a manifestation of author‘s patriotism, expressing the author’s will to recover invisible horizontal relationship throughout the war-torn China jumping over Xi?ngx?(湘西) area. Evaluating him simply as a revivalist, purist or pacifist is no more than a very glimpse evaluation of his world of art works. Shen congwen‘s will to pursue such an imagined community introduced in this thesis is not reflected in a variety of evaluations on his work. Thus, this thesis inquired into the possibility of his will toward an imagined ethnic community by comparing through a Korean movi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민족 지향성과 민족 공동체 건설에 대한 구상
      • 3. 상상의 공동체에 대한 해석-영화 <웰컴 투 동막골>과 소설 『邊城』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민족 지향성과 민족 공동체 건설에 대한 구상
      • 3. 상상의 공동체에 대한 해석-영화 <웰컴 투 동막골>과 소설 『邊城』
      • 4. 결론
      • 참고문헌
      • 【 논문초록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지인, "沈從文의 ‘湘西鄕土小說’에 나타난 原始信仰의 思惟摸索" 한국중문학회 (30) : 101-129, 2005

      2 沈從文, "沈從文文集, 全卷12" 花城出版社 1982

      3 구경모, "沈從文《邊城》小考 (A study on Shen, Cong-Wen's ≪Bian-Cheng 邊城≫)" 인문과학연구소 38 (38): 283-303, 2011

      4 안승웅, "沈從文 소설의 분류를 통한 작품경향 분석"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64) : 1-25, 2013

      5 홍재범, "희곡의 시나리오 전환과정 고찰(3) -<웰컴 투 동막골>의 경우-" 한국근대문학회 1 (1): 423-448, 2008

      6 서미진,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의 텍스트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34) : 325-365, 2011

      7 한형구, "한국 근대 문학과 ‘민족’(民族)이라는 상상 공동체-민족주의적 정열, 혹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주동력" 한국근대문학회 12 (12): 202-236, 2005

      8 김시준, "중국현대문학사" 지식산업사 1992

      9 홍석표, "중국현대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10 이성민, "주체 없는 공동체: 상상적 전회를 통한 들뢰즈의 내기"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12 (12): 53-72, 2010

      1 정지인, "沈從文의 ‘湘西鄕土小說’에 나타난 原始信仰의 思惟摸索" 한국중문학회 (30) : 101-129, 2005

      2 沈從文, "沈從文文集, 全卷12" 花城出版社 1982

      3 구경모, "沈從文《邊城》小考 (A study on Shen, Cong-Wen's ≪Bian-Cheng 邊城≫)" 인문과학연구소 38 (38): 283-303, 2011

      4 안승웅, "沈從文 소설의 분류를 통한 작품경향 분석"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64) : 1-25, 2013

      5 홍재범, "희곡의 시나리오 전환과정 고찰(3) -<웰컴 투 동막골>의 경우-" 한국근대문학회 1 (1): 423-448, 2008

      6 서미진, "희곡 <웰컴 투 동막골>의 텍스트 전략에 대한 연구" 한국극예술학회 (34) : 325-365, 2011

      7 한형구, "한국 근대 문학과 ‘민족’(民族)이라는 상상 공동체-민족주의적 정열, 혹은 한국 근대문학 형성의 주동력" 한국근대문학회 12 (12): 202-236, 2005

      8 김시준, "중국현대문학사" 지식산업사 1992

      9 홍석표, "중국현대문학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9

      10 이성민, "주체 없는 공동체: 상상적 전회를 통한 들뢰즈의 내기"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12 (12): 53-72, 2010

      11 김정란, "웰컴 투 동막골에 나타난 신화적 요소의 분석" 한국프랑스문화학회 1 (1): 333-375, 2007

      12 공상철, "심종문 문학세계 속의 기억과 서사" 중국어문연구회 10 : 1996

      13 박재범, "심종문 『변성』의 原始的 패턴과 표현기법" 한국중국소설학회 7 : 1998

      14 김의진, "심종문 『변성』연구" 가톨릭대학교 인문학연구소 3 : 1988

      15 강경구, "심종문 『변성』에 나타난 강물의 상징" 영남중국어문학회 21 : 1993

      16 안은진, "심종문 <변성>의 주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3

      17 구문규, "생명의 음미 ― 사회주의 시기 선총원(沈從文)의 내면세계를 통해본 존재의 의미" 중국어문학연구회 (59) : 343-361, 2009

      18 최석무, "상상의 공동체 만들기 -조이스 작품에 나타난 아일랜드 민족과 민족국가 형성 담론" 한국영어영문학회 48 (48): 559-583, 2002

      19 변재길, "상상된 공동체와 민족 알레고리 <프로테우스>에피소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영어영문학회 44 : 2000

      20 심종문, "변성" 황소자리 2009

      21 김동규, "문학과 영화이야기" 학문사 2002

      22 고부응, "균열된 상상의 공동체: 배네딕트 앤더슨의 민족과 민족주의 이론" 한국비평이론학회 10 (10): 59-82, 2005

      23 陈长春, "透视《边城》论沈从文小说的反现代性" 东北师范大学 2008

      24 李廷貴, "苗族歷史與文化" 中央民族大學出版社 1996

      25 貴州民族事務委員會, "苗族文化大觀" 貴州民族出版社 2009

      26 许守卫, "美的聚合,爱的载体——浅淡《边城》中翠翠的形象" 2005

      27 강경구, "湘西――沈從文 소설의 신화적 공간" 중국인문학회 (36) : 187-206, 2007

      28 "淺論湘西苗族文化對沈從文創作<邊城>的影響"

      29 吳立昌, "沈從文——建築人性神廟,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1991

      30 고부응, "『웰컴투 동막골』에 나타나는 민족공동체" 한국비교문학회 (39) : 191-210, 2006

      31 신동순, "<웰컴투동막골>과<鬼子來了>속의 문화헤게모니 양상" 중국문화연구학회 (11) : 19-37, 2007

      32 김은주, "<웰컴 투 동막골>의 카니발적 요소에 대한 분석과 그것의 긍정적인 정치사회적 함의" 동국대학교대학원 영화학과 이론학회 7 :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n Cultur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7 0.629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