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쿡과 브라운(Cook and Brown, 1999)에 기초하여 성 주류화 제도의 도구인 성별영향평가가 지방자치단체에 유의미하게 정착되는 과정을한 지역(D시)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쿡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쿡과 브라운(Cook and Brown, 1999)에 기초하여 성 주류화 제도의 도구인 성별영향평가가 지방자치단체에 유의미하게 정착되는 과정을한 지역(D시)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쿡과 ...
이 연구는 쿡과 브라운(Cook and Brown, 1999)에 기초하여 성 주류화 제도의 도구인 성별영향평가가 지방자치단체에 유의미하게 정착되는 과정을한 지역(D시)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쿡과 브라운은 소유된 지식(knowledge)과 조직 실천에서의 알아가기(knowing)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볼 때 조직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수행하기 곤란한 정책에의 접근을 위해 고려할만한 것으로서 ‘행위유발성(affordance)’ 개념을 말하였다. 연구자는 주류 영역에 도전적인 성별영향평가가 그것을 주도하는 개인 지식에 의해 조직의 기존 지식과 상호작용하게 됨으로써 조직의 새로운 알아가기와 조직 장르를 만들어갈 수 있고, 역동적인 행위유발성을 창출하게 됨을 말하려고 한다. 이것은 쿡과 브라운의 논의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을 설명하기 위하여, 우수한 D시를 사례로 하여 조직이 성별 영향평가 제도를 어떻게 운영하고 학습하는지를 검토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성별영향평가 실무자와의 심층 인터뷰에 기초한 사례연구로서 분석은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D시의 성별영향평가 출발기엔 조직의 지식에 성별영향평가가 단지 첨부될 뿐이었지만, 갈등기엔 조직의 지식과 성별영향평가가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알아가기를 만들어갔다. 마지막으로 정착기엔 성별영향평가 수행을 도출해낼 수 있는 행위유발성으로서 교육이 주목되었다. 성별영향 평가 교육에 과제담당자들의 참여를 유인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시상제도들이 있었다. D시의 사례를 살펴본 결과, 조직의 지식과 성별영향평가가 상호 작용한 결과인 ‘새로운 알아가기’(성별영향평가담당관, 각종 보고회, 평가실명제, 각종 교육, 시상제도 등)가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성별영향평가수행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은 D시는, 자기 고유 특성에 따른 새로운 알아가기를 만들어 간 것이 유효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fixing processes of D’s city as a practice of gender impact assessment of a self-governing body in korea, based on Cook and Brown(1999). Cook and Brown call what is possessed ‘knowledge’ and what is part of action ‘know...
This paper analyzed the fixing processes of D’s city as a practice of gender impact assessment of a self-governing body in korea, based on Cook and Brown(1999). Cook and Brown call what is possessed ‘knowledge’ and what is part of action ‘knowing’.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epistemology of possession, there needs to be a parallel epistemology of practice, which takes ways of knowing as its focus. They see knowledge and knowing as complementary and mutually enabling, and the interplay of knowledge and knowing as a potentially generative phenomenon. That is, for human groups, the source of new knowledge and knowing lies in the use of knowledge as a tool of knowing within situated interaction with the social and physical world. This is the generative dance. And they define what they mean by dynamic affordance. I says that a practice of gender impact assessment can make new knowing through interplay with organizational knowledge by expert leader. So it need to create dynamic affordances and one of them is the leader. It was examined how the organization had derived and learned gender Impact assessment system in D’s city. The method is to study the case based on in-depth interview with a public servant in D’s city. Especially analytical technique takes advantage of the storytelling. The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Departure Periods, an organization of D’s city only added gender impact assessment system within organization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organization was interacted with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gender impact assessment for the Conflict Periods, and created new knowings. Finally, in the Fixed Periods the organization used educations as dynamic affodance in order to derive gender impact assessment practice from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s. Also there was a system of awarding prizes to make public servants enter in the educations. In D’s city, I could see new knowing(s) as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gender impact assessment: Gender Impact Assessment Officers, various briefings, real name system of writing a gender impact assessment, and various educations, awards system, etc. Once these can be said new knowing indigenous to the district.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농촌개발 과정에 나타난 여성참여 사례 분석
직장인의 직무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전략에 관한 성차 연구
Subject Knowledge: When children know more than you thought
Teachers TV Teachers TVSubject Knowledge: Student Relevance
Teachers TV Teachers TVSubject Knowledge: Questioning
Teachers TV Teachers TVSubject Knowledge: Risk Taking
Teachers TV Teachers TVLearning and Knowledge Management
이화여자대학교 조일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