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설적 공간’으로서의 학습공동체: 후기구조주의 공간 관점에서 학습공동체 재사유하기 = Learning Community as Paradoxical Space: Rethinking Learning Community from Space Perspectives of Post-structur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120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earning community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ideal concept in lifelong learning. Though the concept has evolv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social trends― ranging from learning circles, learning organizations, and learning villages, to learning communities― Learning community has been noted as a key mechanism of the learning society. This paper raised questions on current discourses of learning community, which are based on rigid ideas of community and fail to fully capture the dynamics of learning community. Thus,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learning community discourses critically and suggested a new thinking flux of the post-structuralism’s space perspectives, characterized by ‘singularity’, ‘fluidity’, and ‘positionality’. The new concept of learning community that encompasses these three characteristics is referred to as ‘learning community as a paradoxical space’. (1) a learning community rather than a work as a learning community with a ‘singularity’, (2) a learning community that creates ‘in-between-spaces’ from the creation of boundaries to the placement of connections, and (3) a learning community as ‘spatial politics’ with position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ritically reflects learning community discourses and suggests more stereoscopic understanding of its aspects and dynamics.
      번역하기

      Learning community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ideal concept in lifelong learning. Though the concept has evolv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social trends― ranging from learning circles, learning organizations, and learning villages, to learning co...

      Learning community has long been regarded as an ideal concept in lifelong learning. Though the concept has evolv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social trends― ranging from learning circles, learning organizations, and learning villages, to learning communities― Learning community has been noted as a key mechanism of the learning society. This paper raised questions on current discourses of learning community, which are based on rigid ideas of community and fail to fully capture the dynamics of learning community. Thus,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learning community discourses critically and suggested a new thinking flux of the post-structuralism’s space perspectives, characterized by ‘singularity’, ‘fluidity’, and ‘positionality’. The new concept of learning community that encompasses these three characteristics is referred to as ‘learning community as a paradoxical space’. (1) a learning community rather than a work as a learning community with a ‘singularity’, (2) a learning community that creates ‘in-between-spaces’ from the creation of boundaries to the placement of connections, and (3) a learning community as ‘spatial politics’ with positionalit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ritically reflects learning community discourses and suggests more stereoscopic understanding of its aspects and dynam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경,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학습 생태적 특성" 교육종합연구소 11 (11): 293-314, 2013

      2 삼성경제연구소,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21세기 북스 1996

      3 한상일, "학습조직을 이해하는 세 가지 관점: 한국 준정부조직을 위한 이념형적 학습조직의 모색" 정부학연구소 16 (16): 301-331, 2010

      4 이지혜, "학습동아리는 평생학습사회의 믿을 만한 전야" 31 (31): 57-61, 2004

      5 박상옥,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지역공동체의식과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95-220, 2015

      6 이재숙, "학습동아리 리더의 역량에 관한 연구: 자생적 학습동아리 리더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89-216, 2015

      7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8 오혁진, "학습공동체의 다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관한 연구" 11 (11): 23-41, 2005

      9 이지혜,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습권의 실현" 19 (19): 248-259, 1994

      10 정민승, "학습공동체’ 개념 구안을 위한 시론" 3 (3): 75-90, 1997

      1 박선경,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학습 생태적 특성" 교육종합연구소 11 (11): 293-314, 2013

      2 삼성경제연구소, "학습조직의 이론과 실제" 21세기 북스 1996

      3 한상일, "학습조직을 이해하는 세 가지 관점: 한국 준정부조직을 위한 이념형적 학습조직의 모색" 정부학연구소 16 (16): 301-331, 2010

      4 이지혜, "학습동아리는 평생학습사회의 믿을 만한 전야" 31 (31): 57-61, 2004

      5 박상옥, "학습동아리 활성도가 지역공동체의식과 사회적자본에 미치는 영향"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95-220, 2015

      6 이재숙, "학습동아리 리더의 역량에 관한 연구: 자생적 학습동아리 리더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89-216, 2015

      7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8 오혁진, "학습공동체의 다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관한 연구" 11 (11): 23-41, 2005

      9 이지혜,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습권의 실현" 19 (19): 248-259, 1994

      10 정민승, "학습공동체’ 개념 구안을 위한 시론" 3 (3): 75-90, 1997

      11 윤창국,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12 강석기, "평생학습도시 기반구축을 위한 학습공동체의 탐색적 연구" 교육종합연구소 9 (9): 55-73, 2011

      13 지희숙, "평생교육활동가의 학습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 : 대덕구 평생학습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113-140, 2015

      14 Deleuze, G.,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15 김종선, "지역평생학습공동체 남양주 학습등대의 실천적 해석 연구" 중앙대학교 2018

      16 권인탁, "지역평생학습공동체 구축과 평생학습도시 실천전략" 2 : 27-62, 2004

      17 김한준,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활동과 조직성과에 관한 연구 - 학습조직과 조직성과 관계모형 개발 -"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6 (6): 161-189, 2010

      18 박은미, "주민주도형 평생학습마을 만들기 사례분석" 원격교육연구소 6 (6): 25-46, 2010

      19 박준상, "장-뤽 낭시와 공유, 소통에 대한 물음" 보험법연구회 (58) : 145-154, 2003

      20 정용교, "인간존재의 이중주: 개체성과 공동체성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 17 (17): 187-209, 2009

      21 정현주, "이주여성들의 역설적 공간: 억압과 저항의 매개체로서 공간성을 페미니스트 이주연구에 접목시키기" 여성학연구소 5 (5): 105-144, 2012

      22 김은주, "온라인영어학습동아리의 생성과 발전 그리고 의미: 한인 이민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외한인학회 (35) : 291-331, 2015

      23 김부헌, "예외 공간으로서 접경지역의 위치성 전환" 한국경제지리학회 20 (20): 267-286, 2017

      24 노대명,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에 대한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14) : 36-62, 2000

      25 장원섭, "실행공동체 공식화가 조직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28 (28): 209-228, 2009

      26 김영옥, "실천학습공동체의 학습과정 연구: 재능기부 학습동아리의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1 (11): 189-213, 2015

      27 안현지, "실천학습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 '평생학습을 실천하는 사람들' 사례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8 박연규, "시민인문학에서 자율과 자유, 그리고 공동체성" 동서사상연구소 (12) : 112-136, 2011

      29 김정진, "사회적기업가 성장과정에 나타난 실천공동체 학습경험 - 중·고령자 사회적기업 ʻ은빛둥지ʼ 사례 -"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7 (7): 51-76, 2014

      30 Blanchoh, M., "밝힐 수 없는 공동체, 마주한 공동체" 문학과지성사 2005

      31 박응희, "문화사회학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지역의 학습공동체 형성에 관한 고찰 - Elias의 결합태 담론과 Simmel의 사회적 공간 담론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교육학회 9 (9): 25-48, 2014

      32 Nancy, J., "무위(無爲)의 공동체" 인간사랑 2010

      33 양병찬, "마을만들기사업과 평생교육의 협동 가능성 탐색 : 시흥시 ‘학습마을’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1-23, 2015

      34 정미경, "마을 평생학습지도자 양성 프로그램 효과성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애착도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1) : 99-118, 2009

      35 배영주, "마을 공동체 조직화 사업으로서 ‘평생학습 마을 만들기’ 성공 추진을 위한 과제 탐색" 경인행정학회 14 (14): 155-172, 2014

      36 박경환, "디아스포라 주체의 비판적 위치성과 민족 서사의 해체"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9 (19): 1-12, 2007

      37 Deleuze, G., "들뢰즈의 푸코" 새길 1995

      38 박주형, "도구화되는 ‘공동체’: 서울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공간환경학회 23 (23): 4-43, 2013

      39 이정민, "대안적 공동체론과 관련 조례의 공동체 개념화" 서울연구원 18 (18): 177-192, 2017

      40 정현주, "다문화경계인으로서 이주여성들의 위치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변위’ 개념에 대한 검토 및 적용" 대한지리학회 50 (50): 289-303, 2015

      41 박경환, "글로벌, 로컬, 스케일― 공간과 장소를 둘러싼 정치" 한국민족문화연구소 (5) : 47-85, 2011

      42 고봉준, "근대문학과 공동체, 그 이후 - ‘외부성의 공동체’를 위한 시론" 상허학회 33 : 33-69, 2011

      43 정민승, "교육자-학습자 위치전환에 대한 교육학적 해석: 학습자중심의 교육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원격교육연구소 10 (10): 27-46, 2014

      44 Rosa, H., "공동체의 이론들" 라움 2010

      45 Doring, J., "공간적 전회" 심산 2015

      46 Crang, M., "공간적 사유" 에코리브르 2013

      47 Lefebvre, H.,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48 Schroer, M., "공간, 장소, 경계" 에코리브르 2010

      49 차혜경, "고령자의 온라인공동체 활동에 나타난 확장학습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5 (25): 291-315, 2019

      50 Hooks, B., "Yearning: Race, Gender, and Cultural Politics" South End Press 41-49, 1990

      51 Parrenas, R. S., "Transgressing the Nation-State: the partial citizenship and imagined (global) community of migrant Filipina domestic workers" 26 (26): 1129-1154, 2001

      52 Colebrook, C., "The sense of space: On the specificity of affect in Deleuze and Guattari" 15 (15): 2004

      53 Young, I. M., "The ideal of community and the politics of difference" 12 (12): 1-26, 1986

      54 McIntyre, J., "The development and recovery of social capital through community-based adult learning" 31 (31): 607-621, 2012

      55 Senge, P., "The Fifth Discipline: The Art and Practice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Double day 1990

      56 Massey, D., "Space, Place and Gender"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4

      57 Balatti, J, "Socio-economic contributions of adult learning to community: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52 (52): 281-298, 2002

      58 Lave, J., "Situated Lear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59 Acevedo, S. M., "Positionality as knowledge: From pedagogy to praxis" 11 (11): 28-46, 2015

      60 Collins, P. H., "Learning from the outsider within: the sociological significance of black feminist thought" 33 (33): 14-32, 1986

      61 Anzaldúa, G., "La Frontera / Borderlands" Aunt Lute Books 1999

      62 Williams, R.,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63 McDowell, L., "Gender, Identity and Place: Understanding Feminist Geographi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64 장소은, "G. Simmel의 사회적 공간담론 관점에서의 노인동아리 사례연구" 한국성인교육학회 17 (17): 153-177, 2014

      65 Massey, D., "For Space" SAGE Publications 2005

      66 Rose, G., "Feminism and Geography: the Limits to Geographical Knowled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3

      67 정혜경, "Engeström의 활동이론 관점에서 바라본 자생적 도시마을공동체 활동체계들 간의 역학적 관계 및 참여자의 학습경험 탐색" 교육연구소 22 (22): 537-563, 2016

      68 Knowles, M., "Creating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13 (13): 69-75, 1991

      69 Julian, P., "Community learning is community development" 12 (12): 19-22, 2001

      70 김정환, "Community Leadership and Cultural-Historical Activity Theory: Implications for Lifelong Learning" 교육종합연구소 10 (10): 387-412, 2012

      71 Wenger, E.,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72 McLaughlin, C., "Builders of the Dawn: Community Lifestyle in a Changing World" Book Publishing Company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