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1993
2 송흥선, "한국의 나무문화" 문예산책 1996
3 이윤호, "천오백년의 비밀을 간직한 佛敎文化 守護者 향나무" 12 (12): 106-116, 2003
4 영가현각, "증도가"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9
5 청동정각, "종용록" 민족사 2015
6 Jung, Carl Gustav, "인간과 상징" 집문당 2013
7 양종국, "역사학자가 본 꽃과 나무" 새문사 2016
8 고정희, "식물,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 나무도시 2012
9 안경식, "시조신화에 나타난 신라의 교육이념 탐구" 한국교육사학회 39 (39): 39-60, 2017
10 정상홍, "시경" 을유문화사 2014
1 구미래, "한국인의 상징세계" 교보문고 1993
2 송흥선, "한국의 나무문화" 문예산책 1996
3 이윤호, "천오백년의 비밀을 간직한 佛敎文化 守護者 향나무" 12 (12): 106-116, 2003
4 영가현각, "증도가"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09
5 청동정각, "종용록" 민족사 2015
6 Jung, Carl Gustav, "인간과 상징" 집문당 2013
7 양종국, "역사학자가 본 꽃과 나무" 새문사 2016
8 고정희, "식물, 세상의 은밀한 지배자" 나무도시 2012
9 안경식, "시조신화에 나타난 신라의 교육이념 탐구" 한국교육사학회 39 (39): 39-60, 2017
10 정상홍, "시경" 을유문화사 2014
11 윤호창, "소학" 홍익출판사 2007
12 이어령, "소나무" 종이나라 2006
13 김은령, "삼국유사의 시가와 향가-찬시와 향가 속 꼴의 양상을 통해 본 상징과 층위" 13 : 132-165, 2018
14 일연, "삼국유사" 솔출판사 2006
15 김부식, "삼국사기" 솔 출판사 1997
16 천태불교문화연구원, "묘법연화경" 천태종불교문화출판사 2016
17 양지원, "모리스 블랑쇼의 ‘바깥에서 사유하기’ 방법의 교육적 의의 - 언어와 이미지를 중심으로 -" 과학교육연구소 57 (57): 617-628, 2018
18 민태영, "마음을 밝히는 붓다의 식물 108가지" 운주사 2014
19 류종목, "논어의 문법적 이해" 문학과 지성사 2000
20 강판권, "나무사전" 글항아리 2010
21 이상희,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넥서스 1999
22 민태영, "경전 속 불교식물" 이담 2011
23 김재웅, "『삼국유사』와 생태문학적 상상력" 택민국학연구원 (18) : 69-98, 2016
24 신창호, "『삼국유사』에 수록된 시가와 배경설화의 교육적 의미" 한국교육사학회 33 (33): 75-95, 2011
25 박종민, "『詩經』의 시에 나타난 나무의 비유와 상징성"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18 (18): 81-93, 2014
26 안경식, "《삼국유사》에 구현된 일연의 교육사상" 한국교육사상학회 32 (32): 85-114, 2018
27 KBS, "HD 역사스페셜 「신라건국의 수수께기, 나정은 알고 있다」"
28 완도신문, "1700연 전 땅에 묻힌 향나무, 바다에서 솟아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