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ilation of Kim So-un (1907~1981)’s <Joseon Folk Song Collection(朝鮮民謠集)> compiled in Japan in 1929. This folk song collection was based on Joseon f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ilation of Kim So-un (1907~1981)’s <Joseon Folk Song Collection(朝鮮民謠集)> compiled in Japan in 1929. This folk song collection was based on Joseon fo...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pilation of Kim So-un (1907~1981)’s <Joseon Folk Song Collection(朝鮮民謠集)> compiled in Japan in 1929. This folk song collection was based on Joseon folk songs collected in Japan in the 1920s. Looking at Kim So-un’s folk song theory, the motivation for the compilation of folk songs was to collect and preserve local folk songs that were relatively less influenced by Chinese Confucian culture. In addition, it was characterized by conceptualizing folk songs, children’s songs, and women’s songs respectively and seeking their characteristics in an era when folk songs were not yet established as subjects for academic research. Above all, the core of Kim So-un’s folk theory wa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folk songs through the concept of “Line”, and to classify folk song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summarize them by content.
Kim So-un’s folk song theory as above was also reflected in the folk song book system. The <Joseon Folk Song Collection> is largely divided into folk songs, children’s songs, and women’s songs, and the folk songs a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parts. Kim So-un’s method of classifying folk songs is also revealed in the organization of folk songs. In addition, the concept of Line, one of the core of folk song theory, was involved in the translation process. Although it was choosing a faithful translation method to transfer the cause of the song, translation was attempted in the direction of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e” when the rhythm was damaged. In addition, various devices were used to promote the convenience of viewers. Kim So un’s <Joseon Folk Song Collection> is in line with the history of folk songs, and its activities should be discussed and evaluated in a contemporary context.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929년 일본에서 편찬된 김소운(金素雲, 1907~1981)의 朝鮮民謠集을 대상으로 그 편찬 맥락과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민요집은 1920년대 일본에서 채집된 조선의 민�...
본고는 1929년 일본에서 편찬된 김소운(金素雲, 1907~1981)의 朝鮮民謠集을 대상으로 그 편찬 맥락과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민요집은 1920년대 일본에서 채집된 조선의 민요를 바탕으로 꾸려졌다. 김소운의 민요론을 살펴보았을 때 민요집 편찬의 동기는 중국의 유교문화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은 향토 민요를 채집하고 또 이를 보존하는 것이었다. 또한, 민요가 학적 연구 대상으로 미처 자리 잡지 못한 시대에 민요, 동요, 그리고 부요를 각각 개념화하고 그 특질을 모색했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무엇보다 ‘선’이라는 개념을 통해 조선 민요의 특질을 설명하고자 한 점, 민요를 성격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내용별로 집약했다는 점 등이 김소운 민요론의 핵심이었다.
위와 같은 김소운의 민요론은 민요집 체제에도 반영되어 있었다. 조선민요집은 크게 민요편, 동요편, 부요편으로 나뉘고 민요편은 다시 세 부분으로 나뉜다. 김소운의 민요 분류 방식이 민요집 편제에도 고스란히 드러나는 것이다. 또한, 민요론의 핵심 중 하나인 선의 개념이 번역 과정에도 개입되어 있었다. 노래의 대의를 옮기는 데 충실한 번역 방식을 택하고 있었지만 여음이나 리듬에 손상이 가는 경우 ‘선’의 특질을 살리는 방향으로 번역이 시도되었다. 그 외에도 여러 장치를 동원하여 감상자의 편의를 도모한 조선민요집은 일본과 조선 시단 양쪽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김소운의 조선민요집은 민요 연구사와 맥을 같이하는바 그 활동은 당대적 맥락에서 논의되고 또 평가되어야 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운, "하늘 끝에 살아도" 동화출판공사 165-166, 1968
2 방하철, "천상계의 한 조각 소운이 되어" 문학사상사 85-86, 1981
3 하응백, "창악집성" Human& Books 959-, 2011
4 박경수,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8-20~22(부산광역시 편)" 한국학중앙연구원·역락 101-, 2015
5 손진태, "조선의 동요와 아동성" (22) : 1927
6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 원시예술로서의 민요일반과 서민문학으로서의 조선민요" 수선사 1949
7 염상섭, "시조와 민요"
8 윤극영, "노래의 生命은 어대잇는가?" 2 (2): 1924
9 박경수, "남창 손진태의 민요론 연구" 한국민요학회 59 (59): 35-85, 2020
10 이창식, "김소운의 민요조사와 민요관" 세명대학교 4 : 1995
1 김소운, "하늘 끝에 살아도" 동화출판공사 165-166, 1968
2 방하철, "천상계의 한 조각 소운이 되어" 문학사상사 85-86, 1981
3 하응백, "창악집성" Human& Books 959-, 2011
4 박경수, "증편 한국구비문학대계 8-20~22(부산광역시 편)" 한국학중앙연구원·역락 101-, 2015
5 손진태, "조선의 동요와 아동성" (22) : 1927
6 고정옥, "조선민요연구 : 원시예술로서의 민요일반과 서민문학으로서의 조선민요" 수선사 1949
7 염상섭, "시조와 민요"
8 윤극영, "노래의 生命은 어대잇는가?" 2 (2): 1924
9 박경수, "남창 손진태의 민요론 연구" 한국민요학회 59 (59): 35-85, 2020
10 이창식, "김소운의 민요조사와 민요관" 세명대학교 4 : 1995
11 배수찬, "김소운의 글쓰기 환경과 번역 작업에 대한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34) : 213-242, 2011
12 오오타케 키오미, "근대 한일 아동문화교육 관계사 연구 : 1895-1945"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13 쓰보이 히데토, "감각의 근대" 어문학사 2019
14 김경희, "金素雲の朝鮮民謠の日本語譯に關する硏究" 한림대학교 국제학대학원 2005
15 이광수, "民謠小考(一)" (3) : 1924
16 김소운, "朝鮮詩集" 興風社 335-, 1943
17 최남선, "朝鮮民謠의 槪觀" 5 (5): 1927
18 김소운, "朝鮮民謠集" 太文館 1929
19 손진태, "朝鮮婦謠" 9 (9): 1926
20 손진태, "朝鮮の童謠" 1926
21 정노풍, "己巳詩壇展望"
22 박지영,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42) : 274-309, 2010
23 전계영, "20세기 전반기 민요집 편찬 목적 및 체제에 대한 고찰-『조선동요집』․『언문 조선구전민요집』․『조선민요선』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언어학회 (70) : 271-299, 2016
24 전계영, "20세기 전반기 민요집 언문 조선구전민요집(1933)에 대한 연구-선행작업: 매일신보(1930) 수록 민요와의 비교 검토-" 한국민요학회 54 (54): 171-214, 2018
25 김소운, "(諺文)朝鮮口傳民謠集" 제일서방 1933
지역 민요유산의 발굴과 활성화 방안 -음성 민요를 중심으로-
한국 전통 양육요의 기능과 음악적 특징 -충남지역 아기재우는소리와 아기어르는소리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