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가족 내 돌봄책임이 성별 임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Family Care Responsibility on Wage of Men and Wome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8년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가족 내의 돌봄책임이 여성과 남성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자녀의 유무 혹은 자녀수를 중심으로 돌봄책임의 ...

      본 연구는 2008년 여성가족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가족 내의 돌봄책임이 여성과 남성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이 자녀의 유무 혹은 자녀수를 중심으로 돌봄책임의 효과를 분석했다면, 본 연구는 자녀영향을 취학여부로 나누어 살펴보고, 가사노동시간, 장애인 및 요양환자, 부모와의 동거 여부를 포함한 돌봄책임이라는 좀 더 확장된 개념을 설명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첫째, 가사노동시간은 여성임금에 부정적 효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성에게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취학자녀의 존재는 여성의 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고, 오히려 취학자녀의 존재가 여성의 임금을 유의미하게 낮추고 있다. 이는 취학자녀에게 보다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경향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남성의 경우 취학자녀 존재는 임금프리미엄을 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장애인 및 요양환자의 수, 친정부모와 시부모와의 동거는 여성임금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의 부모와의 동거는 남성의 임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이 부모와 동거하는 가장 큰 이유가 남성 부모의 건강 문제 때문인 것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모델에서 돌봄책임이 여성임금의 51%를 설명하고, 남성의 임금은 33%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돌봄책임은 여성들의 임금에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돌봄책임이 여성과 남성의 임금을 설명하는데 핵심적이지는 않지만, 가족 내 돌봄책임이 성별화되어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family responsibility on wage of men and women, analyz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s Panel. The research expands the concept of family responsibility as including children(age under or over 6), ...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family responsibility on wage of men and women, analyzing the data from the National Women and Family's Panel. The research expands the concept of family responsibility as including children(age under or over 6), household work hours, care for family members such as the disabled, parents, patients, while existing researches have used the number of children or their age as the major variable representing family responsibility.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housework hours are associated with a negative effect on women's wage, while the effect on men's wag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the children over 6 is associated with a negative effect on women's wage, while men earn a wage premium drawn from the effect of children over 6. This result would imply that school children require more mother's time and energy than preschool children do. Finally, living with men and women's parents and the number of the disabled and patient family member do not represe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while living with men's parents is associated with a negative effect on men's wage. Men in the research sample report that they live together with their parents for their parents health problems. In conclusion, the variable of family care responsibility in the final model explains 50% of women's wage and only 33% of men's wage. This suggests that at present, care responsibility is gendered in a way in which women are taking more family care responsibility than 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연구배경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가족 내 돌봄책임이 성별 임금에 미치는 영향
      • 논문요약
      • Ⅰ. 연구배경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분석결과: 가족 내 돌봄책임이 성별 임금에 미치는 영향
      • Ⅴ.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정준, "자녀가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여성학회 26 (26): 71-98, 2010

      2 손문금,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8 (28): 277-311, 2005

      3 강이수, "여성과 일" 동녘 2001

      4 민현주, "엄마노릇하기와 성별 일자리 분화와 여성임금에 미치는 효과분석" 5 (5): 75-91, 2008

      5 성지미,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24 (24): 97-124, 2001

      6 김미경,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 2006

      7 박홍주, "돌봄노동의 가치와 사회화의 필요성" 한국여성단체연합 1-28, 2006

      8 조혜선, "기혼여성의 고용지위 결정요인: 가족과 노동의 접합" 한국사회학회 36 (36): 145-169, 2002

      9 이현송, "가족의 생애주기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30 : 759-777, 1996

      10 England, P., "Wage of Virtue: The Relative Pay of Care Work" 49 (49): 455-473, 2002

      1 임정준, "자녀가 여성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한국여성학회 26 (26): 71-98, 2010

      2 손문금, "여성의 이중부담과 유급노동시간의 주변화 : 맞벌이부부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28 (28): 277-311, 2005

      3 강이수, "여성과 일" 동녘 2001

      4 민현주, "엄마노릇하기와 성별 일자리 분화와 여성임금에 미치는 효과분석" 5 (5): 75-91, 2008

      5 성지미, "세대간 동거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24 (24): 97-124, 2001

      6 김미경, "부모세대와의 동거여부가 기혼여성의 노동공급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 2006

      7 박홍주, "돌봄노동의 가치와 사회화의 필요성" 한국여성단체연합 1-28, 2006

      8 조혜선, "기혼여성의 고용지위 결정요인: 가족과 노동의 접합" 한국사회학회 36 (36): 145-169, 2002

      9 이현송, "가족의 생애주기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30 : 759-777, 1996

      10 England, P., "Wage of Virtue: The Relative Pay of Care Work" 49 (49): 455-473, 2002

      11 Budig, M. J., "The Wage Penalty for Motherhood" 66 (66): 204-225, 2001

      12 Hochschild, A. R., "The Second Shift: Working Parents and the Revolution at Home" Avon 1997

      13 Anderson, D. J., "The Motherhood Wage Penalty: Which Mothers Pay It and Why?" 92 (92): 354-358, 2002

      14 Molina, J. A., "The Motherhood Wage Penalty in Spain" 30 (30): 237-251, 2009

      15 Anderson, D. J., "The Motherhood Wage Penalty Revisited: Experience, Heterogeneity, Work Effort, and Work-schedule Flexibility" 56 (56): 273-294, 2003

      16 Waldfogel, J., "The Effect of Children on Women's Wages" 62 (62): 209-217, 1997

      17 Gangl, M., "Motherhood, Labor Force Behavior, and Women’s Careers: An Empirical Assessment of the Wage Penalty for Motherhood in Brita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46 (46): 341-369, 2009

      18 Brinton, M., "Married Women's Employment in Rapidly Industrializing Societies: Examples from East Asia" 100 (100): 1099-1130, 1995

      19 Korenman, S., "Marriage, Motherhood and Wage" 27 (27): 233-255, 1992

      20 Lewis, J., "Legitimizing Care Work and the Issue of Gender Equality" ILO 57-76, 2001

      21 Avellar, S., "Has the Price of Motherhood Declined over Time?" 65 : 597-607, 2003

      22 Glass, J., "Gender, Parenthood, and Job-Family Compatibility" 98 (98): 131-151, 1992

      23 Daly, M., "Gender and the Provision of Care. in: Gender and the Welfare State" Polity 48-69, 2003

      24 Dempsey, K., "Exploitation in the Domestic Division of Labour: An Australian Case Study" 24 (24): 420-436, 1988

      25 Folbre, N., "Demanding Quality: Worker/Consumer Coalitions and High Road Strategies in the Care Sector" 34 (34): 11-31, 2006

      26 Bryson, L., "Citizenship, Caring and Commodification. in: Gender and Citizenship in Transition" Routledge 220-244, 2000

      27 Leria, A., "Care: Actors, Relationships and Contexts. in: Contested Concepts in Gender and Social Politics" Edward Elgar 55-83, 2002

      28 Becker, G. S., "A Treatise on the Family" Harvard University Press 1991

      29 노동부, "2009년 여성고용동향분석" 노동부 고용정책실 여성고용과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7-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시아여성연구소 -> 아시아여성연구원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7 1.17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13 1.569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