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麗史』에 나타나는 宋都綱 卓榮과 徐德榮 = 그들이 宋側으로부터 高麗綱首라 불렸던 背景을 中心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8531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t first, Koryo dispatched diplomatic delegates to Song China by hiring Song marine trader’s ships. However in 1090, Zhe-zong(哲宗) of Northern Song Dynasty, Government of the old policies party(舊法黨) prevented diplomatic delegates from using...

      At first, Koryo dispatched diplomatic delegates to Song China by hiring Song marine trader’s ships. However in 1090, Zhe-zong(哲宗) of Northern Song Dynasty, Government of the old policies party(舊法黨) prevented diplomatic delegates from using the Song’s marine ships to limit the frequent tribute from foreign countries.
      Because of this, Koryo needed professional sailor and ships. In those times, there were a number of Song-Dugang(宋都綱) which visited Korean’s shore. The meaning Song-Dugang was, so to speak transportation businessmen. Therefore Koryo induced naturalization to Koryo giving them the government service.
      Ships which Koryo used for the dispatch of diplomatic delegates were the very naturalized Song-Dugang’s ships. Though they were recorded as Song people in Koryosa(高麗史), actually they were living in Korea. Because of this reason, in spite of Song"s regulations, Koryo could dispatch the delegates to Song China. Consequently, identities of Song-Dugang(宋都綱) Tak-young(卓榮) and Su-deukyoung(徐德榮) were Korea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北宋 元豊8년(1085) 法令의 成立과 削除
      • Ⅲ. 南宋初 황악(黃鍔)의 主張과 高麗綱首
      • Ⅳ. 卓榮과 徐德榮이 高麗綱首가 된 背景과 高麗綱首의 性格
      • Ⅴ. 結論
      • Ⅰ. 머리말
      • Ⅱ. 北宋 元豊8년(1085) 法令의 成立과 削除
      • Ⅲ. 南宋初 황악(黃鍔)의 主張과 高麗綱首
      • Ⅳ. 卓榮과 徐德榮이 高麗綱首가 된 背景과 高麗綱首의 性格
      • Ⅴ. 結論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제, "麗宋交易의 航路와 船舶" 역사학회 204 (204): 237-267, 2009

      2 김영제, "교역에 대한 宋朝의 태도와 高麗海商의 활동 -高麗 文宗의 對宋 入貢 배경과도 관련하여-" 역사학회 (213) : 299-329, 2012

      3 이강한, "고려시대 대외교역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화사학연구소 (47) : 37-81, 2013

      4 金庠基, "麗宋貿易小考" 7 : 1964

      5 朴玉杰, "高麗來航 宋商人과 麗․宋의 貿易政策" 32 : 1997

      6 金渭顯, "高麗時代對外關係史硏究" 景仁文化社 2004

      7 李鎭漢, "高麗時代 宋商往來 硏究" 景仁文化社 2011

      8 金在瑾, "韓國船舶史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9 조동원, "譯註宣和奉使高麗圖經" 황소자리 2005

      10 山東省文物考古硏究所, "蓬萊古船" 文物出版社 2006

      1 김영제, "麗宋交易의 航路와 船舶" 역사학회 204 (204): 237-267, 2009

      2 김영제, "교역에 대한 宋朝의 태도와 高麗海商의 활동 -高麗 文宗의 對宋 入貢 배경과도 관련하여-" 역사학회 (213) : 299-329, 2012

      3 이강한, "고려시대 대외교역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이화사학연구소 (47) : 37-81, 2013

      4 金庠基, "麗宋貿易小考" 7 : 1964

      5 朴玉杰, "高麗來航 宋商人과 麗․宋의 貿易政策" 32 : 1997

      6 金渭顯, "高麗時代對外關係史硏究" 景仁文化社 2004

      7 李鎭漢, "高麗時代 宋商往來 硏究" 景仁文化社 2011

      8 金在瑾, "韓國船舶史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4

      9 조동원, "譯註宣和奉使高麗圖經" 황소자리 2005

      10 山東省文物考古硏究所, "蓬萊古船" 文物出版社 2006

      11 金在瑾, "續韓國船舶史硏究"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2 三克己, "續續日宋貿易の硏究" 國書刊行會 1975

      13 三克己, "續日宋貿易の硏究" 國書刊行會 1975

      14 徐曉望, "福建通史(全六冊) 第三卷" 福建人民出版社 2006

      15 廖大珂, "福建海外交通史" 福建人民出版社 2002

      16 陳尙勝, "登州港與中韓交流國際學術討論會論文集" 山東大學出版社 2005

      17 莊景輝, "海外交通史迹硏究" 厦門大學出版社 1996

      18 李東華, "泉州與我國中古的海上交通" 學生書局 1986

      19 李玉昆, "泉州海外交通史略" 厦門大學出版社 1995

      20 榎本涉, "東アジア海域と日中交流--九∼一四世紀" 吉川弘文館 2007

      21 三克己, "日宋貿易の硏究" 國書刊行會 1975

      22 楊渭生, "宋麗關係史硏究" 杭州大學出版社 1997

      23 陳高華, "宋元時期的海外貿易" 天津人民出版社 1981

      24 黃純艶, "宋代海外貿易" 社會科學文獻出版社 2003

      25 關履權, "宋代廣州的海外貿易" 廣東人民出版社 1994

      26 斯波義信, "宋代商業史硏究" 風間書房 1968

      27 김영제, "北宋 神宗朝의 對外交易 政策과 高麗" 동양사학회 (115) : 207-237, 2011

      28 席龍飛, "中國造船史" 湖北敎育出版社 2000

      29 田汝康, "中國帆船貿易和對外關係史論集" 浙江人民出版社 1987

      30 小野正敏, "中世の對外交流--場․ひと․技術--" 高志書院 2006

      31 辛元歐, "上海沙船" 上海書店出版社 2004

      32 川添昭二, "よみがえる中世 1" 平凡社 1988

      33 김영제, "『高麗史』에 나타나는 宋商과 宋都綱 -特히 宋都綱의 性格 解明을 中心으로-" 전북사학회 39 (39): 313-33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8 1.624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