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색은 우리의 문화권과 민족의 사상, 이념, 의식, 기호 등을 반영한다. 우리 민족은 생활 전반에 걸쳐 직접적으로 오방색의 영향을 받아왔고 오랜 문화의 전통 속에 색채도 점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235083
2007
Korean
학술저널
51-54(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전통색은 우리의 문화권과 민족의 사상, 이념, 의식, 기호 등을 반영한다. 우리 민족은 생활 전반에 걸쳐 직접적으로 오방색의 영향을 받아왔고 오랜 문화의 전통 속에 색채도 점차 ...
한국의 전통색은 우리의 문화권과 민족의 사상, 이념, 의식, 기호 등을 반영한다. 우리 민족은 생활 전반에 걸쳐 직접적으로 오방색의 영향을 받아왔고 오랜 문화의 전통 속에 색채도 점차 새로운 방향으로 조화를 이루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민족의 전통양식 속에 나타난 색채를 고찰해 보고, 현대적인 활용방안을 간단한 사례를 통해 모색해 보고자 한다. 한국 전통 색채를 현대생활 속에 직접적으로 적용시켜 보다 한국적인 가치를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우수한 디자인과 우리의 색이 만나면 세계 속에서 우리의 정서가 담긴 우리만의 상품도 충분히 경쟁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의 것을 파악하고 이를 구체화 하며, 정립된 색채 체계를 응용하여 세계시장 속에 아름다운 한국의 정서로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할 날을 기대해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2008 F/W Privew Color : 2008년 가을/겨울 트렌드 컬러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