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영양성분으로 EPA와 DHA 와 같은 오메가 3 고도 불포화지방산, 타우린 및 유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99535
정은실 ; 이승철 ; Jung, Eun-Sil ; Lee, Seung-Cheol
2007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038-1042(5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영양성분으로 EPA와 DHA 와 같은 오메가 3 고도 불포화지방산, 타우린 및 유리 ...
척색동물문 미색동물아문에 속하는 미더덕과 오만둥이는 독특한 향과 맛으로 인해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영양성분으로 EPA와 DHA 와 같은 오메가 3 고도 불포화지방산, 타우린 및 유리 필수 아미노산, 그리고 카로테노이드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생리학적 기능성이 풍부한 미더덕과 오만둥이를 이용하여 술을 제조한 후, 품질을 평가하였다. 미더덕은 전체, 껍질, 살 부분으로 부위를 나누고, 오만둥이는 전체를 이용하여 각각 10, 20, 50 g을 알콜 함량 30%의 시판 과실주용 소주 250 mL에 첨가하여 4달간 숙성한 후 주정도, DPPH 라디칼 소거능, 색도측정,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제조한 각 술의 알콜 함량은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항산화 활성인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오만둥이보다 미더덕이 조금 더 활성이 좋았으며, 미더덕의 부위별로는 살 부분이 가장 좋았다. 술의 색도는 미더덕과 오만둥이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는 경향,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에서 미더덕, 오만둥이 술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시험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tycla claca (SC, miduduk in Korean) and Stycla plicata (SP, omangdungi in Korean) have been consumed as one of the most tasty seafood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Liquors were prepared by soaking SC (whole, tunic, or flesh part) and SP (whole) in...
Stycla claca (SC, miduduk in Korean) and Stycla plicata (SP, omangdungi in Korean) have been consumed as one of the most tasty seafoods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Liquors were prepared by soaking SC (whole, tunic, or flesh part) and SP (whole) in soju (alcohol content 30%) for 4 months, and then th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Alcohol contents of the liquor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SC and SP. Antioxidant activities revealed by a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howed that SC, especially flesh part, exhibited higher activity than SP in the liquors. Increasing the amount of SC and SP in liquors tended to decrease lightness and redness while increasing yellowness. In a sensory 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iquor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석문,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580-1583, 2004
2 이승철, "가공방법 및 용매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278-283, 2006
3 Choi BD,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Tunic. 3. Carotenoid compositions of ascidian tunic" 27 : 344-350, 1994
4 Jo YG, "The sterol composition of Styela clava" 11 : 97-101, 1978
5 Taylor SW, "Styelin D, an extensively modified antimicrobial peptide from ascidian hemocytes" 275 : 38417-38426, 2000
6 SAS Institute,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1995
7 Tincu JA, "Plicatamide, an antimicrobial octapeptide from Styela plicata hemocytes" 278 : 13546-13553, 2003
8 Cavalcante MCM, "Occurrence of heparin in the invertebrate Styela plicata (Tunicata) is restricted to cell layers facing the outside environment" 275 : 36189-36196, 2000
9 Menzel LP, "Immunolocalization of clavanins in Styela clava hemocytes" 26 : 505-515, 2002
10 Pavão MSG, "Highly sulfated dermatan sulfates from ascidians" 273 : 27848-27857, 1998
1 정석문, "감귤 과피 추출물의 항산화능에 대한 원적외선 처리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580-1583, 2004
2 이승철, "가공방법 및 용매에 따른 미더덕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5 (35): 278-283, 2006
3 Choi BD, "Utilization of Ascidian(Halocynthia roretzi)Tunic. 3. Carotenoid compositions of ascidian tunic" 27 : 344-350, 1994
4 Jo YG, "The sterol composition of Styela clava" 11 : 97-101, 1978
5 Taylor SW, "Styelin D, an extensively modified antimicrobial peptide from ascidian hemocytes" 275 : 38417-38426, 2000
6 SAS Institute, "SAS/STAT User's Guide" SAS Institute Inc. 1995
7 Tincu JA, "Plicatamide, an antimicrobial octapeptide from Styela plicata hemocytes" 278 : 13546-13553, 2003
8 Cavalcante MCM, "Occurrence of heparin in the invertebrate Styela plicata (Tunicata) is restricted to cell layers facing the outside environment" 275 : 36189-36196, 2000
9 Menzel LP, "Immunolocalization of clavanins in Styela clava hemocytes" 26 : 505-515, 2002
10 Pavão MSG, "Highly sulfated dermatan sulfates from ascidians" 273 : 27848-27857, 1998
11 The Korean Nutrition Information Center., "Food Value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192-, 1998
12 Ahn SH, "Extraction of glycosaminglycans from Styela clava tunic" 18 : 180-185, 2003
13 Seo SB, "Effect of acasia(Robinia pseudo-acasia)flower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4 : 410-414, 2002
14 Raftos DA, "Cytotoxicity reactions in the solitary tunicate Styela plicata" 19 : 463-471, 1995
15 Lee IH, "Clavaspirin, an antibacterial and haemolytic peptide from Styela clava" 58 : 445-456, 2001
16 Lehrer RI, "Clavanins and styelins, alpha-helical antimicrobial peptides from the hemocytes of Styela clava" 484 : 71-76, 2001
17 Shim KH, "Changes in major components during preparation of apricot wine" 22 (22): 139-147, 1988
18 Judd DG, "Applied colorific science for industry and business" Diamond Co 333-, 1964
19 Kim JJ,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tyela plicata" 34 : 937-941, 2006
대전, 충청 지역에서 판매되는 즉석식품의 트랜스지방 및 조지방 함량 모니터링
효소분해의 의한 붉은 대게 자숙액의 품질 및 기능성 개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