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진폐증 치료제의 임상적 응용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The Study on Clinic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for the Treatment of Pneumoconio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E6856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분진에 장기간 폭로되면 분진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폐기능 저하와 함께 폐조직에 간질성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흔히 진폐증이라 한다. 진폐증의 역사는 광산의 역사라고 할만큼 광산 근로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으로 광산업이 퇴조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진폐증인 사라져 가고 있다고 흔히 생각하기 쉽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에는 거의 모든 진폐증이 광산근로자에서 발생되었으나 근래에는 각종 제조업체의 분진근로자, 건설업체의 근로자 뿐 아니라 분진 작업장 주위의 일반 주민에서도 발생된 바 있어(윤임중등, 1994)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된 바 있다.
      광산은 밀폐되고 환기가 잘 안 되는 작업환경과 높은 분진농도 때문에 진폐증의 발생율이 높으나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광산업의 퇴조로 광산근로자에서의 진폐증 발생이 감소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제조업체나 건설업에서의 진폐증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체에서의 진폐증 발생율은 광산업에 비하여 낮아서 과거 우리나라 직업병 발생율의 70%에 달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던 진폐증이 50%이하로 감소하긴 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발생율을 유지하고 있다. 더욱이 진폐증은 비가역적이고 진행성의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합병증 발생이 빈번하여 계속적인 치료를 요하는 환자가 많다. 또한 현재 의사진폐증이나 소음영진폐증으로 장해대상이 되지 않아 관찰중인 비교적 경한 진폐증 환자도 대음영 진폐증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합병증 발생으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실제로 1997년 3월 현재 전국의 19개 진폐관리병원에서 약 2,500명에 달하는 진폐증 환자가 폐기능 장해와 합병증으로 치료받고 있으며 지금까지 진폐증으로 장해보상을 받은 환자는 648명, 그리고 1966년부터 현재까지 진폐증으로 사망한 환자가 3,114명에 달한다. 그리고 매년 진폐정밀진단 검사상 진폐증은 있으나 장해대상이 안 된다고 판정받는 환자수가 1,000여명에 이르며 의사진폐증으로 진단받은 경우도 수백명에 이르는데 진폐증이 비가역적이고 진행성의 질환임을 감안할 때 이들에 대한 관리 및 치료 그리고 더 이상의 진행을 막는 것이 근로자의 보건 뿐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진단, 치료 및 장해보상을 시행하고 있음으로 국가적인 자원소실을 방지하는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그리고 우리 연구소에서도 진폐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오랜기간 동안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진폐증의 치료법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처럼 진폐증의 치료제 개발이 어려웠던 원인으로는 진폐증의 병리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인데 진폐증은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진 폭로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이 하기도의 만성적인 염증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려진 것은 최근 10여년 간의 연구 결과이다(Warheit 등, 1986). 따라서 진폐증 치료제의 개발은 진폐증의 발생 및 진행기전에 대한 규명이 선행되어야 하고 간질의 섬유화라는 최종 결과가 나타나기 전의 중간단계에서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진폐증의 발생 및 진행기전이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유리규산분진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제조업체에서 사용되는 분진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폐장의 조직변화나 병리기전은 분진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히 20세기 들어 산업화되면서 다량으로 사용되었던 석면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섬유형 분진으로 강력한 섬유화성 및 발암성이 특징적인데 석면의 발암성은 섬유형 분진의 모양이나 내구성과 연관되어 설명되기도 한다(Lippman등, 1994). 석면의 독성이 알려진 이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인조섬유들은 석면과 같은 섬유형 분진이며 이들에 대한 안정성 여부는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연구자들은 유리규산분진을 비롯하여 최근 제조업체나 건설현장에서 자주 이용되는 인조섬유에서 진폐증의 병리기전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매개물질이나 산소유리기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을 시행하여 진폐증의 병리기전을 밝히고 치료방법을 개발하고자 1994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3년간 연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분진에 장기간 폭로되면 분진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폐기능 저하와 함께 폐조직에 간질성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흔히 진폐증이라 한다. 진폐증의 역사는 광산의 역사라고 할만큼 ...

      분진에 장기간 폭로되면 분진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폐기능 저하와 함께 폐조직에 간질성 변화가 발생하는데 이를 흔히 진폐증이라 한다. 진폐증의 역사는 광산의 역사라고 할만큼 광산 근로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으로 광산업이 퇴조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진폐증인 사라져 가고 있다고 흔히 생각하기 쉽다.
      우리나라에서도 과거에는 거의 모든 진폐증이 광산근로자에서 발생되었으나 근래에는 각종 제조업체의 분진근로자, 건설업체의 근로자 뿐 아니라 분진 작업장 주위의 일반 주민에서도 발생된 바 있어(윤임중등, 1994) 사회문제로까지 확대된 바 있다.
      광산은 밀폐되고 환기가 잘 안 되는 작업환경과 높은 분진농도 때문에 진폐증의 발생율이 높으나 산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광산업의 퇴조로 광산근로자에서의 진폐증 발생이 감소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제조업체나 건설업에서의 진폐증 발생율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업체에서의 진폐증 발생율은 광산업에 비하여 낮아서 과거 우리나라 직업병 발생율의 70%에 달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던 진폐증이 50%이하로 감소하긴 하였으나 여전히 높은 발생율을 유지하고 있다. 더욱이 진폐증은 비가역적이고 진행성의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합병증 발생이 빈번하여 계속적인 치료를 요하는 환자가 많다. 또한 현재 의사진폐증이나 소음영진폐증으로 장해대상이 되지 않아 관찰중인 비교적 경한 진폐증 환자도 대음영 진폐증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합병증 발생으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실제로 1997년 3월 현재 전국의 19개 진폐관리병원에서 약 2,500명에 달하는 진폐증 환자가 폐기능 장해와 합병증으로 치료받고 있으며 지금까지 진폐증으로 장해보상을 받은 환자는 648명, 그리고 1966년부터 현재까지 진폐증으로 사망한 환자가 3,114명에 달한다. 그리고 매년 진폐정밀진단 검사상 진폐증은 있으나 장해대상이 안 된다고 판정받는 환자수가 1,000여명에 이르며 의사진폐증으로 진단받은 경우도 수백명에 이르는데 진폐증이 비가역적이고 진행성의 질환임을 감안할 때 이들에 대한 관리 및 치료 그리고 더 이상의 진행을 막는 것이 근로자의 보건 뿐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진단, 치료 및 장해보상을 시행하고 있음으로 국가적인 자원소실을 방지하는 차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전세계적으로 그리고 우리 연구소에서도 진폐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오랜기간 동안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나 진폐증의 치료법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처럼 진폐증의 치료제 개발이 어려웠던 원인으로는 진폐증의 병리기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인데 진폐증은 매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진 폭로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이 하기도의 만성적인 염증반응에 의한 것으로 알려진 것은 최근 10여년 간의 연구 결과이다(Warheit 등, 1986). 따라서 진폐증 치료제의 개발은 진폐증의 발생 및 진행기전에 대한 규명이 선행되어야 하고 간질의 섬유화라는 최종 결과가 나타나기 전의 중간단계에서 질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진폐증의 발생 및 진행기전이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유리규산분진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제조업체에서 사용되는 분진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는데 폐장의 조직변화나 병리기전은 분진의 종류에 따라 다를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특히 20세기 들어 산업화되면서 다량으로 사용되었던 석면은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섬유형 분진으로 강력한 섬유화성 및 발암성이 특징적인데 석면의 발암성은 섬유형 분진의 모양이나 내구성과 연관되어 설명되기도 한다(Lippman등, 1994). 석면의 독성이 알려진 이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인조섬유들은 석면과 같은 섬유형 분진이며 이들에 대한 안정성 여부는 아직까지 확실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연구자들은 유리규산분진을 비롯하여 최근 제조업체나 건설현장에서 자주 이용되는 인조섬유에서 진폐증의 병리기전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매개물질이나 산소유리기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들을 시행하여 진폐증의 병리기전을 밝히고 치료방법을 개발하고자 1994년 한국학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3년간 연구를 실시한 바 있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some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mechanism of pulmonary toxicity of natural fibrous silicate, asbestos, is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oxygen-based free radical. Especially the hydroxyl radical(·OH) is believed to be the most reactive one. ·OH is a potent toxic oxidant. OH is which means highly cytotoxic, genotoxic and carcinogenic. Nevertherless there has been no previous report about. ·OH generation from man-made mineral fibers except asbestos.
      In this paper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both cytotoxicity of alveolar macrophage and lipid peroxidation of erythrocytes are associated with. OH production by mineral fibers in vit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H production in vitro was progressively increased by the concentraion dependent pattern with the same mineral fiber. The production of OH in vitro by man-made mineral fiber was markedly decreased compared with of natural mineral fiber except rock wool.
      2. Lipid peroxidation of mineral fiber-exposed erythrocyte suspen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phosphate-buffered saline(PBS) control group. Lipid peroxidation in amosite and chrysotile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other mineral fibers.
      3.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H production in vitro and lipid peroxidation of mineral fiber-exposed erythrocyte.
      4. All of mineral fibers were related to the cytotoxicity of alveolar macrophage in concentration-dependent fashion. Chrysotile and amosite were more cytotoxic than ? dolite. Among man made mineral fibers, ceramic fiber was the most cytotoxic to alveolar macrophage. The viability of alveolar macrophage exposed to asbestos was marked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man-made mineral fiber at the same concentration.
      5. There was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of OH and the viability of alveolar macrophages.
      From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production of OH in vitro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cytotoxicity of alveolar macrophage and the lipid peroxidation in mineral fiber exposed erythrocyte. And we documented that man-made mineral fiber could generate OH in vitro less than asbestos.
      번역하기

      There is some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mechanism of pulmonary toxicity of natural fibrous silicate, asbestos, is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oxygen-based free radical. Especially the hydroxyl radical(·OH) is believed to be the most reactive one....

      There is some evidence suggesting that the mechanism of pulmonary toxicity of natural fibrous silicate, asbestos, is related to the generation of oxygen-based free radical. Especially the hydroxyl radical(·OH) is believed to be the most reactive one. ·OH is a potent toxic oxidant. OH is which means highly cytotoxic, genotoxic and carcinogenic. Nevertherless there has been no previous report about. ·OH generation from man-made mineral fibers except asbestos.
      In this paper we tested the hypothesis that both cytotoxicity of alveolar macrophage and lipid peroxidation of erythrocytes are associated with. OH production by mineral fibers in vitr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H production in vitro was progressively increased by the concentraion dependent pattern with the same mineral fiber. The production of OH in vitro by man-made mineral fiber was markedly decreased compared with of natural mineral fiber except rock wool.
      2. Lipid peroxidation of mineral fiber-exposed erythrocyte suspen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phosphate-buffered saline(PBS) control group. Lipid peroxidation in amosite and chrysotile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other mineral fibers.
      3.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H production in vitro and lipid peroxidation of mineral fiber-exposed erythrocyte.
      4. All of mineral fibers were related to the cytotoxicity of alveolar macrophage in concentration-dependent fashion. Chrysotile and amosite were more cytotoxic than ? dolite. Among man made mineral fibers, ceramic fiber was the most cytotoxic to alveolar macrophage. The viability of alveolar macrophage exposed to asbestos was markedly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man-made mineral fiber at the same concentration.
      5. There was th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oduction of OH and the viability of alveolar macrophages.
      From these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the production of OH in vitro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cytotoxicity of alveolar macrophage and the lipid peroxidation in mineral fiber exposed erythrocyte. And we documented that man-made mineral fiber could generate OH in vitro less than asbesto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진폐증 치료제의 임상적 응용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문초록
      • 1.진폐증의 별리기전과 치료약제의 선택
      • 2.실험관내 진폐증 모델에서의 치료효과
      • 3.쥐를 실험 규폐증 모델에서 치료효과
      • 진폐증 치료제의 임상적 응용 및 개발에 관한 연구
      • 국문초록
      • 1.진폐증의 별리기전과 치료약제의 선택
      • 2.실험관내 진폐증 모델에서의 치료효과
      • 3.쥐를 실험 규폐증 모델에서 치료효과
      • 참고문헌
      • 사진부도
      • 광물성 섬유의 수산이온기 생성이 흰쥐 폐포대식세포의 세포독성과 적혈구 세포막의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
      • 서론
      • 재료 및 방법
      • 성적
      • 고찰
      • 요약
      • References
      • 광물성 섬유의 폐장내 주입에 따른 조직변화와 MIP-2의 관련성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