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善美, "한일 표준어, 한국어 제주방언과 전라남도방언 종조사의 출현양상과 정보관리기능" 2022
2 고재환, "제주어개론 하" 圖書出版보고사 2011
3 김지홍,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도서출판 경진 2014
4 김지홍, "제주 방언의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 체계" 한글학회 (313) : 109-171, 2016
5 김지홍, "제주 방언 통사의 몇 측면" 경진출판 2021
6 강희숙, "전남방언 담화 표지 고찰 -종결 담화 표지를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원 27 : 43-67, 2011
7 李基甲, "동사와 감탄사의 조사화" 사단법인한국언어학회 2020
8 李基甲, "국어 방언의 담화표지" 圖書出版亦樂 2018
9 李基甲, "국어 방언 문법" 太學社 2003
10 金善美, "韓日終助詞と終結語尾の情報管理機能と話し手・聞き手との相関性について" Zoomによるオンライン 2021
1 金善美, "한일 표준어, 한국어 제주방언과 전라남도방언 종조사의 출현양상과 정보관리기능" 2022
2 고재환, "제주어개론 하" 圖書出版보고사 2011
3 김지홍, "제주 방언의 통사 기술과 설명: 기본구문의 기능범주 분석" 도서출판 경진 2014
4 김지홍, "제주 방언의 선어말어미와 종결어미 체계" 한글학회 (313) : 109-171, 2016
5 김지홍, "제주 방언 통사의 몇 측면" 경진출판 2021
6 강희숙, "전남방언 담화 표지 고찰 -종결 담화 표지를 중심으로 -" 언어정보연구원 27 : 43-67, 2011
7 李基甲, "동사와 감탄사의 조사화" 사단법인한국언어학회 2020
8 李基甲, "국어 방언의 담화표지" 圖書出版亦樂 2018
9 李基甲, "국어 방언 문법" 太學社 2003
10 金善美, "韓日終助詞と終結語尾の情報管理機能と話し手・聞き手との相関性について" Zoomによるオンライン 2021
11 金善美, "韓國語濟州方言の自然發話の書き起こしテキスト—昔の食べ物—" 熊本大學文學部言語學研究室 14 : 81-105, 2015
12 金善美, "韓國語標準語・濟州方言・全羅南道方言の終助詞と情報管理機能" 熊本大學文學部言語學研究室 20 : 73-86, 2021
13 李基甲, "韓國語方言の談話標識" 251 : 1-41, 2019
14 李基甲, "韓國語方言の談話標識" 天理大學 2018
15 金善美, "韓國語と日本語の終助詞と終結語尾の情報管理機能について" 19 : 33-46, 2020
16 金善美, "韓國語と日本語の終助詞と終結語尾の情報管理機能と聞き手の存在について" Zoom によるオンライン 2021
17 金善美, "韓國語と日本語の独話における終助詞・終結語尾と情報管理機能" 朝鮮學會, 於:天理大學 2018
18 金善美, "現代韓國語と日本語の"遭遇系間投詞"に表れる話し手の事態評価について" 熊本大學文學部言語學研究室 11 : 69-84, 2012
19 金善美, "比較・対照言語研究の新たな展開─三層モデルによる広がりと深まり─" 開拓社 2022
20 益岡隆志, "基礎日本語文法" くろしお出版 1992
21 李基甲, "國語學講座6方言" 太學社 449-493, 1998
22 廣瀬幸生, "三層モデルでみえてくる言語の機能としくみ" 開拓社 2017
23 千田俊太郎, "ウェブと語彙集 : 朝鮮語濟州方言語彙研究の課題と展望" 熊本大學文學部言語學研究室 16 : 35-46, 2017
24 이기갑, "「전남 북부방언의 상대높임법」"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 : 143-162, 1982
25 TIDA Syuntarô, "Morphological system of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Jeju dialect of Korean" Kyoto Universit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