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토지개혁과 정치 엘리트의 역할 유형에 관한 연구 : 체코슬로바키아(1918-1925)와 터키(1945-1950)의 토지개혁 정책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85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체코슬로바키아와 터키 양국의 토지개혁 사례에서 정치 엘리트들이 수행한 역할과 그에 따른 개혁의 결과를 비교 ․ 고찰한다. 양국은 극단적인 토지집중이라는 유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토지개혁을 실시했지만 그 결과는 전혀 달랐다. 터키는 사회개혁에 무관심했던 RPP 정권 때문에 토지개혁에서 실패와 좌절을 겪은 반면, 체코슬로바키아는 약간의 비판적 논란에도 엘리트들이 이루어낸 업적 가운데 하나로 토지개혁이 손꼽히고 있다. 정치 엘리트들은 토지개혁의 착수와 계획 수립의 단계뿐만 아니라 토지개혁의 실시와 결과에 이르는 전반적인 정책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토지개혁의 착수 자체가 그들이 권력에 대한 자신들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토지개혁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시작되고, 토지개혁 과정에서 엘리트들이 보여주는 정책적 의지에 따라 추진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양국의 토지개혁 과정을 고찰한 결과, 정치 엘리트, 지주계급, 농민계급의 삼자 관계에서 나타나는 이익동맹 유형이 결정적인 요소로 작동했다. 터키의 정치 엘리트들은 토지개혁의 수혜 대상인 절대 다수의 농민대중을 소외시키고 지주계급의 이익과 타협했다. 반면, 체코슬로바키아는 토지개혁을 반대하는 지주계급이나 귀족계급에서 독립하여 농민대중과 이익동맹을 형성하였다. 사무엘 헌팅턴이 분류한 정당 체계 유형을 적용하면, 터키는 배타적 엘리트 체계에 속하고 체코슬로바키아는 혁명적 엘리트 체계에 속한다. 배타적 엘리트 체계에서는 정치적 권위가 분산되면서 지주계급들이 토지개혁을 좌절시킬 수 있었고 혁명적 엘리트 체계 하에서는 권력이 집중되면서 지주계급의 저항을 약화시킬 수 있었다. 배타적 체계 하에서 터키의 엘리트들은 지주계급의 이익을 옹호하는 데 집착함으로써 집권당인 RPP 정당의 안정화에 부정적인 기여를 했고, 혁명적 체계 하에서의 체코슬로바키아 엘리트들은 공평성에 바탕을 둔 강력한 토지 재분배를 추진할 수 있었다. 토지개혁의 정치적 결과는 지지자들의 참여와 지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혁명적 체계 하의 체코슬로바키아는 농민 이익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개혁을 추진함으로써 다수를 차지하는 농민들의 지지를 확보하여 권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반면, 터키의 RPP 정권은 소수의 지식인과 지주계급에 기대어 토지개혁에 무성의함으로써 신생 야당인 민주당(DP)에 정권을 내주게 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체코슬로바키아와 터키 양국의 토지개혁 사례에서 정치 엘리트들이 수행한 역할과 그에 따른 개혁의 결과를 비교 ․ 고찰한다. 양국은 극단적인 토지집중이라는 유사한 문제점을...

      본 연구는 체코슬로바키아와 터키 양국의 토지개혁 사례에서 정치 엘리트들이 수행한 역할과 그에 따른 개혁의 결과를 비교 ․ 고찰한다. 양국은 극단적인 토지집중이라는 유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토지개혁을 실시했지만 그 결과는 전혀 달랐다. 터키는 사회개혁에 무관심했던 RPP 정권 때문에 토지개혁에서 실패와 좌절을 겪은 반면, 체코슬로바키아는 약간의 비판적 논란에도 엘리트들이 이루어낸 업적 가운데 하나로 토지개혁이 손꼽히고 있다. 정치 엘리트들은 토지개혁의 착수와 계획 수립의 단계뿐만 아니라 토지개혁의 실시와 결과에 이르는 전반적인 정책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토지개혁의 착수 자체가 그들이 권력에 대한 자신들의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 토지개혁이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하면서 시작되고, 토지개혁 과정에서 엘리트들이 보여주는 정책적 의지에 따라 추진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양국의 토지개혁 과정을 고찰한 결과, 정치 엘리트, 지주계급, 농민계급의 삼자 관계에서 나타나는 이익동맹 유형이 결정적인 요소로 작동했다. 터키의 정치 엘리트들은 토지개혁의 수혜 대상인 절대 다수의 농민대중을 소외시키고 지주계급의 이익과 타협했다. 반면, 체코슬로바키아는 토지개혁을 반대하는 지주계급이나 귀족계급에서 독립하여 농민대중과 이익동맹을 형성하였다. 사무엘 헌팅턴이 분류한 정당 체계 유형을 적용하면, 터키는 배타적 엘리트 체계에 속하고 체코슬로바키아는 혁명적 엘리트 체계에 속한다. 배타적 엘리트 체계에서는 정치적 권위가 분산되면서 지주계급들이 토지개혁을 좌절시킬 수 있었고 혁명적 엘리트 체계 하에서는 권력이 집중되면서 지주계급의 저항을 약화시킬 수 있었다. 배타적 체계 하에서 터키의 엘리트들은 지주계급의 이익을 옹호하는 데 집착함으로써 집권당인 RPP 정당의 안정화에 부정적인 기여를 했고, 혁명적 체계 하에서의 체코슬로바키아 엘리트들은 공평성에 바탕을 둔 강력한 토지 재분배를 추진할 수 있었다. 토지개혁의 정치적 결과는 지지자들의 참여와 지지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혁명적 체계 하의 체코슬로바키아는 농민 이익이 보장되는 방향으로 개혁을 추진함으로써 다수를 차지하는 농민들의 지지를 확보하여 권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반면, 터키의 RPP 정권은 소수의 지식인과 지주계급에 기대어 토지개혁에 무성의함으로써 신생 야당인 민주당(DP)에 정권을 내주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land reform policies in both Czechoslovakia (1919-1925) and Turkey (1945-1950). In this context, each land reform initiative represents a major policy that differentiat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political parties in each country.
      As such, I shall try to present two land reform models from history that are very different in their national modernization processes - the cases of Czechoslovakia and Turkey. Although they were led by the ruling power elites of each country, they originated from different social settings.
      Czechoslovakia"s land reform model was executed by the elites in unison with the peasantry in a revolutionary coalition, while the Turkish model was that of an interest coalition between the elites and the landed oligarchy.
      Such a conclusion is derived from the different applications of these two land reform models. In other words, the exclusionary elite system of an interest coalition with the landed class in Turkey was less effective than the revolutionary elite system based on an interest coalition with the landless class in Czechoslovakia. The reason for this conclusion is that, in the elite coalition system, there are several opportunities to frustrate land reform policies through decentralization of the political authority, whereas, on the contrary, in the revolutionary elite system, the centralization of authority prevents resistance from landowners regarding reform.
      The land reform programs of these two countries brought several different political results in the enforcement of land reform of the elites, the increase in peasant support toward the existing political system, and the enlarge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Czechoslovakia and Turkey.
      번역하기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land reform policies in both Czechoslovakia (1919-1925) and Turkey (1945-1950). In this context, each land reform initiative represents a major policy that differentiat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poli...

      This research compares and analyzes the land reform policies in both Czechoslovakia (1919-1925) and Turkey (1945-1950). In this context, each land reform initiative represents a major policy that differentiates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political parties in each country.
      As such, I shall try to present two land reform models from history that are very different in their national modernization processes - the cases of Czechoslovakia and Turkey. Although they were led by the ruling power elites of each country, they originated from different social settings.
      Czechoslovakia"s land reform model was executed by the elites in unison with the peasantry in a revolutionary coalition, while the Turkish model was that of an interest coalition between the elites and the landed oligarchy.
      Such a conclusion is derived from the different applications of these two land reform models. In other words, the exclusionary elite system of an interest coalition with the landed class in Turkey was less effective than the revolutionary elite system based on an interest coalition with the landless class in Czechoslovakia. The reason for this conclusion is that, in the elite coalition system, there are several opportunities to frustrate land reform policies through decentralization of the political authority, whereas, on the contrary, in the revolutionary elite system, the centralization of authority prevents resistance from landowners regarding reform.
      The land reform programs of these two countries brought several different political results in the enforcement of land reform of the elites, the increase in peasant support toward the existing political system, and the enlarge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Czechoslovakia and Turke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Ⅰ. 서론
      • Ⅱ. 분석 구조와 가설
      • Ⅲ. 토지개혁과 엘리트의 이익동맹
      • Ⅳ. 토지개혁과 엘리트의 정책 의지
      • 국문 요약
      • Ⅰ. 서론
      • Ⅱ. 분석 구조와 가설
      • Ⅲ. 토지개혁과 엘리트의 이익동맹
      • Ⅳ. 토지개혁과 엘리트의 정책 의지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olečka, Josefa, "Česká šlechta: Výklady časové i historické" Česko-moravské podniky tiskařské a vydavatelské 1918

      2 Karpat, Kemal H., "Turkey's Politics, The Transition to a Multi-Party Syste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3 Bhattacharya, Prasad S., "The political economy of land reform enactments: New cross-national evidence (1900-2010)" Elsevier 139 (139): 50-68, 2019

      4 Frey, Frederick W., "The Turkish Political Elite" MIT Press 1965

      5 Webster, Donald E., "The Turkey of Atatürk"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939

      6 Parsons, Talcott, "The Social System" The Macmillan Company 1951

      7 Coleman, James S., "The Politics of the Developing Area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0

      8 Lewis, Bernard, "The Emergence of Modern Turkey" Oxford Univ. Press 1962

      9 Lasswell, Harold D., "The Comparative Study of Elites: An Introduction and Bibliography" Hoover Institution 1952

      10 Kaufman, Robert R., "The Chilean Political Right and Agrarian Reform: Resistance and Moderation" Institute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Political Systems 1967

      1 Holečka, Josefa, "Česká šlechta: Výklady časové i historické" Česko-moravské podniky tiskařské a vydavatelské 1918

      2 Karpat, Kemal H., "Turkey's Politics, The Transition to a Multi-Party Syste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9

      3 Bhattacharya, Prasad S., "The political economy of land reform enactments: New cross-national evidence (1900-2010)" Elsevier 139 (139): 50-68, 2019

      4 Frey, Frederick W., "The Turkish Political Elite" MIT Press 1965

      5 Webster, Donald E., "The Turkey of Atatürk"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1939

      6 Parsons, Talcott, "The Social System" The Macmillan Company 1951

      7 Coleman, James S., "The Politics of the Developing Area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0

      8 Lewis, Bernard, "The Emergence of Modern Turkey" Oxford Univ. Press 1962

      9 Lasswell, Harold D., "The Comparative Study of Elites: An Introduction and Bibliography" Hoover Institution 1952

      10 Kaufman, Robert R., "The Chilean Political Right and Agrarian Reform: Resistance and Moderation" Institute for the Comparative Study of Political Systems 1967

      11 Hahn, Fred, "T. G. Masaryk (1850–1937) Vol. 3: Statesman and Cultural Force" Macmillan 99-124, 1989

      12 Lipset, Seymour M., "Some Social Requisites of Democracy: Economic Development and Political Legitimacy" 53 (53): 69-105, 1959

      13 Moore Barrington, "Social Origins of Dictatorship and Democracy: Lord and Peasant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Beacon Press 1966

      14 Vomáčka, Michal, "Prvni pozemkova reforma v CSR a srovnani pridelu pudy v Plzenskem Kraji" Zapadoceska univerita v Plzni, Fukulta filozoficka 2016

      15 Huntington, Samuel P., "Political Order in Changing Societies" Yale University Press 1968

      16 Pennock, J. Roland, "Political Development, Political System, and Political Goods" 18 : 413-434, 1966

      17 Ladejinsky, Wolf I., "Policies for Promoting Agricultural Development: Report of A Conference on Productivity and Innovation in Agriculture in the Underdeveloped Countries" Center for International Studies, MIT 1965

      18 Beer, Samuel H., "Patterns of Government: The Major Political Systems of Europe" Random House 1962

      19 Starner, Frances L., "Magsaysay and the Philippine Peasantry: The Agrarian Impact on Philippine Politics, 1953-1956"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6

      20 Froehlich, Walter, "Land Tenure, Industrialization and Social Stability:Experience and prospects in Asia" Marquette University Press 1961

      21 Parson; Kenneth H., "Land Tenur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56

      22 U. N., "Land Reform, Defects in Agrarian Structure as Obstacles to Economic Development" 1951

      23 Warriner, Doreen, "Land Reform in Principle and Practice" Clarendon Press 1969

      24 Textor, Lucy E., "Land Reform in Czechoslovakia" Allen & Unwin Ltd. 1923

      25 Warriner, Doreen, "Land Reform and Economic Development" National Bank of Egypt 1955

      26 Senior, Clarence, "Land Reform and Democracy" University of Florida Press 1958

      27 Hirschman, Albert O., "Journeys Toward Progress, Studies of Economic Policy-Making in Latin America" Twentieth Century Fund 1963

      28 Jacoby, Erich H., "Inter-relationship Between Agrarian Reform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FAO 1953

      29 Carroll, Thomas F., "Explosive Forces in Latin America" The Ohio State University Press 1964

      30 Rothschild, Joseph, "East Central Europe between the Two World War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2

      31 Glassheim, Eagle, "Crafting a Post-Imperial Identity. Nobles and Nationality Politics in Czechoslovakia, 1918-1948" Columbia University 2000

      32 Almond, Gabriel, "Comparative Politics: A Developmental Approach" Little, Brown & Co. 1966

      33 Menges, Constantine, "Chile’s Landowners Association and Agrarian Reform and Bureaucracies In Chile: 1962-1964" The RAND Corp. 1962

      34 Peroutka, Ferdinand, "Budování statu [Building the State]" Lidovénoviny 1933

      35 Karpat, Kemal H., "Beginnings of Modernization in the Middle Eas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68

      36 Özbudun, Ergun, "Authoritarian Politics in Modern Society: The Dynamics of Established One-Party Systems" Basic Books 380-405, 1970

      37 Huntington, Samuel P., "Authoritarian Politics in Modern Society: The Dynamics of Established One-Party Systems" Basic Books Inc. 1970

      38 McCoy, Terry Luther, "Agrarian reform in Chile, 1962-1968; a study of politic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The University Wisconsin 1968

      39 Philips, Price M., "A History of Turkey" Humanities Press, Inc. 1968

      40 U. N., "1954, 1956, 1962, 1966. Progress in Land Reform, First-Fourth Reports"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