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신체제와 국가의 유사종교화 : 대통령 탄핵 사태의 이해를 위한 시론(試論)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85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유신체제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지 않으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의 역사적 맥락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유신체제에 대한 한국 학계의 해석은 “독재자의 장기집권을 위한 체제”였다는 시각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2017년 전대미문의 대통령 탄핵 사태와 그 배경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도 이제까지와는 다른 시각으로 지난 유신체제의 정신사적 의미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유신체제는 그 이름만이 일본의 유신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일본의 유신이 지향했던 천황제 국가주의를 통한 근대화와 그것을 가능하게 만든 일본적 ‘시민종교’를 본뜨는 형태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국가신도와 결합한 일본의 시민종교에 필적하는 것을 한국은 자신의 전통 속에서 소환할 수 없었다. 따라서 국가 주도의 새마음운동과 같은 시민종교 창출을 위한 시도는 국가주의를 위한 유사종교의 형태로 추진되었고, 그러한 구조 속에서 지난 대통령 탄핵 사태에서 논란이 된 박 전대통령의 통치 스타일과 인간관계가 배태되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유신체제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지 않으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의 역사적 맥락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유신체제에 대한 한국 학계의 해석...

      본 논문은 유신체제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지 않으면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의 역사적 맥락을 정확히 인식하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유신체제에 대한 한국 학계의 해석은 “독재자의 장기집권을 위한 체제”였다는 시각이 여전히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2017년 전대미문의 대통령 탄핵 사태와 그 배경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도 이제까지와는 다른 시각으로 지난 유신체제의 정신사적 의미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유신체제는 그 이름만이 일본의 유신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일본의 유신이 지향했던 천황제 국가주의를 통한 근대화와 그것을 가능하게 만든 일본적 ‘시민종교’를 본뜨는 형태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국가신도와 결합한 일본의 시민종교에 필적하는 것을 한국은 자신의 전통 속에서 소환할 수 없었다. 따라서 국가 주도의 새마음운동과 같은 시민종교 창출을 위한 시도는 국가주의를 위한 유사종교의 형태로 추진되었고, 그러한 구조 속에서 지난 대통령 탄핵 사태에서 논란이 된 박 전대통령의 통치 스타일과 인간관계가 배태되었던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plores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in the context of the Yushin System in the 70’s in terms of its political spiritual core. Up to the present, the mainstream understanding of the Korean academia is that the Yushin system existed for the only one person and there was not much diversity in its interpretation of it for the reason of political correctnes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precedented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it is necessary to delve into the spiritual core of the Yushin System from a new perspective.
      The Korean Yushin System does not only get its name from the Japanese Meiji Yushin, but also pursued the Japanese emperor system with the Shinto as its state religion which was widely accepted and practiced among Japanese people as civil religion. Korean, on the other hand, was deprived of this religious practice in the state level. Therefore, the Saemaeum movement of this period had a characteristic of pseudo-religion and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 civil religion, comparable to Japanese Shinto, to form a strong nationalistic ideology. The former President Park’s private associates and her style in governance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causing scandals that led to the impeachment.
      번역하기

      This thesis explores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in the context of the Yushin System in the 70’s in terms of its political spiritual core. Up to the present, the mainstream understanding of the Korean academia is that the Yushin syst...

      This thesis explores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in the context of the Yushin System in the 70’s in terms of its political spiritual core. Up to the present, the mainstream understanding of the Korean academia is that the Yushin system existed for the only one person and there was not much diversity in its interpretation of it for the reason of political correctnes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nprecedented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it is necessary to delve into the spiritual core of the Yushin System from a new perspective.
      The Korean Yushin System does not only get its name from the Japanese Meiji Yushin, but also pursued the Japanese emperor system with the Shinto as its state religion which was widely accepted and practiced among Japanese people as civil religion. Korean, on the other hand, was deprived of this religious practice in the state level. Therefore, the Saemaeum movement of this period had a characteristic of pseudo-religion and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a civil religion, comparable to Japanese Shinto, to form a strong nationalistic ideology. The former President Park’s private associates and her style in governance can be understood in this context, causing scandals that led to the impeach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유신체제’에 대한 기존의 해석 및 본 논문의 시각
      • Ⅲ. 일본의 유신과 국가신도
      • Ⅳ. 한국형 ‘유신’과 ‘시민종교’의 창출
      • 국문 요약
      • Ⅰ. 들어가며
      • Ⅱ. ‘유신체제’에 대한 기존의 해석 및 본 논문의 시각
      • Ⅲ. 일본의 유신과 국가신도
      • Ⅳ. 한국형 ‘유신’과 ‘시민종교’의 창출
      • Ⅴ. 나오며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야스마루 요시오, "현대일본사상론" 논형 2006

      2 박정희, "한일협정비준서 교환에 즈음한 담화문.(1965년 12월 18일)"

      3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서문당 1999

      4 박태균, "특집총론 : 세계사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측면에서 본 유신체제" 한국역사연구회 (88) : 19-33, 2013

      5 김수길, "태자마마와 유신공주" 간석출판사 2012

      6 탁지일, "최태민과 한국 기독교" 698 : 2017

      7 아마 도시마로, "천황제국가 비판" 제이앤씨 2007

      8 김용관, "천황" 북랩 2019

      9 송희영, "진짜보수 가짜보수" 21세기북스 2019

      10 남경태, "종횡무진 한국사" 휴머니스트 2019

      1 야스마루 요시오, "현대일본사상론" 논형 2006

      2 박정희, "한일협정비준서 교환에 즈음한 담화문.(1965년 12월 18일)"

      3 박은식,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서문당 1999

      4 박태균, "특집총론 : 세계사적 보편성과 특수성의 측면에서 본 유신체제" 한국역사연구회 (88) : 19-33, 2013

      5 김수길, "태자마마와 유신공주" 간석출판사 2012

      6 탁지일, "최태민과 한국 기독교" 698 : 2017

      7 아마 도시마로, "천황제국가 비판" 제이앤씨 2007

      8 김용관, "천황" 북랩 2019

      9 송희영, "진짜보수 가짜보수" 21세기북스 2019

      10 남경태, "종횡무진 한국사" 휴머니스트 2019

      11 함성득, "제왕적 대통령의 종언" 섬앤섬 2018

      12 박정희, "전국 새마을 지도자 대회 유시.(1977년 12월 9일)"

      13 박규태, "일본정신의 풍경" 한길사 2010

      14 차남희, "일본의 시민종교와 신도 - 메이지 초기의 국가신도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12 (12): 81-104, 2009

      15 송병헌, "유신지배체제와 반유신운동, 특집 : 박정희, 왜 넘어서야 하는가?" (13) : 2005

      16 김영수, "유신과 반유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05

      17 이경숙, "유신과 대학" 역락 2018

      18 한홍구, "유신 :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 한겨레출판 2014

      19 박정희, "우리 민족의 나갈 길(1962) 박정희 전집 6" 기파랑 2017

      20 박정희, "연두 기자 회견.(1977년 1월 12일)"

      21 박정희, "신년사.(1979년 1월 1일)"

      22 박정희, "신년사.(1978년 1월 1일)"

      23 서중석, "서중석의 현대사 이야기. 8, 경제 성장, 박정희 공로? 위험한 착각!" 오월의봄 2017

      24 박근혜, "새마음의 길" 사단법인 구국여성봉사단 1979

      25 박규태, "상대와 절대로서의 일본 : 종교와 사상의 깊이에서 본 일본문화론" 제이앤씨 2005

      26 이준식, "박정희의 식민지 체험과 박정희시대의 기원" 역사문제연구소 (89) : 236-256, 2009

      27 박정희, "민족의 저력(1971) 박정희 전집 8" 기파랑 2017

      28 박정희, "민족 중흥의 길(1978) 박정희 전집 9" 기파랑 2017

      29 알렉시스 드 토크빌, "미국의 민주주의" 계명대학교출판부 2011

      30 조용래, "또 하나의 가족 최태민, 임선이, 그리고 박근혜"

      31 강인철, "두 개의 대한민국?: 시민종교 접근으로 본 전환기의 한국사회" 민주사회정책연구원 (31) : 132-163, 2016

      32 로버트 엔 벨라, "도쿠가와 종교 : 근대 일본 문화적 뿌리" 현상과 인식 1997

      33 강준식, "대한민국의 대통령들" 김영사 2017

      34 이영훈, "대한민국 역사" 기파랑 2019

      35 허문명, "김지하와 그의 시대"

      36 박정희, "국가와 혁명과 나(1963) 박정희 전집7" 기파랑 2017

      37 박근혜, "고난을 벗삼아 진실을 등대삼아" 부일 1998

      38 ロバート ․ N.ベラー, "破られた契約 : アメリカ宗教思想の伝統と試練" 未来社 1983

      39 黒田勝弘, "朴 ․ 崔ゲートの核心 韓国的人間関係論" 2017

      40 古川隆久, "昭和天皇「理性の君主」の孤独" 中公新書 2012

      41 ロバート ․ N.ベラー, "心の習慣 : アメリカ個人主義のゆくえ" みすず書房 1991

      42 마루야마 마사오, "R. N. Bellah『德川時代의 宗敎』의 救助와 性格" 10 : 10-, 1991

      43 박정희, "5.16혁명 제11주년 및 제7회 5.16 민족상 시상식 치사.(1973년 5월 16일)"

      44 김행선, "1970년대 유신체제기 학교새마을운동의 조직과 활동-대학새마을운동을 중심으로" 선인출판사 2017

      45 신명주, "(박정희의)양날의 선택" 일조각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