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교과내용 지식이 문학 수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소질이 수업을 좌우하는데 중요한 요건이라는 것을 초등 국어 문학 수업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교과내용 지식이 문학 수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소질이 수업을 좌우하는데 중요한 요건이라는 것을 초등 국어 문학 수업을 ...
이 글은 교과내용 지식이 문학 수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과 전문가로서의 교사의 소질이 수업을 좌우하는데 중요한 요건이라는 것을 초등 국어 문학 수업을 예로 들어 검토했다. 중등에 비해 초등은, 교과지식의 중요성이나 비중이 상대적으로 소홀히 인식되기도 하나, 그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요건임에 틀림없다.
이 글에서 관찰한 수업은 민담을 제재로 인물과 배경의 특성을 탐구한 수업이다. 교사는 교육연극적 기법을 활용해 생동감 넘치는 수업을 전개했다. 그런데 수업은 맥락에 따른 배경과 인물의 특성을 검토하기보다 특정 공간에서 인물이 겪었던 심리상태를 소개하는데 그쳤다. 이러한 수업 결과는, 교과 내용 지식을 적절히 활용하여 학습 활동을 체계적으로 설계하지 못한 데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민담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했을 때 배경과 인물의 특성을 고려한 읽기 역시 가능했으리라는 것이다. 이는 수업의 모형이나 형식도 중요하나 교과 내용이 보다 강조돼야 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사례라 하겠다. 굳이 교수학습전환이라고 하지 않더라도 교사에겐 교과의 내용 지식을 수업에 잘 적용하는 능력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nalysis is how content knowledge of korean was influencing on the pratice of teaching. Subject as an expert teacher’s aptitude to influence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at it is an important requirement,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classes to...
This analysis is how content knowledge of korean was influencing on the pratice of teaching. Subject as an expert teacher’s aptitude to influence the quality of instruction that it is an important requirement,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classes to do the actual classes, for example, examined how it works. Elementary and secondary compared to the importance of content knowledge and the relative neglect of gravity may recognize one elementary class also shoul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knowledge. Reviewed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to think about the background and character than the background to introduce the space behavior and psychological state experienced in introducing stopped. Results were also obtained independent of the target classes. Therefore, in order to successfully achieve instructional objectives than the type of class bilingual teaching in the subject matter content knowledge is applied need to b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folk tales, quest-story or initiation-story, and folk tales of the spac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on the behavior of the main character a little more look closely. To this end, the characteristics and nature of subject matter, which fits folklore that seems appropriate to apply. An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contexts surrounding the subject matter, and the lessons that can be applied to this request, the appropriate use of language knowledge.
참고문헌 (Reference)
1 Vierne, S., "통과제의와 문학" 문학동네 1996
2 설규주,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 분석 연구 -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29-51, 2009
3 정창호,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11
4 사또 마나부,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살림터 2011
5 Amstrong, K., "신화의 역사" 문학동네 2005
6 고미례, "신님 과학교사의 교고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부산대학교 2009
7 사또 마나부,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니티 2011
8 서근원, "수업을 왜 하지?" 우리교육 2009
9 이재남, "수업예술론" 미래희망 2011
10 서근원,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 가람문화사 2007
1 Vierne, S., "통과제의와 문학" 문학동네 1996
2 설규주, "초등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내용교수지식(PCK) 분석 연구 -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8 (48): 29-51, 2009
3 정창호,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삼우반 2011
4 사또 마나부,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살림터 2011
5 Amstrong, K., "신화의 역사" 문학동네 2005
6 고미례, "신님 과학교사의 교고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부산대학교 2009
7 사또 마나부, "수업이 바뀌면 학교가 바뀐다" 에듀니티 2011
8 서근원, "수업을 왜 하지?" 우리교육 2009
9 이재남, "수업예술론" 미래희망 2011
10 서근원,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 가람문화사 2007
11 신을진, "수업에서 교사의 정체성 찾기"
12 이혁규, "수업, 비평의 눈으로 읽다" 우리교육 2008
13 이혁규, "수업, 비평을 만나다" 우리교육 2007
14 이혁규, "수업, 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교육공동체 벗 2013
15 함영기, "수업 전문성의 재개념화를 위한 실천적 탐색" 한국학술정보 2010
16 심영택, "수업 비평적 글쓰기 방법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37 (37): 379-402, 2010
17 정재찬, "수업 비평적 관점을 통한 초등 국어 수업 사례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0 (10): 107-139, 2010
18 정재찬, "수업 비평적 관점을 통한 중등 국어 수업 사례 연구" 국어교육학회 46 (46): 467-504, 2010
19 엄훈, "수업 비평 수업의 사례 분석 -예비교사들의 국어 수업 비평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5 (35): 359-386, 2012
20 김병수, "국어 수업 분석을 통한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PCK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97) : 7-36, 2013
21 박승배, "교육비평-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22 김태현, "교사, 수업에서 나를 만나다" 좋은교사 2012
23 이선경,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적 지식:PCK와 실천적 지식" 75-83, 2013
24 박영민, "과정중심 비평문 쓰기" 교학사 2003
25 정창호, "가르치기 힘든 시대의 교육" 삼우반 2005
선진국의 표현 교육과 평가 사례 연구-프랑스와 뉴질랜드를 중심으로-
한국어능력시험 읽기 영역 난이도 분석-외국인과 국내 초등학생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 ![]() |
2013-12-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1.479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