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도서관 공유공간에 대한 이용자 인식 및 요구 분석 = A Study on User Perception and Demand for Library's Shared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74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 public libraries are common assets of the local people and commons of this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library and the perception of the utilization aspects of the shared space among the...

      Modern public libraries are common assets of the local people and commons of this 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library and the perception of the utilization aspects of the shared space among the actual users of the library, and to identify what users are demanding for various sharing activities. For this study, drawing analysis, field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 survey were conducted for five public library cases. The final 545 valid samples were extracted from each case. For the analysis method, SPSS was used and the relative importance and IPA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meaningful results were obtained. 1) Users recognized the library as a necessary facility in the region for sharing knowledge information. 2) The library's shared space has been confirmed by users that the access system from the outside to the shared space properly guaranteed and have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current introduction space composition for access. 3) The users, especially young people, recognized that modern shared culture trends are relatively well reflected in the library space, especially the reading space of books in the IC area. 4) The IC area is known to have the highest utilization rate among shared spaces and is also the space that users consider the most important. 5) The user's perceptions and demands on the library were found to be partially related to the purpose of using the library. 6)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for the library's shared space,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rs actively demand the practical improvement on the inconvenience of shared space that they usually u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도서관연감" 한림출판사 2018

      2 문화체육관광부,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남북장애인교류협회 2018

      3 최문정, "서울소재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인식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77-101, 2016

      4 황미영, "도서관 이용자 공간의 만족도 및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48) : 100-107, 2014

      5 Stuart Kells, "더 라이브러리" 현암사 2018

      6 윤희윤, "대구 시민의 공공도서관 인식 조사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7 (47): 99-124, 2016

      7 지선,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8 (28): 461-480, 2017

      8 Robert Dawson, "공공도서관" 한스미디어 2015

      9 "https://www.slcpl.org"

      10 "https://mplib.mapo.go.kr/mcl/index.do"

      1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도서관연감" 한림출판사 2018

      2 문화체육관광부, "전국문화기반시설총람" 남북장애인교류협회 2018

      3 최문정, "서울소재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인식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33 (33): 77-101, 2016

      4 황미영, "도서관 이용자 공간의 만족도 및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48) : 100-107, 2014

      5 Stuart Kells, "더 라이브러리" 현암사 2018

      6 윤희윤, "대구 시민의 공공도서관 인식 조사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7 (47): 99-124, 2016

      7 지선, "공공도서관 공간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 및 요구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8 (28): 461-480, 2017

      8 Robert Dawson, "공공도서관" 한스미디어 2015

      9 "https://www.slcpl.org"

      10 "https://mplib.mapo.go.kr/mcl/index.do"

      11 "https://lib.seoul.go.kr"

      12 "https://gmilib.gm.go.kr/SohaMain.do"

      13 "https://clip.go.kr"

      14 "http://www.suwonlib.go.kr/hms/"

      15 "http://www.seocholib.or.kr/docwww/"

      16 "http://www.law.go.kr"

      17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9-2023 제3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23 0.406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