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들음의 인간학 -하이데거 철학에서 인간 현존재의 본래적인 존재방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198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는 인간 현존재의 존재방식에 관한 사유와 지속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 현존재의 존재방식은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분석론을 통해 주제적으로 다루어진다. 반면 후기에서는 더 이상 주제적으로 다루어지는 것 같지 않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인간을 주제적으로 다루지 않는 방식으로 여전히 인간의 존재방식을 다루고 있다. 그는 인간의 존재방식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인간의 본질과 존재와의 관련에 대한 숙고가 선행되어야 된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전·후기 사유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서 인간의 본래적인 존재방식을 들음으로서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근거는 『존재와 시간』에서는 기분, 양심의 부름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언어로의 도상』에서는 ‘언어가 말한다’는 구절을 해명하는 것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
      번역하기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는 인간 현존재의 존재방식에 관한 사유와 지속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 현존재의 존재방식은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분석론을 통해 주제적으로 다루어진...

      하이데거의 존재사유는 인간 현존재의 존재방식에 관한 사유와 지속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인간 현존재의 존재방식은 『존재와 시간』에서 현존재분석론을 통해 주제적으로 다루어진다. 반면 후기에서는 더 이상 주제적으로 다루어지는 것 같지 않는 듯이 보인다. 그러나 하이데거는 인간을 주제적으로 다루지 않는 방식으로 여전히 인간의 존재방식을 다루고 있다. 그는 인간의 존재방식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인간의 본질과 존재와의 관련에 대한 숙고가 선행되어야 된다고 보았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전·후기 사유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서 인간의 본래적인 존재방식을 들음으로서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근거는 『존재와 시간』에서는 기분, 양심의 부름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언어로의 도상』에서는 ‘언어가 말한다’는 구절을 해명하는 것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has a continued connection with the way of being of Dasein. The way of being of Dasein is discussed subjectively through the Daseinsanalyse in Sein und Zeit. Yet, it appears absent from theoretical discussion in the later period. Heidegger, however, is still dealing with the way of being of Dasein without addressing it thematically. He understood that in order to reveal the way of being of Dasein, it needed to be preceded by a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Being (dt. Sein).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original way of being of Dasein in Heidegger’s philosophy as an anthropology of listening. The basis for this is found in mood (dt. Stimmung) and calling of conscience (dt. Gewissen) in Sein und Zeit. And it is found in understanding the phrase ‘Die Sprache spricht’ in Unterwegs zur Sprache.
      번역하기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has a continued connection with the way of being of Dasein. The way of being of Dasein is discussed subjectively through the Daseinsanalyse in Sein und Zeit. Yet, it appears absent from theoretical discussion in the lat...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has a continued connection with the way of being of Dasein. The way of being of Dasein is discussed subjectively through the Daseinsanalyse in Sein und Zeit. Yet, it appears absent from theoretical discussion in the later period. Heidegger, however, is still dealing with the way of being of Dasein without addressing it thematically. He understood that in order to reveal the way of being of Dasein, it needed to be preceded by a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Being (dt. Sein).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original way of being of Dasein in Heidegger’s philosophy as an anthropology of listening. The basis for this is found in mood (dt. Stimmung) and calling of conscience (dt. Gewissen) in Sein und Zeit. And it is found in understanding the phrase ‘Die Sprache spricht’ in Unterwegs zur Sprach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들어가는 말: 존재물음과 인간이해
      • Ⅱ. 전통적 인간이해의 바탕: 시각
      • Ⅲ. 하이데거의 인간이해의 바탕: 들음
      • Ⅳ. 나가는 말
      • 요약문
      • Ⅰ. 들어가는 말: 존재물음과 인간이해
      • Ⅱ. 전통적 인간이해의 바탕: 시각
      • Ⅲ. 하이데거의 인간이해의 바탕: 들음
      • Ⅳ.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일, "휴머니즘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15 : 2001

      2 Martin Heidegger, "횔덜린 시의 해명" 아카넷 2009

      3 Martin Heidegger,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세계-유한성-고독" 까치 2001

      4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길 2017

      5 카토 히사타케, "헤겔사전" 도서출판b 2009

      6 문동규, "하이데거의 양심해석" 범한철학회 (29) : 253-276, 2003

      7 김재철, "하이데거의 기초인간학" 대한철학회 106 : 1-27, 2008

      8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헤르만,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찾아서" 한길사 1997

      9 W. 블라트너,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입문" 서광사 2012

      10 이관표, "하이데거 사유에서 비움의 문제(Ⅰ) : 인간의 비움과 관련하여" 한국하이데거학회 (46) : 67-94, 2017

      1 이선일, "휴머니즘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15 : 2001

      2 Martin Heidegger, "횔덜린 시의 해명" 아카넷 2009

      3 Martin Heidegger,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 세계-유한성-고독" 까치 2001

      4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길 2017

      5 카토 히사타케, "헤겔사전" 도서출판b 2009

      6 문동규, "하이데거의 양심해석" 범한철학회 (29) : 253-276, 2003

      7 김재철, "하이데거의 기초인간학" 대한철학회 106 : 1-27, 2008

      8 프리드리히 빌헬름 폰 헤르만,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을 찾아서" 한길사 1997

      9 W. 블라트너,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입문" 서광사 2012

      10 이관표, "하이데거 사유에서 비움의 문제(Ⅰ) : 인간의 비움과 관련하여" 한국하이데거학회 (46) : 67-94, 2017

      11 플라톤, "파이드로스" 이제이북스 2012

      12 임마누엘 칸트, "칸트의 역사철학" 서광사 2009

      13 마키노 애이지, "칸트사전" 도서출판b 2009

      14 Martin Heidegger, "철학입문" 까치 2006

      15 Martin Heidegger, "존재와 시간" 까치 2012

      16 Martin Heidegger, "이정표2" 한길사 2005

      17 레지스 드브레, "이미지의 삶과 죽음" 글항아리 2011

      18 게를린데 운페어착트, "유쾌 상쾌 불쾌 기분의 심리학" 모티브 2004

      19 Martin Heidegger, "언어로의 도상에서" 나남 2012

      20 Martin Heidegger, "숲길" 나남 2010

      21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박영사 2013

      22 탈레스,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단편 선집" 아카넷 2005

      23 돈 아이디, "소리의 현상학" 예전사 2006

      24 요하네스 힐쉬베르거, "서양철학사" 이문출판사 2012

      25 존 케이지, "사일런스" 오픈하우스 2014

      26 서동은, "사이-존재(Dasein)로서의 인간" 한국하이데거학회 (25) : 171-202, 2011

      27 Martin Heidegger, "동일성과 차이" 민음사 2012

      28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길 2013

      29 최상욱, "귀의 메타퍼에 대한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변형" 한국철학회 (80) : 191-214, 2004

      30 플라톤, "국가" 서광사 2013

      31 박일태, "『존재와 시간』에서 ‘아님의 근거존재’에 대한 음성적 재해석" 한국하이데거학회 (39) : 215-240, 2015

      32 Emil Kettering, Nähe, "das Denken Martin Heidegger" Neske 1987

      33 Martin Heidegger, "Logik als die Frage nach dem Wesen der Sprache" Vittorio Klostermann 1998

      34 John Richardson, "Logic from the German of Emmanuel Kant: to which is annexed A Sketch of his Life and Writings" Stationers Court 2016

      35 J. Ritter,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Schwabe & Co 1998

      36 Arnfinn Bø-Rygg, "Hearing, listening and the voice" 38 (38): 2015

      37 Martin Heidegger, "Grundprobleme der Phänomenologie" Vittorio Klostermann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CHUL HAK SA SANG - Journal of Philosophical Idea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51 1.483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