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1920~30년대 근화여학교의 연극 활동 = Theatrical Activities of Geunhwa Women's School in the 1920s and 193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3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looked at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the Geunhwa Academy and Geunhwa Women's School, founded by CHA, Melissa(1879~1955), in terms of the amateur theatricals movement in which the general public acted as the main agent in the 1920s and 1930s.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the Geunhwa Women's School in the 1920s and 1930s, which was organized by women, led the operation fund raising,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and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plays and the dissemination of Western modern culture. At that time,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Geunhwa, which consisted only of female students, led women's solidarity by recognizing the realit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and finding out how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women to come out of the home and learn independence and self-awareness at school, examine new directions of life. In addition, in the 1930s, the student theatrical activities of Geunhwa Women's School were aimed at public enlightenment as a social activities of students, and contributed to Western culture distribution by introducing modern plays to the audience.
      번역하기

      This article looked at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the Geunhwa Academy and Geunhwa Women's School, founded by CHA, Melissa(1879~1955), in terms of the amateur theatricals movement in which the general public acted as the main agent in the 1920s and 1...

      This article looked at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the Geunhwa Academy and Geunhwa Women's School, founded by CHA, Melissa(1879~1955), in terms of the amateur theatricals movement in which the general public acted as the main agent in the 1920s and 1930s.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the Geunhwa Women's School in the 1920s and 1930s, which was organized by women, led the operation fund raising, integration and communication, and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plays and the dissemination of Western modern culture. At that time, the theatrical activities of Geunhwa, which consisted only of female students, led women's solidarity by recognizing the reality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and finding out how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It also provided an opportunity for women to come out of the home and learn independence and self-awareness at school, examine new directions of life. In addition, in the 1930s, the student theatrical activities of Geunhwa Women's School were aimed at public enlightenment as a social activities of students, and contributed to Western culture distribution by introducing modern plays to the aud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20~30년대 일반 대중이 주체로 활동한 소인극 운동의 측면에서 차미리사(1879~ 1955)가 세운 근화학원과 근화여학교의 연극 활동을 살펴보았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이루어진 근화여학교계의 연극 활동은 여성이 주체가 되어 운영기금 모집, 민중계몽과 결집, 소통을 주도하였으며, 여학생들로만 구성된 근화의 연극 활동은 연극의 대 중화와 서구근대문화 보급에 기여하였다. 당시 근화의 연극 활동은 여성이 주체로서 공동체 활동을 통해 현실을 인식하고 문제 해결 방법을 구성원이 스스로 찾아봄으로써 소통과 여성 집결을 주도하였다. 또한 여성들이 가정으로부터 나와 학교에서 독립성과 자기인식을 배우고 새로운 삶의 방향과 여성상을 고찰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여성에 대한 인식을 계도하도록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1930년대 근화여학교의 학생연극활동은 이전과는 달리 학생들의 사회적 행동으로서 민중계 몽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근대연극을 관객에게 소개함으로써 서구문화보급에 기여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920~30년대 일반 대중이 주체로 활동한 소인극 운동의 측면에서 차미리사(1879~ 1955)가 세운 근화학원과 근화여학교의 연극 활동을 살펴보았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이루어진 근...

      본 논문은 1920~30년대 일반 대중이 주체로 활동한 소인극 운동의 측면에서 차미리사(1879~ 1955)가 세운 근화학원과 근화여학교의 연극 활동을 살펴보았다.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이루어진 근화여학교계의 연극 활동은 여성이 주체가 되어 운영기금 모집, 민중계몽과 결집, 소통을 주도하였으며, 여학생들로만 구성된 근화의 연극 활동은 연극의 대 중화와 서구근대문화 보급에 기여하였다. 당시 근화의 연극 활동은 여성이 주체로서 공동체 활동을 통해 현실을 인식하고 문제 해결 방법을 구성원이 스스로 찾아봄으로써 소통과 여성 집결을 주도하였다. 또한 여성들이 가정으로부터 나와 학교에서 독립성과 자기인식을 배우고 새로운 삶의 방향과 여성상을 고찰하고 관객으로 하여금 여성에 대한 인식을 계도하도록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1930년대 근화여학교의 학생연극활동은 이전과는 달리 학생들의 사회적 행동으로서 민중계 몽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근대연극을 관객에게 소개함으로써 서구문화보급에 기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우, "홍해성의 연극론에 대한 연구" 8 : 1998

      2 오세준,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신론 상․하" 태학사 2011

      4 양승국, "한국 근대 연극 비평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5 유민영, "학생극의 융성과 쇠퇴-학교극의 발생과 소명" 2 : 1996

      6 한상권, "차미리사 전집Ⅰ․Ⅱ"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연구소 2009

      7 한상권, "차미리사 선생의 민족 교육운동" 4 : 2001

      8 "조선일보"

      9 우수진, "입센극의 수용과 근대적 연극 언어의 형성" 한국근대문학회 1 (1): 361-388, 2008

      10 이정선, "일제시기 차미리사의 여성 인식과 여성교육관" 인문과학연구소 (22) : 9-37, 2016

      1 이상우, "홍해성의 연극론에 대한 연구" 8 : 1998

      2 오세준, "한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신론 상․하" 태학사 2011

      4 양승국, "한국 근대 연극 비평사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5 유민영, "학생극의 융성과 쇠퇴-학교극의 발생과 소명" 2 : 1996

      6 한상권, "차미리사 전집Ⅰ․Ⅱ" 덕성여자대학교 차미리사연구소 2009

      7 한상권, "차미리사 선생의 민족 교육운동" 4 : 2001

      8 "조선일보"

      9 우수진, "입센극의 수용과 근대적 연극 언어의 형성" 한국근대문학회 1 (1): 361-388, 2008

      10 이정선, "일제시기 차미리사의 여성 인식과 여성교육관" 인문과학연구소 (22) : 9-37, 2016

      11 유영재, "일제강점기 한국 학생극 운동 연구 : 학교극 운동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1

      12 이민영, "윤백남의 연극개량론 연구" 한국어문학회 (116) : 353-378, 2012

      13 성명현, "윤백남의 논설 「연극과 사회」(1920)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5 (15): 46-55, 2015

      14 양승국, "윤백남 희곡 연구-<국경>과 <운명>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16) : 97-143, 2002

      15 백두산, "윤백남 희곡 연구 : 문예운동과의 관련양상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16 정호순, "연극대중화론과 소인극운동" 2 : 1992

      17 "신여성"

      18 "시대일보"

      19 "별건곤"

      20 "매일신보"

      21 "동아일보"

      22 민병욱, "논문 : 김정진의 「 15 분간 」 연구" 26 : 1989

      23 이민영, "근대극 이론의 선구자, 연극 운동가 현철" 11 : 2008

      24 "개벽"

      25 우수진, "갈돕회 소인극 연구 -사실성과 동정의 스펙터클-" 한국극예술학회 (35) : 47-79, 2012

      26 서연호, "<해설>: 구소청의<날아가는 공작>" 3 : 1993

      27 윤진현, "1920 년대 전국순회극단과 인천의 소인극" 2 (2):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