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Ni-Cr계 내열주강의 천이액상접합에 관한 연구 = Transient Liquid Phase Diffusion Bonding of the Ni-Cr Heat Resisted Cast Ste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732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MBF-50 삽입금속을 이용한 Ni-Cr주강(HP)의 천이액상접합시의 접합계면의 거동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접합은 진공분위기에서 1100℃∼1200℃의 온도 범위로 0∼60분 동안 행해졌으며 접합압력은 1MPa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150℃에서 접합한 결과 반응층 내에는 Cr계 탄화물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유지시간의 증가와 함께 등온응고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 20분 이내에 반응층이 거의 소멸되었으며 성분원소의 균일화도 거의 이루어진 상태였다. 3) 등온응고가 일어나기 이전의 접합부의 경도는 모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유지시간이 증가하면서 균일화와 함께 반응층의 경도는 모재와 같게 나타났다. 4) 접합계면부의 각도를 달리하여 접합한 시편의 creep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접합계면각도가 작을수록 creep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MBF-50 삽입금속을 이용한 Ni-Cr주강(HP)의 천이액상접합시의 접합계면의 거동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접합은 진공분위기에서 1100℃∼1200℃의 온도 범위로 0∼60분 동안 행해졌으...

      본 연구에서는 MBF-50 삽입금속을 이용한 Ni-Cr주강(HP)의 천이액상접합시의 접합계면의 거동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접합은 진공분위기에서 1100℃∼1200℃의 온도 범위로 0∼60분 동안 행해졌으며 접합압력은 1MPa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150℃에서 접합한 결과 반응층 내에는 Cr계 탄화물의 생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유지시간의 증가와 함께 등온응고는 매우 빠르게 일어나 20분 이내에 반응층이 거의 소멸되었으며 성분원소의 균일화도 거의 이루어진 상태였다. 3) 등온응고가 일어나기 이전의 접합부의 경도는 모재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유지시간이 증가하면서 균일화와 함께 반응층의 경도는 모재와 같게 나타났다. 4) 접합계면부의 각도를 달리하여 접합한 시편의 creep 특성을 조사한 결과 접합계면각도가 작을수록 creep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nsient liquid phase(TLP) bonding of Ni-Cr heat resisted casting alloy(HP) was investigated using of the insert metal MBF-50. TLP-bonding was carried out at 1100℃∼1200℃ for 0∼60min in vacuum atmosphere and bonding pressure was 1MP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Microconstituents such as Cr-carbide were formed in the bonded interlayer. 2) Isothermal solidification process was very fast at the bonding temperature of 1150℃ with increasing bonding time, the reaction layer disappeared and homogenization was almost over at the bonding time of 20min. 3) The hardness of reaction layer was higher than that of base metal before isothermal solidification, as time increased the hardness was almost same as that of base metal with homogeniz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4) In case of sample with different bonding interface angle, the smaller bonding interface angle, the better creep property.
      번역하기

      Transient liquid phase(TLP) bonding of Ni-Cr heat resisted casting alloy(HP) was investigated using of the insert metal MBF-50. TLP-bonding was carried out at 1100℃∼1200℃ for 0∼60min in vacuum atmosphere and bonding pressure was 1MPa. The resu...

      Transient liquid phase(TLP) bonding of Ni-Cr heat resisted casting alloy(HP) was investigated using of the insert metal MBF-50. TLP-bonding was carried out at 1100℃∼1200℃ for 0∼60min in vacuum atmosphere and bonding pressure was 1MP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1) Microconstituents such as Cr-carbide were formed in the bonded interlayer. 2) Isothermal solidification process was very fast at the bonding temperature of 1150℃ with increasing bonding time, the reaction layer disappeared and homogenization was almost over at the bonding time of 20min. 3) The hardness of reaction layer was higher than that of base metal before isothermal solidification, as time increased the hardness was almost same as that of base metal with homogenization of chemical composition. 4) In case of sample with different bonding interface angle, the smaller bonding interface angle, the better creep proper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