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서울시 정비사업의 주택공급 특성 및 공급가능 물량 분석 = Analysis of Housing Supply Characteristics and Available Quantity of Improvement Project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42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contribution of housing supply based on the progress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among the improvement project in Seoul. By analyzing the project promotion stage of the improvement project, the amount of housin...

      This paper analyzed the contribution of housing supply based on the progress of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projects among the improvement project in Seoul. By analyzing the project promotion stage of the improvement project, the amount of housing available from 2020 to 2035 was calculated. The implications of the improvement project for the housing supply policy are as follows. First, housing supply characteristics accounted for over 70% of apartments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homes supplied in the 2000s, but fell below 50% after 2010. Second, from 2005 to 2018, the contribution of the housing supply to the improvement project compared to the new number of housing supply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ing to about 22.2%. Third, it is expected that total of 390,000 units will be supplied by 2035 by the improvement project. And it is expected to supply 85,000 units by 25, 16,200 units by 26-30, and 14,200 units by 30. Lastly, the amount of housing available for each period of completion of the improvement project is expected to surge to 15,000 units annually from 20 to 25 years and 32,000 units from 26 to 30 years. Therefore, the improvement project takes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re is a limit to the short-term housing supply policy.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old housing in the down town into a housing policy for rational housing stock manag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및 관련 정책 검토 Ⅲ. 서울시 정비사업의 주택공급 특성분석 Ⅳ. 서울시 정비사업의 주택공급 가능물량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및 관련 정책 검토 Ⅲ. 서울시 정비사업의 주택공급 특성분석 Ⅳ. 서울시 정비사업의 주택공급 가능물량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교통부, "전국 정비사업 추진실태조사" 2015

      2 이삼수, "재정비촉진지구 사업재추진 방안 연구" LH 토지주택연구원 2020

      3 이창효, "수도권 노후공동주택단지의 입지 특성 및 잠재력 분석" 한국감정평가학회 18 (18): 117-142, 2019

      4 이삼수, "수도권 노후공동주택 현황 및 재건축 수요분석" 한국부동산정책학회 20 (20): 61-82, 2019

      5 "서울특별시 정비사업통계"

      6 "서울특별시 열린데이터광장"

      7 국토교통부, "서울 내 아파트 공급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8 "부동산 114 홈페이지"

      9 "부동산 114 부동산통계분석솔루션(REPS)"

      10 금기반, "도시정비사업의 법·제도 변천 고찰"

      1 국토교통부, "전국 정비사업 추진실태조사" 2015

      2 이삼수, "재정비촉진지구 사업재추진 방안 연구" LH 토지주택연구원 2020

      3 이창효, "수도권 노후공동주택단지의 입지 특성 및 잠재력 분석" 한국감정평가학회 18 (18): 117-142, 2019

      4 이삼수, "수도권 노후공동주택 현황 및 재건축 수요분석" 한국부동산정책학회 20 (20): 61-82, 2019

      5 "서울특별시 정비사업통계"

      6 "서울특별시 열린데이터광장"

      7 국토교통부, "서울 내 아파트 공급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8 "부동산 114 홈페이지"

      9 "부동산 114 부동산통계분석솔루션(REPS)"

      10 금기반, "도시정비사업의 법·제도 변천 고찰"

      11 국토교통부, "도시정비사업 현황" 2019

      12 김진하, "도시재정비사업의 주택공급량에 따른 주택시장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133-1140, 2007

      13 기윤환, "도시재생사업과 기성시가지 정비사업간 연계방안 연구" 인천발전연구원 2015

      14 최상진, "대구시 도심주거지 정비사업의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29 (29): 111-119, 2018

      15 장남종, "뉴타운․재개발 해제지역 실태분석과 주거재생 방향" 서울연구원 2018

      16 권혁삼, "가로주택정비사업을 통한 임대주택 공급방안 연구 - 노후 공공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8 (18): 19-34, 2017

      17 서울특별시, "2025 서울주거종합계획"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