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3D 입체영상 수업방안 연구 = Research of Effective 3D Stereoscopic Classes at Colle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989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9년 이후, 국내에서 3D 입체영상은 국가적 사업으로 투자가 이루어졌고 제작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사업이 실행되었다. 국내의 대학들에서도 3D관련 학과 및 교과과정이 만들어졌다. 본 연...

      2009년 이후, 국내에서 3D 입체영상은 국가적 사업으로 투자가 이루어졌고 제작 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사업이 실행되었다. 국내의 대학들에서도 3D관련 학과 및 교과과정이 만들어졌다. 본 연구는 2011년과 2012년까지 2년 동안 실제적으로 이루어진 학부과정 3D 입체영상 교과과정을 통해 연구된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3D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새로운 영상기술이 대두되는 시점에서 대학교에서 계획할 수 있는 교과과정을 고찰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3D 입체영상의 시대적 배경을 통찰하고, 실제로 이루어졌던 3D 입체영상 커리큘럼을 소개한다. 수업에서 사용된 입체영상 제작 장비와 제작 워크플로우를 통해 어떠한 수업환경에서 교육과정이 이루어졌는지 알아본다. 이를 바탕으로 3D 입체영상 이론 과정, 프리프로덕션 과정, 프로덕션과정, 포스트프로덕션 과정, 제작 장비 및 시설로 세분화하여 대학에서의 효과적인 3D 입체영상 수업과정의 발전방안을 도출하였다. 최종에는 대학에서의 최신 영상기술 관련 실습수업에 있어서 새로운 이론은 공학 분야 또는 관련 분야와의 학제간 상호협업적 융합형 교육으로 이론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것과 제작실습에 필요로 되는 고가의 장비 및 시설 부분은 관련 업체와의 산학협력 및 국가지원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훈련기관의 최신 장비와 시설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면서 최신 영상제작 실습교육을 위한 융합형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government has invested in a 3D stereoscopic business and run programs to train production manpower since 2009.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built 3D departments and made curriculum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pose effective 3D s...

      Korean government has invested in a 3D stereoscopic business and run programs to train production manpower since 2009. Korean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built 3D departments and made curriculum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propose effective 3D stereoscopic classes at colleges based on practicums which had been opened in undergraduate courses in two years, 2011 to 2012. It studies a curriculum about the latest video production which colleges can plan to open at the point of the rise of new video technology. This research considers the background of the 3D stereoscopic history and introduces 3D stereoscopic curriculums composed practically. Then it shows how the curriculums consist in what kind of class environment from 3D production equipment and workflow. Based on the preceding results, it concludes the development way for effective 3D stereoscopic classes at colleges in the process of 3D stereoscopic theory, preproduction, production, postproduction, and production equipment and facilities. Finally, this study proposes a convergent lesson plan of video production practicums for new video technology. This plan suggests that educating the latest theory is able to be effective in the way of interdisciplinary and collaborative convergence classes with engineering and related fields. The production practices need expensive equipment and facilities, so the plan presents to utilize the latest equipment and facilities of related companie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n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시대적 배경
      • 3. 3D 입체영상 수업방안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시대적 배경
      • 3. 3D 입체영상 수업방안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진만, "한국 텔레비전 방송 연구" 나남 1995

      2 이찬복, "영화 영상 전공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3D 제작 교육 과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22-235, 2010

      3 최창섭, "방송교육 커리큘럼 개선방안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1992

      4 이인희, "디지털 방송시대의 영상제작 교육방안" 1997

      5 Clyde Dsouza, "Think in 3D: Food For Thought for Director, Cinematographers and Stereographers" CreateSpace 2012

      6 소요환, "3D 입체영상이 수용자 프레즌스의 경험 수준과 각성, 기억, 감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89-98, 2013

      7 구종상, "3D 입체영상 콘텐츠 인력양성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전파진흥원 2010

      8 최양현, "3D 입체영상 제작 워크북"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9 Bruce Block, "3D Storytelling: How Stereoscopic 3D Works and How to Use It" Focal Press 2013

      1 한진만, "한국 텔레비전 방송 연구" 나남 1995

      2 이찬복, "영화 영상 전공에서의 스테레오스코픽 3D 제작 교육 과정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22-235, 2010

      3 최창섭, "방송교육 커리큘럼 개선방안 연구" 한국방송개발원 1992

      4 이인희, "디지털 방송시대의 영상제작 교육방안" 1997

      5 Clyde Dsouza, "Think in 3D: Food For Thought for Director, Cinematographers and Stereographers" CreateSpace 2012

      6 소요환, "3D 입체영상이 수용자 프레즌스의 경험 수준과 각성, 기억, 감동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3 (13): 89-98, 2013

      7 구종상, "3D 입체영상 콘텐츠 인력양성과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전파진흥원 2010

      8 최양현, "3D 입체영상 제작 워크북" 한국콘텐츠진흥원 2011

      9 Bruce Block, "3D Storytelling: How Stereoscopic 3D Works and How to Use It" Focal Press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1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9 0.48 0.81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