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소나기》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00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우리 사회 전반에 부각되고 있는 매스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인식은 날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현대사회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보편화시키는 경향을 드러낸다. 이것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발달에 따른 포화상태의 지식과 정보를 액세스하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발신하기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각종 미디어를 이해하고 활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디어 리터러시란 단순히 미디어에 접속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한정해서는 안 되며, 해당 미디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 평가하며 그러한 분석과 평가를 기초로 자기의 의견이나 사고를 표현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문학텍스트와 함께 여러 방송사의 TV드라마 중에서도 KBS HDTV문학관의 드라마를 분석 대상 텍스트로 삼았는데, 그것은 이 드라마가 목표삼고 있는 것, 즉 디지털시대에 걸맞은 고품질의 영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과거의 문학을 현 시대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오늘날의 문학을 발굴, 소개하고자 하는 기획의도가 오늘, 지금의 시점에서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판단에서 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의 초점은 《소나기》에 대한 문학텍스트와 TV드라마의 리터러시 기능성에 맞추었다. 다시 말해서 전통적인 문학텍스트 읽기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련양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황순원의 「소나기」와 KBS HDTV문학관의 〈소나기〉의 상호 컨텍스트적인 의미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은 이데올로기적 분석, 자전적 분석,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분석, 신화적 분석, 제작요소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제작요소 분석’을 논의의 중심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번역하기

      오늘날 우리 사회 전반에 부각되고 있는 매스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인식은 날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현대사회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보편화시키는 경향을 드러낸다. 이것은 급변하...

      오늘날 우리 사회 전반에 부각되고 있는 매스미디어의 영향에 대한 인식은 날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현대사회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보편화시키는 경향을 드러낸다. 이것은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발달에 따른 포화상태의 지식과 정보를 액세스하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발신하기 위해서는 결과적으로 각종 미디어를 이해하고 활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는 의미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미디어 리터러시란 단순히 미디어에 접속할 수 있는 능력으로 한정해서는 안 되며, 해당 미디어를 통해 얻은 정보를 분석, 평가하며 그러한 분석과 평가를 기초로 자기의 의견이나 사고를 표현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문학텍스트와 함께 여러 방송사의 TV드라마 중에서도 KBS HDTV문학관의 드라마를 분석 대상 텍스트로 삼았는데, 그것은 이 드라마가 목표삼고 있는 것, 즉 디지털시대에 걸맞은 고품질의 영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과거의 문학을 현 시대의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오늘날의 문학을 발굴, 소개하고자 하는 기획의도가 오늘, 지금의 시점에서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는 판단에서 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 대한 논의의 초점은 《소나기》에 대한 문학텍스트와 TV드라마의 리터러시 기능성에 맞추었다. 다시 말해서 전통적인 문학텍스트 읽기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관련양상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황순원의 「소나기」와 KBS HDTV문학관의 〈소나기〉의 상호 컨텍스트적인 의미 해석을 시도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은 이데올로기적 분석, 자전적 분석,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분석, 신화적 분석, 제작요소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제작요소 분석’을 논의의 중심 방법론으로 사용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it is getting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hat are raised in the whole society. Also, there is a tendency to generalize Media Literacy in contemporary society. According to rapid changes and development of media environment, it can not help understanding and using every media in order to access to information, to estimate and to dispatch information. In here, Media Literacy means that it is not only the ability to access to media, but also the ability to analyze and estimate obtained information and to express one's opinion and thought, based on the analysis and estimation, then even to influence others.
      In this study, a drama from HDTV Literature, KBS were selected as an object to be analyzed, with literary text, because there is a enough common bond about planning intentions to reinterpret the past literature, and to excavate and introduce the current literature, at the same time, it also aim to achieve images of high quality, as corresponding with the digital age.
      In this context, the point of study was focused on literary text from A Rain Shower and the functionality of literacy in drama. So to spea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reading traditional literary text and the related aspect of Media Literacy, then tries to interpretate the meanings in the viewpoint of the interaction of context.
      Generally, the methods of approach is classified with ideological analysis, autobiographical analysis, the analysis of non-verbal communication, mythological analysis,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and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was used to the main method of approach in this study.
      번역하기

      Today, it is getting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hat are raised in the whole society. Also, there is a tendency to generalize Media Literacy in contemporary society. According to rapid changes and development of media environme...

      Today, it is getting important to recognize the influence of mass media that are raised in the whole society. Also, there is a tendency to generalize Media Literacy in contemporary society. According to rapid changes and development of media environment, it can not help understanding and using every media in order to access to information, to estimate and to dispatch information. In here, Media Literacy means that it is not only the ability to access to media, but also the ability to analyze and estimate obtained information and to express one's opinion and thought, based on the analysis and estimation, then even to influence others.
      In this study, a drama from HDTV Literature, KBS were selected as an object to be analyzed, with literary text, because there is a enough common bond about planning intentions to reinterpret the past literature, and to excavate and introduce the current literature, at the same time, it also aim to achieve images of high quality, as corresponding with the digital age.
      In this context, the point of study was focused on literary text from A Rain Shower and the functionality of literacy in drama. So to spea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reading traditional literary text and the related aspect of Media Literacy, then tries to interpretate the meanings in the viewpoint of the interaction of context.
      Generally, the methods of approach is classified with ideological analysis, autobiographical analysis, the analysis of non-verbal communication, mythological analysis,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and 'the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was used to the main method of approach in this stud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리터러시의 개념과 TV드라마와 문학텍스트에 대한 리터러시
      • 2. 《소나기》의 상호텍스트성
      • 3. 결론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1. 서론 ; 리터러시의 개념과 TV드라마와 문학텍스트에 대한 리터러시
      • 2. 《소나기》의 상호텍스트성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순원 ‘소나기’의 기호학적 분석" 2004

      2 "한국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울아카데미 2001

      3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경향분석" 한나래 1997

      4 "통합교육과정에서의 미디어 교육" 5 (5): 1999

      5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1994.

      6 "텔레비전 영상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7 "제작 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 분석 및 시안개발 연구" 2001

      8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1990.

      9 "영상언어의 내러티브 구성에 관한 연구" 1996

      10 "시간과 공간의 소설현상학" 나남출판 2004

      1 "황순원 ‘소나기’의 기호학적 분석" 2004

      2 "한국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울아카데미 2001

      3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경향분석" 한나래 1997

      4 "통합교육과정에서의 미디어 교육" 5 (5): 1999

      5 "텔레비전과 현대비평" 1994.

      6 "텔레비전 영상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7 "제작 활동을 통한 미디어교육 분석 및 시안개발 연구" 2001

      8 "영화와 소설의 서사구조" 1990.

      9 "영상언어의 내러티브 구성에 관한 연구" 1996

      10 "시간과 공간의 소설현상학" 나남출판 2004

      11 "수용자의 비쥬얼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2000

      12 "소설의 영상화에 관한 연구" 1999

      13 "비트의 문명 네트의 사회"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14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2002

      15 "미디어 리터러시 접근법" 차송 2004

      16 "미디어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17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해석과 접근" 16 (16): 2000

      18 "문학과 사회"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8.

      19 "문학 읽기와 문화 리터러시: 의미화 수행의 교육" 26 : 2004

      20 "매스커뮤니케이션 효과 이론" 나남출판 1986.

      21 "리터러시 관점에서의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언어로서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27 : 2005

      22 "디지털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21 : 2004

      23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 문항 개발" 2002

      24 "드라마의 해부" 1987.

      25 "드라마란 무엇인가" 시나리오친구들 1999

      26 "드라마 구성론" 나남출판 1995

      27 "대중문화의 패러다임" 한나래 1996

      28 "대중문화와 문학교육" (봄호) : 1998

      29 "뉴미디어시대의 문학" 1984.

      30 "각색된 텔레비전 드라마와 원작의 비교연구」" 1990.

      31 "‘소나기’의 문체론적 고찰」" 1977.

      32 "www.kbs.co.kr/drama/hdtv/sonaki"

      33 "www.kbs.co.kr/drama/hdtv/about/index.html"

      34 "TV드라마 비평 담론의 주관성과 권력화" 1999

      35 "TV드라마 바로보기, 바로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36 "HD 드라마의 색채계획 방법 연구"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TUDIES INSTITUTE -> Center for Korean Studie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71 1.16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