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루엔자는 매년 유행하고 백신주도 매년 달라지기 때문에 매년 질병부담, 백신 효과를 모니터링 하여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이 실제 보건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인플루엔자는 매년 유행하고 백신주도 매년 달라지기 때문에 매년 질병부담, 백신 효과를 모니터링 하여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이 실제 보건에 ...
인플루엔자는 매년 유행하고 백신주도 매년 달라지기 때문에 매년 질병부담, 백신 효과를 모니터링 하여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함. 또한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사업이 실제 보건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백신 접종의 필요성에 대해 국민들과 소통하는 것이 필요함. 실제로 미국, 유럽 등 여러 국가들은 각국의 질병부담, 백신효과 분석자료를 바탕으로 백신으로 예방된 질병부담을 평가하고 있음. 이에 국내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에서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예방된 질병부담을 평가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음. 분석모형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사용하는 모델을 차용하되, 국내의 상황에 맞추어 변형하여 적용하였음. 분석대상은 2015/16절기부터 2018/19절기까지 4절기였음. 인플루엔자 백신의 효과는 인플루엔자 및 호흡기바이러스 병원체 감시사업(KINRESS), 건강보험심사평가원-질병관리청 등록자료 연계, 대학병원 기반 인플루엔자 감시체계(HIMM)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KINRESS 분석자료와 심평원-질병청 연계 분석자료를 기본 투입값으로 정하였음. 백신접종률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기본 투입값으로 하였음. 인플루엔자 관련 건강성과 투입값 산출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바탕으로 기존 인플루엔자 백신의 비용-효과 분석연구에 사용된 방법을 활용하였음. 민감도 분석을 위해 다양한 자료원의 백신효과를 적용하여 백신으로 예방된 질병부담을 평가해 보았고 절기별 환자 방문을 1회로 좁혀 질병부담을 적용하였음. 국내 인플루엔자 백신 효과 평가 자료가 제한적인 점을 고려하여 미국 CDC에서 평가한 백신효과 자료를 적용하여 질병부담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음. 기본 분석 결과, 2015/16절기부터 2018/19절기까지 국내에서는 절기에 따라 91,555~369,997건의 외래, 1,784~9,626건의 입원, 3,266~10,332건의 응급실 방문, 25~693건의 중환자실 입원, 12~721명의 병원 내 사망, 18~1,060명의 전체 사망이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예방된 것으로 평가되었음. 인플루엔자 백신으로 예방된 질병부담은 절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고 같은 절기의 분석 결과에서도, 어떤 백신 효과 분석자료를 사용했는지에 따라 백신으로 예방된 질병부담에 크게 차이가 있었음.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플루엔자의 질병부담이나 백신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감시체계의 구축, 질병청의 백신접종 등록자료와 심평원의 질병자료를 연계하여 다양한 백신효과의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 구축, 매년 백신효과 및 백신으로 예방된 질병부담 분석, 객관적/과학적 자료를 활용하여 백신접종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등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됨.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