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韓國의 ‘初級課程’ 漢字敎育 現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822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연구 주제는 한국의 ‘初級課程’ 한자교육 현황 紹介에 있다. 연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 행하기 위해, 먼저 한국의 한자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究明한 다음, 초급과정의 槪念과 範圍, 초급 과정 한자교육 現況을 槪括的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한자 교수·학습 방법의 개념, 한자 영역 교수· 학습 내용,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考察한다. 한국의 한자교육은 크게 國語敎育, 漢文敎育, 그리고 漢字文化圈 차원에서 그 위상과 성격을 究 明해 볼 수 있다. 한국에서 한자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漢文科’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分野이다. 그리고, 한국의 地理的·言語的·文化的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 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 한 현재의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 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共有하면서 活用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그림 1〉에서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初級’이란, 가장 낮은 段階나 等級을 말하고, ‘초급과정’이란 낮은 단계나 등급에서 시행되는 課 業의 程度를 말한다. 한국의 한자교육의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그리고 중학교 時期 가운데, 학생 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초급과정 한자교육은 ‘入門期’ 한자교육으로 볼 수 있다. 다음은 한국 초급과정 한자교육 현황을 교육과정, 교재, 식자량, 교수자, 그리고 수업 시수를 기 준으로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다.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한문 敎授者와 한문 學習者가 한자를 가르치고 배우는 節次와 技法”을 말한다. 교사의 敎授와 학습자의 學習은 分節的이거나 獨立的이지 않다. 교사와 학습자는, 그리고 교수와 학습은 相互 連繫되고 相互 作用한다. 유아 한자 교재,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 그리고 중학 교 한문 교과서에 제시된 한자 영역 교수·학습 방법을 通察하면, 초급과정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節次, 過程, 段階를 기준으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분류하면, 초급과정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크게 (가)와 (나)로 區分된다. (가)는 ‘下向式 언어 이해 처리 모형’이나 ‘分散 識字’ 방법에, (나)는 ‘上向式 언어 이해 처리 모형’이나 ‘集中 識字’ 방법에 견줄 수 있다. ‘本文’의 경우, 成語와 漢文 文章이 제시되기도 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경우, 한글全用文, 國漢混用文, 國漢倂記文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標題字’의 경우, 2字에서 4字 정도로 새로 배울 한자[新習 漢字]가 제시된다. (가)와 (나)의 ‘漢字’는 주로 字源 학습법을 활용하여 신습 한자의 形·音·義를 가르치고 배운다. ‘活 用’에 동원되는 기법이나 활동은 다양하다.
      번역하기

      이 글의 연구 주제는 한국의 ‘初級課程’ 한자교육 현황 紹介에 있다. 연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 행하기 위해, 먼저 한국의 한자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究明한 다음, 초급과정의 槪念과 範...

      이 글의 연구 주제는 한국의 ‘初級課程’ 한자교육 현황 紹介에 있다. 연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 행하기 위해, 먼저 한국의 한자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究明한 다음, 초급과정의 槪念과 範圍, 초급 과정 한자교육 現況을 槪括的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한자 교수·학습 방법의 개념, 한자 영역 교수· 학습 내용,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考察한다. 한국의 한자교육은 크게 國語敎育, 漢文敎育, 그리고 漢字文化圈 차원에서 그 위상과 성격을 究 明해 볼 수 있다. 한국에서 한자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漢文科’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分野이다. 그리고, 한국의 地理的·言語的·文化的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 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 한 현재의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 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共有하면서 活用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그림 1〉에서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初級’이란, 가장 낮은 段階나 等級을 말하고, ‘초급과정’이란 낮은 단계나 등급에서 시행되는 課 業의 程度를 말한다. 한국의 한자교육의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그리고 중학교 時期 가운데, 학생 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초급과정 한자교육은 ‘入門期’ 한자교육으로 볼 수 있다. 다음은 한국 초급과정 한자교육 현황을 교육과정, 교재, 식자량, 교수자, 그리고 수업 시수를 기 준으로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다.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한문 敎授者와 한문 學習者가 한자를 가르치고 배우는 節次와 技法”을 말한다. 교사의 敎授와 학습자의 學習은 分節的이거나 獨立的이지 않다. 교사와 학습자는, 그리고 교수와 학습은 相互 連繫되고 相互 作用한다. 유아 한자 교재,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 그리고 중학 교 한문 교과서에 제시된 한자 영역 교수·학습 방법을 通察하면, 초급과정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節次, 過程, 段階를 기준으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분류하면, 초급과정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크게 (가)와 (나)로 區分된다. (가)는 ‘下向式 언어 이해 처리 모형’이나 ‘分散 識字’ 방법에, (나)는 ‘上向式 언어 이해 처리 모형’이나 ‘集中 識字’ 방법에 견줄 수 있다. ‘本文’의 경우, 成語와 漢文 文章이 제시되기도 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경우, 한글全用文, 國漢混用文, 國漢倂記文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標題字’의 경우, 2字에서 4字 정도로 새로 배울 한자[新習 漢字]가 제시된다. (가)와 (나)의 ‘漢字’는 주로 字源 학습법을 활용하여 신습 한자의 形·音·義를 가르치고 배운다. ‘活 用’에 동원되는 기법이나 활동은 다양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本文之研究主題,在於韓國‘初級課程’漢字教育現況的介紹。在進入研究課題前,本文將先闡明韓 國漢字教育的定位與性格,再針對初級課程的概念與範圍、初級課程漢字教育的現況,作一概括的分 析。同時,本文也將考察漢字教授與學習的概念、漢字領域教授與學習內容、漢字教授與學習法。 韓國的漢字教育,大致可從國語教育、漢文教育、漢字文化圈三種層面,闡明其定位與性格。 韓國的漢字教育,是校園學科教育之一的‘漢文科’教育中,其中一項核心內容。由於韓國的地理、 語言、文化條件,使韓國漢字教育與國語教育或韓國語教育產生了密切的聯繫。另一方面,韓國與日 本、中國、台灣、香港等地,在歷史上乃至現今此一時代,亦曾以「漢字」做為該國文字或表記方 式。此即所謂「漢字文化圈」的概念,由〈圖1〉外圍點與線作用而形成。 所謂‘初級’,乃指最低的階段或等級;而所謂‘初級課程’,即是在最低階段或等級中實施的課業程 度。就韓國的漢字教育而言,在幼稚園、小學與中學期間,可依學生的選擇與否學習,故初級課程的 漢字教育,可視為‘入門期’的漢字教育。 漢字教授與學習法,即是指‘漢文教授者與漢文學習者,在教授與學習上的節次與技法’。教師的教 授與學習者的學習,並非脫節或獨立進行。教師與學習者,以及教授與學習之間,存在著相互連繫、 相互作用的關係。分析幼兒漢字教材、小學漢字教科書及中學漢文教科書中,所提出的領域教授與學 習法後,整理初級課程漢字教授與學習法如下。 以節次、過程、階段為基準,為漢字教授與學習法進行分類,則初級課程漢字教授與學習法可大 致區分為(1) 與 (2) 兩種。(1) 可稱為‘下向式語言理解處理模型’或‘分散識字’法;(2) 可稱為‘上向式 語言理解處理模型’或‘集中識字’法。‘本文’可指成語與漢文文章,在小學漢字教材中,則以全韓文、 韓漢混用文、韓漢併記文等方式呈現;‘標題字’可指二至四字的漢字生詞。(1) 與 (2)所列的‘漢字’, 主要使用字源學習法,教授與學習漢字生詞的形、音、義。‘活用’所使用的技法與活動,則各有不同。
      번역하기

      本文之研究主題,在於韓國‘初級課程’漢字教育現況的介紹。在進入研究課題前,本文將先闡明韓 國漢字教育的定位與性格,再針對初級課程的概念與範圍、初級課程漢字教育的現況,作...

      本文之研究主題,在於韓國‘初級課程’漢字教育現況的介紹。在進入研究課題前,本文將先闡明韓 國漢字教育的定位與性格,再針對初級課程的概念與範圍、初級課程漢字教育的現況,作一概括的分 析。同時,本文也將考察漢字教授與學習的概念、漢字領域教授與學習內容、漢字教授與學習法。 韓國的漢字教育,大致可從國語教育、漢文教育、漢字文化圈三種層面,闡明其定位與性格。 韓國的漢字教育,是校園學科教育之一的‘漢文科’教育中,其中一項核心內容。由於韓國的地理、 語言、文化條件,使韓國漢字教育與國語教育或韓國語教育產生了密切的聯繫。另一方面,韓國與日 本、中國、台灣、香港等地,在歷史上乃至現今此一時代,亦曾以「漢字」做為該國文字或表記方 式。此即所謂「漢字文化圈」的概念,由〈圖1〉外圍點與線作用而形成。 所謂‘初級’,乃指最低的階段或等級;而所謂‘初級課程’,即是在最低階段或等級中實施的課業程 度。就韓國的漢字教育而言,在幼稚園、小學與中學期間,可依學生的選擇與否學習,故初級課程的 漢字教育,可視為‘入門期’的漢字教育。 漢字教授與學習法,即是指‘漢文教授者與漢文學習者,在教授與學習上的節次與技法’。教師的教 授與學習者的學習,並非脫節或獨立進行。教師與學習者,以及教授與學習之間,存在著相互連繫、 相互作用的關係。分析幼兒漢字教材、小學漢字教科書及中學漢文教科書中,所提出的領域教授與學 習法後,整理初級課程漢字教授與學習法如下。 以節次、過程、階段為基準,為漢字教授與學習法進行分類,則初級課程漢字教授與學習法可大 致區分為(1) 與 (2) 兩種。(1) 可稱為‘下向式語言理解處理模型’或‘分散識字’法;(2) 可稱為‘上向式 語言理解處理模型’或‘集中識字’法。‘本文’可指成語與漢文文章,在小學漢字教材中,則以全韓文、 韓漢混用文、韓漢併記文等方式呈現;‘標題字’可指二至四字的漢字生詞。(1) 與 (2)所列的‘漢字’, 主要使用字源學習法,教授與學習漢字生詞的形、音、義。‘活用’所使用的技法與活動,則各有不同。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緖言
      • Ⅱ. 韓國의 初級課程 漢字敎育 現況
      • 1. 韓國의 漢字敎育의 位相과 性格
      • 2. 韓國의 初級課程 漢字敎育
      • (1) 초급과정의 개념, 범위
      • Ⅰ. 緖言
      • Ⅱ. 韓國의 初級課程 漢字敎育 現況
      • 1. 韓國의 漢字敎育의 位相과 性格
      • 2. 韓國의 初級課程 漢字敎育
      • (1) 초급과정의 개념, 범위
      • (2) 초급과정 한자교육 현황
      • 3. 漢字 敎授·學習 方法
      • Ⅲ. 結語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왕규,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과 課題"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52, 2006

      2 김왕규, "한자 교수·학습 방법 연구-교재에 나타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중심으로" 31 : 1-20, 2015

      3 진철용,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구성과 활용 현황" 한국한문교육학회 (32) : 157-184, 2009

      4 서울시교육청, "초등학교 한문 교육과정,초등학교 학교재량시간 및 중학교 선택 과목 관련 교육과정"

      5 정구향, "초등학교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2002

      6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한문 [별책 17]"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한문"

      8 오예승, "유아 한자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서혁,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구성의 원리" 국어교육학회 (24) : 297-324, 2005

      10 최지현,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역락 2007

      1 김왕규, "한자 교육 연구의 動向과 課題"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5-52, 2006

      2 김왕규, "한자 교수·학습 방법 연구-교재에 나타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중심으로" 31 : 1-20, 2015

      3 진철용,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구성과 활용 현황" 한국한문교육학회 (32) : 157-184, 2009

      4 서울시교육청, "초등학교 한문 교육과정,초등학교 학교재량시간 및 중학교 선택 과목 관련 교육과정"

      5 정구향, "초등학교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KICE) 2002

      6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한문 [별책 17]"

      7 교육과학기술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Ⅴ-한문"

      8 오예승, "유아 한자 교육의 현황과 교재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서혁, "국어과 교수학습 방법 구성의 원리" 국어교육학회 (24) : 297-324, 2005

      10 최지현,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역락 2007

      11 김왕규, "韓國의 漢字 敎育의 位相과 硏究 動向"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7-77, 2015

      12 허철, "韓國 漢字敎育硏究의 動向과 課題" 한국한문교육학회 (37) : 121-187, 2011

      13 한은수, "現行 初等學校 漢字 認定 敎科書 內容 分析"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9-93, 2009

      14 오예승, "幼兒 漢字 敎育의 現況"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471-522, 2007

      15 이정연, "幼兒 漢字 敎授 學習 方法"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91-250, 2007

      16 한은수, "創意的 體驗活動과 初等學校 漢字 敎育 運營 方案"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31-178, 2010

      17 한은수, "初等學校 漢字 敎科書의 實態를 통해 본 漢字 敎育의 問題點"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1 (1): 111-157,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8-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 The Korea Association For Han-character and classical written language Education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3 0.53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