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보건과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업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산업보건관리직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잇는 사업장 보건관리직무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개발...
목적: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 보건과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사업장에서 수행되고 있는 산업보건관리직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잇는 사업장 보건관리직무 평가항목과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평가항목은 산업보건서비스의 내용별로 대항목, 소항목, 세부항목으로 구분하였다. 평가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실제 사업장에서의 직무활동을 평가하여 평가의 기준을 현실에 맞게 설정하고자 위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평가도구를 350개 사업장의 보건관리자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산업간호사와 산업위생관리기사의 경우 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교육원에서 실시하는 보수교육자 이수자명단을 이용하였으며 설문실시기간은 1996년 7월 24일부터 8월 24일가지로 하여 우편설문의 형식을 취하였다.
결과:
1차 설문조사결과 산업보건의사, 산업간호사, 산업위생관리기사의 평균점수를 보면 기본방침 14.5%, 예방보건 서비스 39.0%, 치료서비스 18.0%, 관리 및 행정서비스 17.2%, 기타서비스 10.3%로 예방보건서비스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 결과를 다시 1차 설문에 응하여준 응답자에게 통보하고 2차 Delphi를 시행한 결과 기본방침 16.1%, 예방보건서비스 36.5%, 치료서비스 20.4%, 관리 및 행정서비스 16.9%, 기타서비스 10.1%로 예방보건 서비스의 점수는 다소 낮아지고 기본방침과 치료서비스의 점수가 올라가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산업보건학계, 대행기관, 사업장 실무 인력인 산업보건의사 10인, 산업간호사 10인, 산업위생관리기사 10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대항목 각각을 100%로 하였을 때의 소항목의 점수(백분율)를 구하였다. 기본방침 중에서는 기본방침의 설정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예방보건서비스중에서는 건강상담 및 보건교육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치료서비스 중에서는 환자치료가 관리 및 행정 서비스에서는 기록 및 보고가 높은 점수를 보였다. 우편설문을 보낸 350개 사업장중 85개 사업장, 110명의 보건관리자에서 직무평가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응답사업장 보건관리자들의 직종별 인원수는 의사 41명, 간호사 78명, 산업위생관리기사 24명, 환경관리기사 65명, 기타 2명으로 산업위생관리기사 대신 환경관리기사를 채용한 사업장이 많았다. 응답사업장의 업종은 대부분이 제조업이었으나 매우 다양하였고 규모별로는 300인 미만이 38.5%, 300~999인 사업장이 32.5%, 1000인 이상이 28.8%었다.
결론:
본 평가도구가 개발목적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사업장에 실제로 적용하여 사업장에서 실제 사용해 보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 규모별, 업종별로 내용을 분석하여 직무를 평가함으로써 문제를 파악하고 특히 보건관리 인력을 얼마만큼 투입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보건관리자의 직무 즉, 사업장내 산업보건서비스를 올바로 수행하기 위한 보건관리자의 교육훈련제도지에 대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