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박운항자 해상교통위험도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rine Traffic Risk Model for Marin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510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Korea's coastal areas increasingly experience marine accident due to frequent ship encounters, increased vessel traffic and large vessel, there is a no specific model to evaluate the navigating vessel's risk for the given situation. The maritime transport environmental assessment is necessary due to the amended marine traffic law. However, marine safety diagnosis is now evaluated by foreign models. In this paper, therefore, we suggest a domestic model catering to an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costal areas as well as those of vessel navigator's risk. We can evaluate subjective risks using this model, and can establish the model output as maritime risk exposure assessment system. We have performed analyses of variance and multiple comparison to identify the factor affecting subjective risks. As a result, measurable subjective risks of maritime traffic accident based on our suggested model can be expressed using the maritime risk exposure assessment system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번역하기

      Although Korea's coastal areas increasingly experience marine accident due to frequent ship encounters, increased vessel traffic and large vessel, there is a no specific model to evaluate the navigating vessel's risk for the given situation. The marit...

      Although Korea's coastal areas increasingly experience marine accident due to frequent ship encounters, increased vessel traffic and large vessel, there is a no specific model to evaluate the navigating vessel's risk for the given situation. The maritime transport environmental assessment is necessary due to the amended marine traffic law. However, marine safety diagnosis is now evaluated by foreign models. In this paper, therefore, we suggest a domestic model catering to and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costal areas as well as those of vessel navigator's risk. We can evaluate subjective risks using this model, and can establish the model output as maritime risk exposure assessment system. We have performed analyses of variance and multiple comparison to identify the factor affecting subjective risks. As a result, measurable subjective risks of maritime traffic accident based on our suggested model can be expressed using the maritime risk exposure assessment system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는 선박 간의 빈번한 조우 상황, 선박 교통량 증대 및 대형화로 인해 해양사고의 잠재 위험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통항 선박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은 개발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개정된 해상교통안전법에서는 해상교통 환경평가를 실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지만 이 진단 또한 외국평가모델에 의해 평가를 하고 있어 실제 우리나라 연안 해역 특성 및 선박운항자의 위험도 인식이 반영된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분석을 통해 선박운항자가 운항 중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하여 선박운항자가 느끼는 주관적 위험도 인식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고 해상위험도 표출시스템에 이식하기 위한 연구이다.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분산분석과 다중비교 분석을 통해 주관적 위험도에 대한 요인들의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해상교통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해상위험도 표출 시스템에 적용하여 운항중인 선박에 대한 위험정도를 화면상에 표출하여 선박운항자들로 하여금 미리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번역하기

      최근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는 선박 간의 빈번한 조우 상황, 선박 교통량 증대 및 대형화로 인해 해양사고의 잠재 위험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통항 선박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

      최근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는 선박 간의 빈번한 조우 상황, 선박 교통량 증대 및 대형화로 인해 해양사고의 잠재 위험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통항 선박의 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은 개발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또한 개정된 해상교통안전법에서는 해상교통 환경평가를 실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지만 이 진단 또한 외국평가모델에 의해 평가를 하고 있어 실제 우리나라 연안 해역 특성 및 선박운항자의 위험도 인식이 반영된 모델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분석을 통해 선박운항자가 운항 중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하여 선박운항자가 느끼는 주관적 위험도 인식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고 해상위험도 표출시스템에 이식하기 위한 연구이다. 다양한 요인들에 대해 분산분석과 다중비교 분석을 통해 주관적 위험도에 대한 요인들의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해상교통위험도를 측정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해상위험도 표출 시스템에 적용하여 운항중인 선박에 대한 위험정도를 화면상에 표출하여 선박운항자들로 하여금 미리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형기, "해양사고 통계분석을 통한 VTS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3 (33): 519-524, 2009

      2 박찬우, "철도 사상사고 위험도 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12 (12): 190-198, 2009

      3 이동민,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의 사고 예측모형 개발 (대도시권 외곽 및 구릉지 특성의 도로구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7 (27): 207-215, 2009

      4 김종성, "선박조우 형태를 고려한 해상교통환경평가 기초 모형 개발" 해양환경안전학회 17 (17): 227-233, 2011

      5 강정규, "고속도로 선형조건별 교통사고 위험도 평가모형 개발(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0 (20): 163-175, 2002

      6 Kang K. W., "Traffic Accidents Analysis on Expressway using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5 (15): 5-15, 1997

      7 Miaou S. P., "The Relationship Between Truck Accidents and Geometric Design of Road Sections: Poisson Versus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s" 26 (26): 471-482, 1994

      8 Lee J. H., "The Effects of Horizontal Curves on Vehicle Speeds and Accidents"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8 (18): 35-43, 2000

      9 Ministry of Land, "Shipping & Port - Internet Data Center"

      10 SAS Institute Inc, "SAS/STAT 9.1"

      1 이형기, "해양사고 통계분석을 통한 VTS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 33 (33): 519-524, 2009

      2 박찬우, "철도 사상사고 위험도 평가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12 (12): 190-198, 2009

      3 이동민, "지방부 다차로 도로구간에서의 사고 예측모형 개발 (대도시권 외곽 및 구릉지 특성의 도로구간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7 (27): 207-215, 2009

      4 김종성, "선박조우 형태를 고려한 해상교통환경평가 기초 모형 개발" 해양환경안전학회 17 (17): 227-233, 2011

      5 강정규, "고속도로 선형조건별 교통사고 위험도 평가모형 개발(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대한교통학회 20 (20): 163-175, 2002

      6 Kang K. W., "Traffic Accidents Analysis on Expressway using Spatial Autoregressive Model"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5 (15): 5-15, 1997

      7 Miaou S. P., "The Relationship Between Truck Accidents and Geometric Design of Road Sections: Poisson Versus Negative Binominal Regressions" 26 (26): 471-482, 1994

      8 Lee J. H., "The Effects of Horizontal Curves on Vehicle Speeds and Accidents"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8 (18): 35-43, 2000

      9 Ministry of Land, "Shipping & Port - Internet Data Center"

      10 SAS Institute Inc, "SAS/STAT 9.1"

      11 United States Coast Guard, "Port and Waterways Safety Assessment Workshop, Technical report" 2009

      12 Jovanis P., "Modeling the Relationship of Accidents to Miles Traveled" 1068 : 42-51, 1986

      13 Ministry of Land, "Maritime Safety Audit Guidebook 알기 쉬 운 해상교통 안전진단 제도소개"

      14 Peter F. H., "IWRAP Mk Ⅱ Basic Modelling Principles for Prediction of Collision and Grounding Frequencies" 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 2008

      15 Kang M. W., "Fitting Distribution of Accident Frequency of Freeway Horizontal Curve Sections & Development of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20 (20): 197-204, 2002

      16 Inoue K., "Assessment Model of Ship Handling Safety by Noting Unsafe Situation as an Index" (241) : 205-210, 2004

      17 Korea Maritime Safety Tribunal, "Annual Report of Maritime Safety Judgement Instance 해양안전심 판사례집"

      18 Caliendo C., "A crash - prediction model for multi-lane roads" 39 : 657-670, 2007

      19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A Study of Evaluating the Road Safety Using Accident Prediction Model" 2003

      20 Rail Safety, "A Statistical Review of the RSSB Safety Risk Model(WP1)"

      21 Kim D. W., "A Prim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Model for Marine Traffic Safety Assessment" Korea Maritime University 2011

      22 Oppe S., "A Comparison of Some Statistical Techniques for Road Accident Analysis" 24 : 397-423,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3 0.4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62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