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헤겔의 자연법 비판과 국가의 기초 = Hegel’s Critique of Natural Law and the Foundation of Stat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779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헤겔의 자연법 비판과 『법철학 개요』에서 전개된 철학적 법학 그리고 인륜적 국가의 기초를 살펴본다.
      먼저 헤겔은 전통적인 자연법사상에서 자연 개념의 이의성(二義性), 자연 상태의 허구성, 자연법의 무비판적 도구화 가능성, 계약론적 사고의 폐해 등을 비판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성법으로 이해된 자연법 개념, 자유의지의 현존으로서의 법 개념 그리고 이 개념의 현실화를 전개하는 철학적 법학을 제시한다.
      이 철학적 법학의 정점은 철학적으로 사유된 인륜적 국가라 할 수 있다. 인륜적 국가는 자기의식의 본질로서의 자유의 현실, 더구나 모든 개별자들이 자신의 특수한 이해들을 자유롭게 충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 자유의 현실이다. 여기서 개인들은 항상 공동체적 보편의 관점에서 저마다의 이익을 추구한다. 이렇게 한편으로는 인륜적 성품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인륜적 제도들로 형성되는 헤겔의 인륜적 국가는 고대적 인륜성과 근대적 주체성이 매개된 자유의 실현 장소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헤겔의 자연법 비판과 『법철학 개요』에서 전개된 철학적 법학 그리고 인륜적 국가의 기초를 살펴본다. 먼저 헤겔은 전통적인 자연법사상에서 자연 개념의 이의성(二義性), 자연 ...

      이 글은 헤겔의 자연법 비판과 『법철학 개요』에서 전개된 철학적 법학 그리고 인륜적 국가의 기초를 살펴본다.
      먼저 헤겔은 전통적인 자연법사상에서 자연 개념의 이의성(二義性), 자연 상태의 허구성, 자연법의 무비판적 도구화 가능성, 계약론적 사고의 폐해 등을 비판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이성법으로 이해된 자연법 개념, 자유의지의 현존으로서의 법 개념 그리고 이 개념의 현실화를 전개하는 철학적 법학을 제시한다.
      이 철학적 법학의 정점은 철학적으로 사유된 인륜적 국가라 할 수 있다. 인륜적 국가는 자기의식의 본질로서의 자유의 현실, 더구나 모든 개별자들이 자신의 특수한 이해들을 자유롭게 충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 자유의 현실이다. 여기서 개인들은 항상 공동체적 보편의 관점에서 저마다의 이익을 추구한다. 이렇게 한편으로는 인륜적 성품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인륜적 제도들로 형성되는 헤겔의 인륜적 국가는 고대적 인륜성과 근대적 주체성이 매개된 자유의 실현 장소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looks into Hegel’s critique of natural law,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right(Recht) and the foundation of the ethical state(der sittliche Staat) in his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Above all, Hegel criticizes the equivocality of the notion of nature, the fictiveness of the state of nature, the possibility of uncritical instrumentalization of natural law,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contractual thinking. And as an alternative, he suggests the notion of natural law understood as rational law, of right as existence of free will, and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right which deals with the realization of this notion.
      The culmination of this science can be considered as the ethical state which is thought philosophically. The ethical state is the actuality(Wirklichkeit) of freedom as essence of self-consciousness, moreover, of concrete freedom in which all individuals can satisfy their particular interests freely. Here they seek their own benefits respectively alway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munal universal. Therefore, Hegel’s ethical state which is built, on the one hand, with ethical mind(Gesinnung) and, on the other, with ethical institutions, can be regarded as the place of realization of freedom, mediated with ancient ethic of life(Sittlichkeit) as well modern subjectivity.
      번역하기

      This article looks into Hegel’s critique of natural law,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right(Recht) and the foundation of the ethical state(der sittliche Staat) in his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Above all, Hegel criticizes the equivocali...

      This article looks into Hegel’s critique of natural law,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right(Recht) and the foundation of the ethical state(der sittliche Staat) in his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Above all, Hegel criticizes the equivocality of the notion of nature, the fictiveness of the state of nature, the possibility of uncritical instrumentalization of natural law, the harmful consequences of the contractual thinking. And as an alternative, he suggests the notion of natural law understood as rational law, of right as existence of free will, and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right which deals with the realization of this notion.
      The culmination of this science can be considered as the ethical state which is thought philosophically. The ethical state is the actuality(Wirklichkeit) of freedom as essence of self-consciousness, moreover, of concrete freedom in which all individuals can satisfy their particular interests freely. Here they seek their own benefits respectively alway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mmunal universal. Therefore, Hegel’s ethical state which is built, on the one hand, with ethical mind(Gesinnung) and, on the other, with ethical institutions, can be regarded as the place of realization of freedom, mediated with ancient ethic of life(Sittlichkeit) as well modern subje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신한, "헤겔철학과 형이상학의 미래" 서광사 2015

      2 이재성, "헤겔의 정치철학-헤겔은 자신의 국가철학을 어떻게 정당화시키고 있는가?" 한국헤겔학회 (21) : 85-116, 2007

      3 박배형, "헤겔의 자유주의 비판" 한국헤겔학회 (31) : 203-236, 2012

      4 남기호, "헤겔의 욕망 개념" 한국헤겔학회 (26) : 33-64, 2009

      5 박배형, "헤겔의 실천철학에서 국가의 목적에 관하여 ― 시민사회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헤겔학회 (36) : 67-94, 2014

      6 박배형, "헤겔의 시민사회론과 그의 시장근본주의 비판" 한국헤겔학회 (42) : 39-69, 2017

      7 김옥경, "헤겔에게서 윤리, 이성 그리고 주체성" 한국헤겔학회 (15) : 179-210, 2004

      8 프레더릭 바이저, "헤겔. 그의 철학적 주제들" 도서출판b 2012

      9 이정은, "헤겔 ?법철학?에서 시민사회와 국가의 매개체―직업 단체와 대의제를 통해" 한국헤겔학회 12 : 8-278, 2002

      10 남기호, "헤겔 법철학에서의 범죄와 형벌의 근거" 한국헤겔학회 (25) : 79-112, 2009

      1 최신한, "헤겔철학과 형이상학의 미래" 서광사 2015

      2 이재성, "헤겔의 정치철학-헤겔은 자신의 국가철학을 어떻게 정당화시키고 있는가?" 한국헤겔학회 (21) : 85-116, 2007

      3 박배형, "헤겔의 자유주의 비판" 한국헤겔학회 (31) : 203-236, 2012

      4 남기호, "헤겔의 욕망 개념" 한국헤겔학회 (26) : 33-64, 2009

      5 박배형, "헤겔의 실천철학에서 국가의 목적에 관하여 ― 시민사회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한국헤겔학회 (36) : 67-94, 2014

      6 박배형, "헤겔의 시민사회론과 그의 시장근본주의 비판" 한국헤겔학회 (42) : 39-69, 2017

      7 김옥경, "헤겔에게서 윤리, 이성 그리고 주체성" 한국헤겔학회 (15) : 179-210, 2004

      8 프레더릭 바이저, "헤겔. 그의 철학적 주제들" 도서출판b 2012

      9 이정은, "헤겔 ?법철학?에서 시민사회와 국가의 매개체―직업 단체와 대의제를 통해" 한국헤겔학회 12 : 8-278, 2002

      10 남기호, "헤겔 법철학에서의 범죄와 형벌의 근거" 한국헤겔학회 (25) : 79-112, 2009

      11 남기호, "헤겔 법철학에서의 군주의 역할 헤겔은 과연 왕정복고 철학자인가"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3) : 111-146, 2012

      12 윤삼석, "헤겔 "법철학"에서 법을 통한 근대적 인륜성의 재구성" 한국헤겔학회 (40) : 195-228, 2016

      13 한스 프리드리히 풀다, "헤겔" 용의 숲 2010

      14 남기호, "프로이센 왕정복고와 헤겔의 정치 법학적 입장Ⅱ: 할러와의 대결을 중심으로" 철학연구회 (100) : 131-160, 2013

      15 남기호, "역사 철학적 관점에서 본 정치적 혁신의 가능성- 헤겔의 1830/31년 『세계사철학』 원고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7) : 43-80, 2014

      16 정미라, "실천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유의지" (9) : 211-237, 2000

      17 남기호, "부르셴샤프트와 헤겔의 정치적 입장-헤겔은 과연 프로이센 국가 철학자인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3 (23): 177-220, 2012

      18 아르투어 카우프만, "법철학입문" 동아대학교출판부 2003

      19 이동희, "개인적 자유와 국가 공동체의 매개로서의 헤겔의 대의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헤겔학회 (42) : 161-185, 2017

      20 Grotsch, Klaus, "“Anhang” zu Nürnberger Gymnasialkurse und Gymnasialreden (1801-1816), Gesammelte Werke Bd.10.2" Felix Meiner Verlag 841-1164, 2006

      21 이재성, "[법철학]에서 ‘시민사회’에 대한 헤겔 해석의 정치철학적 의미" 한국헤겔학회 (18) : 85-112, 2005

      22 Jaeschke, Walter, "Zwischen Konfrontation und Integration" Akademie Verlag 217-233, 2007

      23 Milisavljević, Vladimir, "Zwischen Konfrontation und Integration" Akademie Verlag 85-97, 2007

      24 Arnautović, Samir, "Zwischen Konfrontation und Integration" Akademie Verlag 67-73, 2007

      25 Lübbe-Wolff, Gertrude, "Zeitschrift für philosophische Forschung Bd.35" 476-501, 1981

      26 Hegel, "Wissenschaft der Logik Ⅱ, Gesammelte Werke Bd.12" Felix Meiner Verlag 1981

      27 Hegel, "VorlesungsmanuskripteⅡ (1816-1831), Gesammelte Werke Bd.18" Felix Meiner Verlag 1995

      28 Hegel,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s Rechts Berlin 1819/20" Felix Meiner Verlag 2000

      29 Hegel, "Vorlesungen über Rechtsphilosophie Bd.4" Frommann-Holzboog 1974

      30 Hegel, "Vorlesungen über Rechtsphilosophie Bd.3" Frommann-Holzboog 1974

      31 Hegel, "Vorlesungen über Rechtsphilosophie Bd.1" Frommann-Holzboog 1973

      32 Hegel, "Vorlesungen über Naturrecht und Staatswissenschaft Heidelberg 1817/18, Vorlesungen. Ausgewählte Nachschriften und Manuskripte Bd.1" Felix Meiner Verlag 1983

      33 Jodl, Friedrich, "Vom Lebenswege Bd1" J. G. Cotta’sche Buchhandlung 1916

      34 Hegel, "Ueber die wissenschaftlichen Behandlungsarten des Naturrechts, Gesammelte Werke Bd.4" Felix Meiner Verlag 1968

      35 Hüffer, Wilm, "Theodizee der Freiheit, Hegel-Studien Beiheft Bd.46" Felix Meiner Verlag 2002

      36 Schelling, "System des transzendentalen Idealismus, Ausgewählte Werke Bd.Ⅱ"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82

      37 Jaeschke, Walter, "Staat und Kultur bei Hegel" Akademie Verlag 11-23, 2010

      38 Hegel, "Schriften und EntwürfeⅠ (1817-1825), Gesammelte Werke Bd.15" Felix Meiner Verlag 1990

      39 Hogemann, Friedrich, "Schriften und EntwürfeⅠ (1817-1825), Gesammelte Werke Bd.15" Felix Meiner Verlag 281-333, 1990

      40 Hegel, "Schriften und Entwürfe (1799-1808), Gesammelte Werke Bd.5" Felix Meiner Verlag 1998

      41 Kaufmann, Matthias, "Rechtsphilosophie" Verlag Karl Alber GmbH 1996

      42 Aristoteles, "Politik T1, Aristoteles Werke Bd.6" Scientia Verlag 1978

      43 Hegel, "Phänomenologie des Geistes, Gesammelte Werke Bd.9" Felix Meiner Verlag 1980

      44 Klenner, Hermann, "Philosophisch-literarischen Streitsachen Bd.4" Felix Meiner Verlag 87-99, 1995

      45 Mehlhausen, Joachim, "Philosophisch-literarischen Streitsachen Bd.4" Felix Meiner Verlag 67-85, 1995

      46 Düsing, Klaus, "Philosophisch-literarische Streitsachen Bd.2" Felix Meiner Verlag 144-163, 1993

      47 Hegel, "Philosophie des Rechts. Nachschrift der Vorlesung von 1822/23" Peter Lang 1999

      48 Hegel, "Philosophie des Rechts. Die Vorlesung von 1819/20 in einer Nachschrift" Suhrkamp 1983

      49 Hegel, "Nürnberger Gymnasialkurse und Gymnasialreden (1808-1816), Gesammelte Werke Bd.10.1" Felix Meiner Verlag 2006

      50 Hegel, "Notizen zu den Paragraphen 1 bis 180 der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Gesammelte Werke Bd.14,2" Felix Meiner Verlag 2010

      51 Schelling, "Neue Deduction des Naturrechts, Schelling Werke Bd.3" Frommann-Holzboog 1982

      52 Kant, "Metaphysische Anfangsgründe der Rechtslehre in Die Metaphysik der Sitten, Werke in sechs Bänden Bd.IV"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8

      53 Landau, Peter, "Materialien zu Hegels Rechtsphilosophie Bd.2" Suhrkamp 176-197, 1975

      54 Ritter, Joachim, "Materialien zu Hegels Rechtsphilosophie Bd.2" Suhrkamp 152-175, 1975

      55 Rotenstreich, Nathan, "Legislation und Exposition, Hegel-Studien Beiheft Bd.24" Bouvier Verlag 1984

      56 Hegel, "Jenaer Systementwürfe Ⅲ, Gesammelte Werke Bd.8" Felix Meiner Verlag 1976

      57 Jacobi, "Jacobi an Fichte, Friedrich Heinrich Jacobi Werke Bd2,1" Felix Meiner Verlag 2004

      58 Wolf, E.,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6" Schwabe & Co AG 560-563, 1984

      59 Hofmann, H.,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6" Schwabe & Co AG 653-658, 1984

      60 Brandt, Reinhard,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6" Schwabe & Co AG 563-571, 1984

      61 Kühl, Kritian, "Historisches Wörterbuch der Philosophie Bd.6" Schwabe & Co AG 609-623, 1984

      62 Hegel, "Hegels Theologische Jugendschriften" Minerva GmbH 1966

      63 Lucas, H.-Ch., "Hegels Rechtsphilosophie im Zusammenhang der europäischen Verfassungsgeschichte" Frommann-Holzboog 175-220, 1986

      64 Moyar, Dean, "Hegels Erbe" Suhrkamp 209-253, 2004

      65 Boldt, Hans, "Hegel-Studien Beiheft Bd.42" Felix Meiner Verlag 169-209, 2000

      66 Tillette, Xavier, "Hegel-Studien Beiheft Bd.20" Bouvier Verlag 11-24, 1980

      67 Düsing, Klaus, "Hegel-Studien Beiheft Bd.20" Bouvier Verlag 25-44, 1980

      68 Meist, Kurt Rainer, "Hegel-Studien Beiheft Bd.20" Bouvier Verlag 59-79, 1980

      69 Maier, Hans, "Hegel-Studien Beiheft Bd.11" Bouvier Verlag 305-319, 1983

      70 Zabel, Benno, "Hegel-Studien Bd.45" Felix Meiner Verlag 51-79, 2011

      71 Kastner, Hannes, "Hegel-Studien Bd.43" Felix Meiner Verlag 67-85, 2008

      72 Riedel, Manfred, "Hegel-Studien Bd.4" Bouvier Verlag 177-204, 1967

      73 Weisser-Lohmann, Elisabeth, "Hegel-Studien Bd.26" Bouvier Verlag 63-73, 1991

      74 Schnädelbach, Herbert, "Hegel-Studien Bd.22" Bouvier Verlag 111-128, 1987

      75 Wolff, Michael, "Hegel-Studien Bd.19" Bouvier Verlag 147-177, 1984

      76 Siep, Ludwig, "Hegel-Studien Bd.17" Bouvier Verlag 75-96, 1982

      77 Rameil, Udo, "Hegel-Studien Bd.16" Bouvier Verlag 123-162, 1981

      78 Losurdo, Domenico, "Hegel und die Freiheit der Modernen" Peter Lang 2000

      79 Chételat, Pierre, "Hegel and History" Suny Press 215-230, 2009

      80 Jaeschke, Walter, "Hegel Handbuch" Verlag J. B. Metzler 2003

      81 Kaufmann, Arthur, "Grundprobleme der Rechtsphilosophie" Verlag C. H. Beck 1994

      82 Hegel,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Gesammelte Werke Bd.14,1" Felix Meiner Verlag 2009

      83 Kant, "Grundlegung zur Metaphysik der Sitten, Werke in sechs Bänden Bd.Ⅳ" Wissenschaftliche Buchgesellschaft 1998

      84 Loos, Fritz, "Geschichtliche Grundbegriffe Bd.5" Klett-Cotta 231-311, 1984

      85 Hegel,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1830), Gesammelte Werke Bd.20" Felix Meiner Verlag 1992

      86 Hegel,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1827), Gesammelte Werke Bd.19" Felix Meiner Verlag 1989

      87 Hegel, "Enzyklopädie der philosophischen Wissenschaften im Grundrisse (1817), Gesammelte Werke Bd.13" Felix Meiner Verlag 2000

      88 Hegel, "Die Philosophie des Rechts. Vorlesung von 1921/22" Suhrkamp 2005

      89 Jaeschke, Walter, "Die Klassische Deutsche Philosophie nach Kant" Verlag C. H. Beck 2012

      90 Arndt, Andreas, "Dialektik und Reflexion" Felix Meiner Verlag 1994

      91 Fichte, "Das System der Rechtslehre, Fichtes Werke Bd.Ⅹ" Walter de Gruyter & Co 1971

      92 Hegel, "Briefe von und an Hegel Bd.2" Akademie Verlag 1970

      93 Koselleck, Reinhart, "Begriffsgeschichten" Suhrkamp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가톨릭철학
      외국어명 : The Catholic Philosoph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5 0.24 0.85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