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조선유교가족규범의 형성과 전개가 그저 단일하고 매끈하였던 것이 아니라, 굴절과 균열의 전개 과정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유교가족규범이 단지 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77906
2018
-
조선유교 ; 가족 ; 규범 ; 젠더 ; 혼종 ; 중층성 ; 미끄러짐 ; 불복종 ; 여성철학 ; Chosun Confucianism ; family ; Buddhism ; Catholicism ; norms ; gender ; hybridism ; stratification ; insubordination ; Feminist Philosophy
KCI등재
학술저널
37-64(2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조선유교가족규범의 형성과 전개가 그저 단일하고 매끈하였던 것이 아니라, 굴절과 균열의 전개 과정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유교가족규범이 단지 외...
이 논문은 조선유교가족규범의 형성과 전개가 그저 단일하고 매끈하였던 것이 아니라, 굴절과 균열의 전개 과정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밝힌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유교가족규범이 단지 외부의 이질적인 것이 삽입되거나 규범에 순응하는 것으로서가 아니라, 유교전통 안에서 미끄러짐, 불복종이 일어나는 속에서 구성된 것임을 강조할 것이다. 또한 가족 문제를 단지 이념이나 제도에 의해서가 아니라 감정, 경험, 서사에 주목해서 연구함으로써 유교가족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장을 열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같은 문제의식을 효과적으로 다루기 위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의의 층위를 구성한다. 하나는 조선 전기의 불교와 유교, 조선 후기의 유교와 천주교가 중첩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중층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교와 비유교가 만나는 지점에서 일어나는 가족규범의 다양한 층과 결이 발생했음을 살펴볼 것이다. 다른 하나는 전형적인 유교가족규범, 젠더규범 내부에서 일어나는 복종과 불복종, 공고화와 균열의 이중성을 주목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 안에서 매우 안정되어 보이는 유교가족규범과 젠더 규범의 내부가 사실은 불안정하고 불확정적이었음을 보여줄 것이다.
이렇게 조선시대 가족을 논의함으로써 조선유교를 단일한 개념으로 포획하는 관념을 해체하고 혼종적이고 다양하며 개방적이고 복수적인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다. 또한 조선유교 및 조선가족규범을 이해하는 시각의 다양화를 제시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reveals tha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osun Confucian family norms were not just uniform and smooth, but involv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solidation and fissure. Through such work, the thesis will emphasize that Confucian fa...
This thesis reveals that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osun Confucian family norms were not just uniform and smooth, but involv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nsolidation and fissure. Through such work, the thesis will emphasize that Confucian family norms were not simply inserted from external factors or conformed to norms, but were formulated within Confucian tradition, where sliding and insubordination occur. In addition, the thesis will show a new chapter of understanding about Confucian family by focusing on emotion, experience, and narration, rather than ideology or institution.
To effectively discuss such issues, the thesis will classify the layers of discussion as such. The first is revealing the stratification where Confucianism, Buddhism in the early Chosun-dynasty, and Confucianism, Catholicism in the late Chosun-dynasty overlap. Through this, the thesis will look at how the diverse layers of family norms were developed, particularly at the overlapping point where Confucianism and non-Confucianism meet. Another focus of the discussion is the duplicity of subordination and insubordination, consolidation and fissure that occur within traditional Confucian family norms and gender norms. In such discussions, the author seeks to reveal that the interior of Confucian family norms and gender norms, which seemed stable, were in fact unstable and uncertain.
By discussing family in the Chosun-dynasty, the notion that limits Chosun Confucianism as one concept will be dissolved and instead can reveal Confucianism’s hybrid, diverse, open, and plural identity. Furthermore, the thesis can suggest diversification of perspective that understands Chosun Confucianism and Chosun family norms.
참고문헌 (Reference)
1 "효경(孝經)"
2 유민석, "혐오발언에 관한 담화행위론적 연구" 동국대학교 2015
3 이혜순, "한국고전 여성문학의 세계 –산문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4 김두헌, "한국가족제도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68
5 최재석,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1983
6 김세서리아, "탈경계 시대, 여성주의적 유교는 가능한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8 (28): 43-77, 2017
7 이이효재, "조선조 사회와 가족" 한울아카데미 2003
8 박무영, "조선의 여성들" 돌베개 2004
9 "조선왕조실록"
10 김세서리아, "조선 후기 천주교 여성의 가족감정을 통한 가족서사의 재배치 : 이루갈다의 [옥중서간]에 나타난 자아-가족-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7 : 31-57, 2017
1 "효경(孝經)"
2 유민석, "혐오발언에 관한 담화행위론적 연구" 동국대학교 2015
3 이혜순, "한국고전 여성문학의 세계 –산문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3
4 김두헌, "한국가족제도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1968
5 최재석, "한국가족제도사연구" 일지사 1983
6 김세서리아, "탈경계 시대, 여성주의적 유교는 가능한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8 (28): 43-77, 2017
7 이이효재, "조선조 사회와 가족" 한울아카데미 2003
8 박무영, "조선의 여성들" 돌베개 2004
9 "조선왕조실록"
10 김세서리아, "조선 후기 천주교 여성의 가족감정을 통한 가족서사의 재배치 : 이루갈다의 [옥중서간]에 나타난 자아-가족-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7 : 31-57, 2017
11 이순구, "조선 초기 여성의 신앙생활" 150 : 1996
12 김세서리아, "조선 전기 가족 인식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찰 - 소혜왕후의 『내훈』과 친불교적 발언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1 : 1-30, 2009
13 김세서리아, "조선 유학의 가족 서사를 통한 관계적 자아의 정교화 : 송덕봉의 서간문에 나타난 부부서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5 : 1-33, 2016
14 김진소, "이순이 루갈다 남매 옥중편지" 디자인흐름 2010
15 쥬디스 버틀러, "의미를 체현하는 육체" 인간사랑 2003
16 "율곡전서(栗谷全書)"
17 김세서리아, "율곡(栗谷)의 「선비행장(先妣行狀)」에 대한 여성주의 독해 - 사임당의 보살핌 행위와 여성주의 보살핌의 윤리를 중심으로" (사)율곡학회 30 : 93-118, 2015
18 허라금, "여성의 행위성과 가족 관념의 재구성" 새한철학회 67 (67): 297-316, 2012
19 송재용, "여류문인 송덕봉의 생애와 문학" 15 : 1997
20 이경하, "소혜황후의 불교옹호발언과 젠더권력관계" 한국여성학회 20 (20): 5-32, 2004
21 김혜련, "서사담론으로서의 가족애" 한국여성철학회 (7) : 59-86, 2007
22 "미암일기(眉巖日記)"
23 가야트리 스피박, "누가 민족 국가를 노래하는가" 산책자 2008
24 "내훈(內訓)"
25 조선대학교 고전연구원, "국역 덕봉집" 심미안 2012
26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 2003
27 송재용, "宋德峯 文學 硏究" 동아시아고대학회 (28) : 31-66, 2012
28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 제1권, 4장" 분도출판사 1979
29 정창권, "[미암일기]에 나타난 송덕봉의 일상생활과 창작활동" 한국어문학회 78 : 543-562, 2002
30 Austin, J. L., "How to Do Things With Word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2
31 Friedman, M., "Feminism and Community" Temple University Press 1995
32 Butler, J., "Excitable Speech: A Politics of the Performative" Routledge 1997
33 Baez, B., "Affirmative Action, Hate Speech, and Tenure: Narratives about Race, Law, and the Academy" Psychology Press 2002
34 백승종, "16세기 조선사회의 젠더gender 문제와 성리학 ― 송덕봉이란 여성의 입장에서 살핌 ―" 역사학회 (197) : 1-29, 2008
35 박미해, "16세기 夫權과 婦權의 존재 양식:『眉巖日記』에 나타난 柳希春과 宋德峰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18 (18): 5-36, 2002
36 이연순, "16세기 夫婦間의 일상사 해결의 양상 - 柳希春과 宋德奉의 경우를 중심으로 -" 동양고전학회 (46) : 125-147, 2012
자연법의 제일 원리들 -몇 가지 주요 특징들에 대한 탐구-
데카르트의 사랑 개념과 만족의 에고이즘 -17세기 감정론과 역량의 윤리 (1)-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6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가톨릭철학외국어명 : The Catholic Philosoph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5 | 0.24 | 0.852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