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염병 대응을 위한 효율적인 의료자원(감염관리시설) 조성․운영방안 필요 Ÿ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질병관리본부의 적절한 방역대책으로 1차 적인 확산세는 제어하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E1668483
2020년
Korean
300
국가정책연구포털(NKIS)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감염병 대응을 위한 효율적인 의료자원(감염관리시설) 조성․운영방안 필요 Ÿ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질병관리본부의 적절한 방역대책으로 1차 적인 확산세는 제어하였...
▬ 감염병 대응을 위한 효율적인 의료자원(감염관리시설) 조성․운영방안 필요
Ÿ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이후 질병관리본부의 적절한 방역대책으로 1차
적인 확산세는 제어하였으나 지속적으로 감염자가 지역사회에서 발현하고 있어 집단
감염의 가능성 상존
‐ 세계적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확진자가 입국하는 상황으로 백신과
치료제의 개발 전까지는 생활방역과 더불어 2차 대유행을 준비할 시점
Ÿ 감염관리에 필요한 시설들의 현황 파악을 토대로 향후 유사 상황에 대비한 중장기적인
시설 개선 및 확대를 위한 대응방안 필요
‐ 장기화와 2차 대유행을 고려하여 선별진료소, 생활치료센터, 음압격리병실 등 코로
나 19 확산 방지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난 사회적 감염 관리 시설들의 안
정적인 운영 방안 검토 필요
▬ 감염병 확산방지에 필수적인 주요시설 유형화 및 개선․확대 방안 모색
Ÿ 감염병 확산 방지 및 치료에 필수적인 시설은 크게 선별진료소, 임시생활시설, 생활치
료센터, 음압병동(병실), (음압)중환자실로 구분
Ÿ 검진-방역-치료과정에서 필요한 감염관리시설(의료자원) 분석 및 유형화
▬ 감염관리를 위한 주요 시설기준 개선 방안과 향후 연구과제 제시
Ÿ 코로나19 장기화 및 향후 유사상황 대비를 위한 감염관리에 필수적인 시설들의 개선
및 확대방안 모색
Ÿ 감염병 발현‧확산 방지 및 효율적인 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연구주제 발굴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