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졸-겔 법으로 합성된 ZnCdO 박막의 카드뮴 몰분율에 따른 특성 연구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ZnCdO Thin Films with Varying Cd Mole Fraction Synthesized by the Sol-Gel Meth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87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유리 기판 위에 Zn1−xCdxO 박막을 졸-겔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전구체 용액의 Cd 몰분율을 x = 0–0.90으로 제조하여 증착하였고, 전구체의 농도와 실제 박막으로 나타난 Cd 함량의 비를 비교하며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XPS 및 XRD 분석 결과 x = 0.23까지 우르짜이트 상이 나타내며 약 66%의 반응 전환율이 관찰되었고, 0.30 ≤ x ≤ 0.60은 혼합 상으로 관찰되었으며 전환율은 x = 0.30에서는 41%, x = 0.60에서는 106%, 암염 상에서는 90%로 나타났다. Cd이 증가할수록 우르짜이트 상에서 밴드 갭 에너지는 3.27 eV에서 2.94 eV까지 감소하였다가, 혼합상에서는 3.09 eV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암염상에서는 2.31 eV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x ≤ 0.60에서 80% 이상의 투과율이 관찰되었고, Cd 함량에 따라 밴드갭이 감소하여 자유 전자가 증가해 비저항은 2.36 × 10−3 Ω cm까지 감소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유리 기판 위에 Zn1−xCdxO 박막을 졸-겔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전구체 용액의 Cd 몰분율을 x = 0–0.90으로 제조하여 증착하였고, 전구체의 농도와 실제 박막으로 나타난 Cd ...

      본 연구에서는 유리 기판 위에 Zn1−xCdxO 박막을 졸-겔 스핀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전구체 용액의 Cd 몰분율을 x = 0–0.90으로 제조하여 증착하였고, 전구체의 농도와 실제 박막으로 나타난 Cd 함량의 비를 비교하며 구조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XPS 및 XRD 분석 결과 x = 0.23까지 우르짜이트 상이 나타내며 약 66%의 반응 전환율이 관찰되었고, 0.30 ≤ x ≤ 0.60은 혼합 상으로 관찰되었으며 전환율은 x = 0.30에서는 41%, x = 0.60에서는 106%, 암염 상에서는 90%로 나타났다. Cd이 증가할수록 우르짜이트 상에서 밴드 갭 에너지는 3.27 eV에서 2.94 eV까지 감소하였다가, 혼합상에서는 3.09 eV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암염상에서는 2.31 eV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x ≤ 0.60에서 80% 이상의 투과율이 관찰되었고, Cd 함량에 따라 밴드갭이 감소하여 자유 전자가 증가해 비저항은 2.36 × 10−3 Ω cm까지 감소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 Janotti, 72 : 126501-, 2009

      2 S. Liang, 108 : 104871-, 2020

      3 D. G. Thomas, 15 : 86-, 1960

      4 C. H. Liu, 15 : 838-, 2003

      5 N. Kumar, 706 : 438-, 2017

      6 X. F. Li, 69 : 187-, 2014

      7 T. Makino, 78 : 1237-, 2001

      8 T. Gruber, 83 : 3290-, 2003

      9 F. Z. Wang, 87 : 143101-, 2005

      10 V. Venkatachalapathy, 83 : 125315-, 2011

      1 A. Janotti, 72 : 126501-, 2009

      2 S. Liang, 108 : 104871-, 2020

      3 D. G. Thomas, 15 : 86-, 1960

      4 C. H. Liu, 15 : 838-, 2003

      5 N. Kumar, 706 : 438-, 2017

      6 X. F. Li, 69 : 187-, 2014

      7 T. Makino, 78 : 1237-, 2001

      8 T. Gruber, 83 : 3290-, 2003

      9 F. Z. Wang, 87 : 143101-, 2005

      10 V. Venkatachalapathy, 83 : 125315-, 2011

      11 A. Singh, 3 : 57-, 2013

      12 A. Singh, 258 : 1881-, 2011

      13 J. K. Rajput, 9 : 31316-, 2019

      14 O. Vigil, 68 : 249-, 2001

      15 J. M. Bian, 84 : 541-, 2004

      16 J. Yang, 117 : 895-, 2014

      17 G. Kumar, 162 : 107-, 2019

      18 S. Verma, 49 : 6917-, 2014

      19 R. K. Gupta, 62 : 4103-, 2008

      20 Y. Segawa, 202 : 669-, 1997

      21 K. Matsubara, 431-432 : 369-, 2003

      22 I. Shtepliuk, 120 : A-61-, 2011

      23 H. C. Jang, 22 : 2781-, 2020

      24 H. C. Jang, 867 : 159033-, 2021

      25 J. Ishihara, 89 : 091914-, 2006

      26 T. Ohashi, 46 : 2516-, 2007

      27 D. M. Detert, 102 : 232103-, 2013

      28 C. Y. Liu, 482 : 393-, 2009

      29 B. Yang, 42 : 045415-, 2009

      30 B. J. Coppa, 97 : 103517-, 2005

      31 D. W. Ma, 461 : 250-, 2004

      32 S. Richards, 83 : 116-, 2016

      33 Z. Zhu, 8 : 016410-, 2021

      34 T. Ghoshal, 19 : 065606-, 2008

      35 V. Kumar, 101 : 57-, 2013

      36 P. Kumar, 605 : 125369-, 2020

      37 Z. Chen, 13 : 4387-, 2022

      38 G. Li, 509 : 4816-, 2011

      39 A. Singh, 45 : 179-, 2012

      40 염아람 ; 김홍승 ; 장낙원 ; 윤영 ; 안형수, "졸-겔법으로 성장시킨 Mg0.3Zn0.7O 박막의 Mg 전구체의 종류에 따른 광학적⋅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33 (33): 214-218, 2020

      41 김소아람 ; 남기웅 ; Kwang Gug Yim ; 이제원 ; 김양수 ; 임재영, "Effects of Post-Heated ZnO Seed Layers on Structural and Optical Properties of ZnO Nanostructures Grown by Hydrothermal Method" 대한금속·재료학회 9 (9): 293-298,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