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노동조합의 지도력과 젠더정치 - 청계피복노조의 여성지도력 형성과 좌절 (1970~198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446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970's~80's the women occupied more than 80% among the 25,000 labors working in the Pyounghwa market. In the workplace and work process with gender hierarchy was they subalterns.
      In Cheonggye Apparel Labor Union organized in 1970, the most union members were women labors. But in Labor Union were there the gender hierarchy of the man leaders and the many women union members, too. However they attempted to run for the woman heads of the local branch in 1976, 1978. And after the forced dissolution of union in 1981, also in the period of the closed-door activities in 1986, women leadership appeared and took a very active part, however after men were released, women leaders were excluded.
      By Oral History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the activities of (Labor) Union Pyounghwa market women labors reproduced the gender awareness received in the family and society. But it was confirmed that women labors were never passive in the gender hierarchy.
      번역하기

      In 1970's~80's the women occupied more than 80% among the 25,000 labors working in the Pyounghwa market. In the workplace and work process with gender hierarchy was they subalterns. In Cheonggye Apparel Labor Union organized in 1970, the most union m...

      In 1970's~80's the women occupied more than 80% among the 25,000 labors working in the Pyounghwa market. In the workplace and work process with gender hierarchy was they subalterns.
      In Cheonggye Apparel Labor Union organized in 1970, the most union members were women labors. But in Labor Union were there the gender hierarchy of the man leaders and the many women union members, too. However they attempted to run for the woman heads of the local branch in 1976, 1978. And after the forced dissolution of union in 1981, also in the period of the closed-door activities in 1986, women leadership appeared and took a very active part, however after men were released, women leaders were excluded.
      By Oral History this study confirmed that in the activities of (Labor) Union Pyounghwa market women labors reproduced the gender awareness received in the family and society. But it was confirmed that women labors were never passive in the gender hierarch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70~80년대에 평화시장에서 일하는 2만 5천여 명의 노동자들 중에 여성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여성노동자들은 성장과정에서 성차별을 받았고, 작업장에서도 성별위계적인 노동과정에서도 하위존재로 위치했다.
      1970년 결성된 청계피복노조는 조합원의 다수가 여성노동자들이었다. 여성조합원들은 여러 소모임과 교육에 참여하면서 노조활동에 적극 참여했고, 임금인상을 위한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노동조합 역시 남성 지도부와 다수의 여성 조합원이라는 성별 위계화가 나타났다. 18년의 청계피복노조의 역사에서 지도부, 특히 지부장은 남성노동자들이었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은 수동적인 존재만은 아니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이해를 대변하기 위해 1976년과 1978년 지부장 선거에 여성지도부를 등장시키려 시도하였다. 또 여성노동자들은 1981년 노조가 강제 해산되고 남성지도부가 구속되자 ‘청계모임’을 결성하여 활동했다. 1986년 비공개노조 활동 시기에도 여성지도부가 등장하여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두 시기 모두 남성노동자들이 석방되어 나오자 여성지도부는 배제되었고 다시 남성지도부가 등장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구술사 방법론을 통해 평화시장 노동자들이 가족과 사회에서 체득한 성별의식을 노동조합운동에서도 재현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은 성별위계 속에서 결코 수동적인 존재만은 아니었다는 것도 확인했다.
      번역하기

      1970~80년대에 평화시장에서 일하는 2만 5천여 명의 노동자들 중에 여성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여성노동자들은 성장과정에서 성차별을 받았고, 작업장에서도 성별위계적인 노동과정에서도 ...

      1970~80년대에 평화시장에서 일하는 2만 5천여 명의 노동자들 중에 여성이 80% 이상을 차지했다. 여성노동자들은 성장과정에서 성차별을 받았고, 작업장에서도 성별위계적인 노동과정에서도 하위존재로 위치했다.
      1970년 결성된 청계피복노조는 조합원의 다수가 여성노동자들이었다. 여성조합원들은 여러 소모임과 교육에 참여하면서 노조활동에 적극 참여했고, 임금인상을 위한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노동조합 역시 남성 지도부와 다수의 여성 조합원이라는 성별 위계화가 나타났다. 18년의 청계피복노조의 역사에서 지도부, 특히 지부장은 남성노동자들이었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은 수동적인 존재만은 아니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이해를 대변하기 위해 1976년과 1978년 지부장 선거에 여성지도부를 등장시키려 시도하였다. 또 여성노동자들은 1981년 노조가 강제 해산되고 남성지도부가 구속되자 ‘청계모임’을 결성하여 활동했다. 1986년 비공개노조 활동 시기에도 여성지도부가 등장하여 활발한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두 시기 모두 남성노동자들이 석방되어 나오자 여성지도부는 배제되었고 다시 남성지도부가 등장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구술사 방법론을 통해 평화시장 노동자들이 가족과 사회에서 체득한 성별의식을 노동조합운동에서도 재현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여성노동자들은 성별위계 속에서 결코 수동적인 존재만은 아니었다는 것도 확인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