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로크와 루소를 통해서 본 인간의 성장과 교육의 조건 = Human growth and Conditions of Education viewed from Locke and Roussea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399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philosophy of Locke and Rousseau, to find out the conditions of education for human growth, and to clarify what tasks education should pursue.
      Locke believed that humans acquire knowledge through experiences as sensory impressions about external objects. All knowledge forms an idea through external senses and develops into true knowledge as ‘reflection’, which is a mind function. Locke’s theory of knowledge is not merely a cumulative sense of filling blank, but it transform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xternal senses into true knowledge through ‘a constant reflection process’.
      Rousseau argued that the ability of reason is also formed from sensory experience, considering the first starting point of knowledge acquisition a sensory experience of things based on Locke’s sensory knowledge theory. For Rousseau, the concept of reason is the experiential reason which is united way perceived as the mechanism which experience operates as a mechanism for the growth of reason. Therefore, Rousseau’s educational philosoph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sensory experience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 method ‘for’ growth of reason.
      Humans have the power of active to form ideas through sensation and constant reflection process and to create new ideas by combining them arbitrarily. This whole process takes place within the framework of ‘experience’ and humans become intelligent and grow. Education promotes the growth of experience quality and intelligence, thus educational growth is the growth of experience and learning through experienc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human growt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philosophy of Locke and Rousseau, to find out the conditions of education for human growth, and to clarify what tasks education should pursue. Locke believed that humans acquire knowledge thr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tial philosophy of Locke and Rousseau, to find out the conditions of education for human growth, and to clarify what tasks education should pursue.
      Locke believed that humans acquire knowledge through experiences as sensory impressions about external objects. All knowledge forms an idea through external senses and develops into true knowledge as ‘reflection’, which is a mind function. Locke’s theory of knowledge is not merely a cumulative sense of filling blank, but it transforms th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external senses into true knowledge through ‘a constant reflection process’.
      Rousseau argued that the ability of reason is also formed from sensory experience, considering the first starting point of knowledge acquisition a sensory experience of things based on Locke’s sensory knowledge theory. For Rousseau, the concept of reason is the experiential reason which is united way perceived as the mechanism which experience operates as a mechanism for the growth of reason. Therefore, Rousseau’s educational philosoph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sensory experience in the dimension of education method ‘for’ growth of reason.
      Humans have the power of active to form ideas through sensation and constant reflection process and to create new ideas by combining them arbitrarily. This whole process takes place within the framework of ‘experience’ and humans become intelligent and grow. Education promotes the growth of experience quality and intelligence, thus educational growth is the growth of experience and learning through experienc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human growt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로크와 루소의 경험철학을 분석하여 인간의 성장을 위한 교육의 조건을 알아보고, 교육이 추구해야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로크는 인간이 외부의 대상에 대하여 감각인상에 의한 경험을 통하여 지식을 획득한다고 보았다. 모든 지식은 외적 감각을 통해 관념을 형성하고, 마음 작용인 ‘반성(reflection)’이 이루어지면서 참 지식으로 전개 된다. 로크의 지식론은 단순히 백지를 채워주는 누적 감각이 아니라 외부 감각으로 수용된 정보를 ‘부단한 반성과정’을 통해서 참 지식으로 전환시켜주는 것이다. 루소는 지식획득의 첫 출발점을 로크의 감각적 지식론에 근거하여 사물에 대한 감각경험으로 삼았으며 이성의 능력도 감각경험에서 형성될 수 있음을 주장했다. 루소에게 있어 이성개념은 경험이 이성의 성장을 위한 기제로서 작동하는 일원론적으로 인식한 경험이성이다. 따라서 루소의 교육철학은 ‘이성의 성장’을 위한(for) 교육 방법론의 차원에서 감각경험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인간은 감각과 부단한 반성과정을 통해 관념을 형성하고 그 관념들을 임의로 결합시켜 새로운 관념을 생성할 수 있는 능동의 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 과정은 ‘경험’이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지며 인간은 지성화 되어 성장한다. 교육은 그러한 경험의 질과 지성의 성장을 촉진하며, 따라서 교육적 성장은 경험의 성장인 것이며 경험을 통한 학습은 인간의 성장에 필수조건인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로크와 루소의 경험철학을 분석하여 인간의 성장을 위한 교육의 조건을 알아보고, 교육이 추구해야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로크는 인간이 외부의 대상...

      본 연구는 로크와 루소의 경험철학을 분석하여 인간의 성장을 위한 교육의 조건을 알아보고, 교육이 추구해야할 과제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로크는 인간이 외부의 대상에 대하여 감각인상에 의한 경험을 통하여 지식을 획득한다고 보았다. 모든 지식은 외적 감각을 통해 관념을 형성하고, 마음 작용인 ‘반성(reflection)’이 이루어지면서 참 지식으로 전개 된다. 로크의 지식론은 단순히 백지를 채워주는 누적 감각이 아니라 외부 감각으로 수용된 정보를 ‘부단한 반성과정’을 통해서 참 지식으로 전환시켜주는 것이다. 루소는 지식획득의 첫 출발점을 로크의 감각적 지식론에 근거하여 사물에 대한 감각경험으로 삼았으며 이성의 능력도 감각경험에서 형성될 수 있음을 주장했다. 루소에게 있어 이성개념은 경험이 이성의 성장을 위한 기제로서 작동하는 일원론적으로 인식한 경험이성이다. 따라서 루소의 교육철학은 ‘이성의 성장’을 위한(for) 교육 방법론의 차원에서 감각경험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인간은 감각과 부단한 반성과정을 통해 관념을 형성하고 그 관념들을 임의로 결합시켜 새로운 관념을 생성할 수 있는 능동의 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 과정은 ‘경험’이라는 틀 안에서 이루어지며 인간은 지성화 되어 성장한다. 교육은 그러한 경험의 질과 지성의 성장을 촉진하며, 따라서 교육적 성장은 경험의 성장인 것이며 경험을 통한 학습은 인간의 성장에 필수조건인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상오, "지식의 탄생" 한국문화사 2016

      2 Locke, J., "인간지성론 1,2" 한길사 2014

      3 고경화,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Ⅱ" 교육과학사 1998

      4 Rousseau, J. J., "에밀" 육문사 2006

      5 이돈희, "성장과 경험의 총체성을 지향하는 교육" 3-9, 2004

      6 노상우, "생태주의에서 본 현대교육학의 세 가지 과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 57-79, 2007

      7 이상오, "루소의『에밀』에 대한 교육철학적 해석: 인권문제와 관련하여" 한독교육학회 17 (17): 75-103, 2012

      8 Boyd, W., "루소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3

      9 Rousseau, J. J., "루소의 교육론 -에밀-" 양서원 1990

      10 구리나, "루소의 ‘소극적 교육’ 재해석: 「메논」과 「에밀」" 한국도덕교육학회 27 (27): 65-87, 2015

      1 이상오, "지식의 탄생" 한국문화사 2016

      2 Locke, J., "인간지성론 1,2" 한길사 2014

      3 고경화,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Ⅱ" 교육과학사 1998

      4 Rousseau, J. J., "에밀" 육문사 2006

      5 이돈희, "성장과 경험의 총체성을 지향하는 교육" 3-9, 2004

      6 노상우, "생태주의에서 본 현대교육학의 세 가지 과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 57-79, 2007

      7 이상오, "루소의『에밀』에 대한 교육철학적 해석: 인권문제와 관련하여" 한독교육학회 17 (17): 75-103, 2012

      8 Boyd, W., "루소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3

      9 Rousseau, J. J., "루소의 교육론 -에밀-" 양서원 1990

      10 구리나, "루소의 ‘소극적 교육’ 재해석: 「메논」과 「에밀」" 한국도덕교육학회 27 (27): 65-87, 2015

      11 Boyd, W., "루소 교육 소저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6

      12 윤선구, "라이프니츠의 로크비판에 관한 연구: 본유관념의 존재 증명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73 : 101-126, 2002

      13 Hamlyn, D. W., "교육인식론-경험과이해의 성장" 교육과학사 2010

      14 노상우, "교육의 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1998

      15 Locke, J., "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University Press 1880

      16 김동일, "Rousseau의 유아교육사상" 양서원 2004

      17 Jeffreys, M. V. C., "John locke: Prophet of common sense" Methuen & Co. Ltd 1967

      18 Neill, A., "John Locke: Critical assessments" Routledge 246-265, 1991

      19 Smith, S., "Ideas of the great educators" Barnes & Noble Books 1979

      20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A Penn State Electronic Classics Series Publication" Summary 193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1 1.91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8 1.8 2.36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