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상오, "지식의 탄생" 한국문화사 2016
2 Locke, J., "인간지성론 1,2" 한길사 2014
3 고경화,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Ⅱ" 교육과학사 1998
4 Rousseau, J. J., "에밀" 육문사 2006
5 이돈희, "성장과 경험의 총체성을 지향하는 교육" 3-9, 2004
6 노상우, "생태주의에서 본 현대교육학의 세 가지 과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 57-79, 2007
7 이상오, "루소의『에밀』에 대한 교육철학적 해석: 인권문제와 관련하여" 한독교육학회 17 (17): 75-103, 2012
8 Boyd, W., "루소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3
9 Rousseau, J. J., "루소의 교육론 -에밀-" 양서원 1990
10 구리나, "루소의 ‘소극적 교육’ 재해석: 「메논」과 「에밀」" 한국도덕교육학회 27 (27): 65-87, 2015
1 이상오, "지식의 탄생" 한국문화사 2016
2 Locke, J., "인간지성론 1,2" 한길사 2014
3 고경화,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Ⅱ" 교육과학사 1998
4 Rousseau, J. J., "에밀" 육문사 2006
5 이돈희, "성장과 경험의 총체성을 지향하는 교육" 3-9, 2004
6 노상우, "생태주의에서 본 현대교육학의 세 가지 과제" 한국교육철학학회 (39) : 57-79, 2007
7 이상오, "루소의『에밀』에 대한 교육철학적 해석: 인권문제와 관련하여" 한독교육학회 17 (17): 75-103, 2012
8 Boyd, W., "루소의 교육이론" 교육과학사 2013
9 Rousseau, J. J., "루소의 교육론 -에밀-" 양서원 1990
10 구리나, "루소의 ‘소극적 교육’ 재해석: 「메논」과 「에밀」" 한국도덕교육학회 27 (27): 65-87, 2015
11 Boyd, W., "루소 교육 소저작"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6
12 윤선구, "라이프니츠의 로크비판에 관한 연구: 본유관념의 존재 증명을 중심으로" 한국철학회 73 : 101-126, 2002
13 Hamlyn, D. W., "교육인식론-경험과이해의 성장" 교육과학사 2010
14 노상우, "교육의 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1998
15 Locke, J., "Some thoughts concerning education" University Press 1880
16 김동일, "Rousseau의 유아교육사상" 양서원 2004
17 Jeffreys, M. V. C., "John locke: Prophet of common sense" Methuen & Co. Ltd 1967
18 Neill, A., "John Locke: Critical assessments" Routledge 246-265, 1991
19 Smith, S., "Ideas of the great educators" Barnes & Noble Books 1979
20 Dewey, J., "Democracy and education. A Penn State Electronic Classics Series Publication" Summary 19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