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김재엽(2009)의 TSL 치료이론에 기초하여 가족의 긍정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인 TSL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SL 치료이론에 관한 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89164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73-195(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김재엽(2009)의 TSL 치료이론에 기초하여 가족의 긍정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인 TSL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SL 치료이론에 관한 문...
본 연구의 목적은 김재엽(2009)의 TSL 치료이론에 기초하여 가족의 긍정적 관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인 TSL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SL 치료이론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T파트, S파트, L파트를 인식과 실천으로 구분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2023년 10월 13일∼17일에 전국 20∼60대 성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예비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본 조사는 2023년 11월 21일∼29일에 실시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6개 하위요인 30문항을 도출하였고, 척도의 신뢰도 검증에서 내적 일관성의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준거 변인인 결혼만족도, 가족상호작용, 우울, 분노, 행복 척도 등과의 상관분석 실시를 통해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TSL척도 개발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SL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based on Kim Jae-yeop’s (2014) TSL Therapy Theory and to validate its validity. To achieve this, a literature review of TSL Therapy Theory was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SL scale for measuring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based on Kim Jae-yeop’s (2014) TSL Therapy Theory and to validate its validity. To achieve this, a literature review of TSL Therapy Theory was conducted, and items were developed by distinguishing TSL into perception and practice (expression and behavior). After expert review, preliminary items were drafted. A preliminary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3 to 17, 2023, with a nationwide sample of adults aged 20 to 60,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21 to 29, 2023. Throug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30 items across six sub-factors were derived, and the scale’s reli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tests. Finally, construct validity was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TSL scale development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경력단절여성 취업 지원 프로그램 성과연구-'뷰티풀라이프'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남성 이주민의 한국사회 적응 경험에 관한 연구
지역 내 초등방과후돌봄 서비스 공급과 여성 노동시장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