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국 공립미술관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동시대미술의 전시와 소통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미술관교육의 범주에서 동시대미술작품과 관람객 간의 소통적 방안을 확대할 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5075
-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국 공립미술관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동시대미술의 전시와 소통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미술관교육의 범주에서 동시대미술작품과 관람객 간의 소통적 방안을 확대할 수 ...
본 연구는 국내 국 공립미술관의 주요 기능 중 하나가 동시대미술의 전시와 소통이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미술관교육의 범주에서 동시대미술작품과 관람객 간의 소통적 방안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술관 교육에서 동시대미술과 대화적 학습에 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현장 조사를 통해 대화적 방법과 기존의 도슨트 방법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동시대미술의 소통방식으로 도슨트 프로그램이 지닌 한계를 탈피하는데 대화 프로그램이 유용함을 밝혔다. 동시대미술의 소통방식으로 대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실증하기 위해 부산시립미술관의 이우환스페이스에서 82명의 관람자 집단을 도슨트 프로그램과 대화 프로그램에 각각 참여시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화 프로그램이 도슨트 프로그램에 비해 작품의 이해도, 사고의 확장, 감상자의 적극적인 태도. 작품 감상에 대한 편안함 등 감상 효과가 높다는 사실이 검증되었다. 특히 조사에 대한 종합적인 결과에서 학습효과, 상호소통, 의미 만들기의 효과를 보여준 대화 프로그램은 담론 형성이라는 동시대미술의 동향과 의미 만들기를 지향하는 미술관 교육의 목표 양쪽을 동시에 충족시켜줄 수 있는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program and docent program in the education of art museum is analysed, with the theoretical and field study on the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 It clarified the limitations of docent program as one of ...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program and docent program in the education of art museum is analysed, with the theoretical and field study on the appreciation of contemporary art. It clarified the limitations of docent program as one of interactive methods of contemporary art and proposed the discussion, program as a supplement to explanatory manner in the intertextuality
A survey was implemented on the suitability of discussion, program by examining the sampled population of 82 participants in Lee UFan Space of Busan Museum of Art, resulting in that convers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meaning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art work, expansion of thinking, positive attitude and comfort, compared to docent program. It was particularly confirmed that discussion program met the both goals of discourse-forming in comtemporary art and meaning-making in education, which showed the effect of learning, interactive and making sense in the comprehensiv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