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반영된 독도 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614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apan’s insistence on the sovereignty of Dokdo has always influenced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s a sensitive political issue.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Dokdo depic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Korea’s independence after World War II, Dokdo became the territory of Korea. At that time, Dokdo was described as a Korean territory in Kor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but not in Japan. As the phrase “Reversion of Dokdo” o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September 1951 was excluded, President Syngman Rhee, in January 1952, declared the Peace Line to protect Korea’s fishing industry and Dokdo. In that period, Dokdo was described evidently as a territory to be protected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In Japan, on the other hand, only a small number of maps were included in the secondary school atlases, which mark Dokdo as a Japanese territory. That indicates Korea’s strong willingness to adhere to Dokdo, reflected in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번역하기

      Japan’s insistence on the sovereignty of Dokdo has always influenced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s a sensitive political issue.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Dokdo depic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and...

      Japan’s insistence on the sovereignty of Dokdo has always influenced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s a sensitive political issue.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of Dokdo depict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published in Korea and Japan before and after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Korea’s independence after World War II, Dokdo became the territory of Korea. At that time, Dokdo was described as a Korean territory in Korea’s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but not in Japan. As the phrase “Reversion of Dokdo” on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in September 1951 was excluded, President Syngman Rhee, in January 1952, declared the Peace Line to protect Korea’s fishing industry and Dokdo. In that period, Dokdo was described evidently as a territory to be protected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In Japan, on the other hand, only a small number of maps were included in the secondary school atlases, which mark Dokdo as a Japanese territory. That indicates Korea’s strong willingness to adhere to Dokdo, reflected in geography textbooks and school atla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태열, "해방이후부터 1950년대까지 중등 지리 교과서에서의 독도 및 동해 교육" 한국지리학회 1 (1): 1-9, 2012

      2 이지호, "한국지리" 을유출판사 1956

      3 조윤수, "한국의 평화선 선포와 일본의 독도정책" 54 : 21-29, 2011

      4 유봉호, "한국교육과정사 연구" 교학연구사 1992

      5 "한국 외교부 홈페이지"

      6 홍웅선, "최초의 사회생활과 교수 요목의 특징" 19 : 23-46, 1992

      7 최복현, "최신 국토지리" 민중서관 1956

      8 지도연구원, "초등지도 사학년용"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947

      9 전라북도 학무과, "초등 지리교본" 서울인쇄소 1946

      10 정 갑, "중학교·사회생활과 지리부분 우리 나라생활" 을유문화사 1949

      1 서태열, "해방이후부터 1950년대까지 중등 지리 교과서에서의 독도 및 동해 교육" 한국지리학회 1 (1): 1-9, 2012

      2 이지호, "한국지리" 을유출판사 1956

      3 조윤수, "한국의 평화선 선포와 일본의 독도정책" 54 : 21-29, 2011

      4 유봉호, "한국교육과정사 연구" 교학연구사 1992

      5 "한국 외교부 홈페이지"

      6 홍웅선, "최초의 사회생활과 교수 요목의 특징" 19 : 23-46, 1992

      7 최복현, "최신 국토지리" 민중서관 1956

      8 지도연구원, "초등지도 사학년용"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947

      9 전라북도 학무과, "초등 지리교본" 서울인쇄소 1946

      10 정 갑, "중학교·사회생활과 지리부분 우리 나라생활" 을유문화사 1949

      11 송기주, "중등학교·사회생활과 지리부분 우리나라지도" 삼문사 1949

      12 이봉수, "중등사회생활과(지리부) 우리나라의 생활부도" 동지사 1950

      13 육지수, "중등사회생활과(지리부) 우리나라의 생활부도" 동지사 1949

      14 박노식, "중등사회생활과 이웃나라지도" 동국문화사 1950

      15 지학사, "중등사회생활과 이웃나라지도" 동방문화사 1948

      16 최흥준, "중등 지리 우리나라" 박문출판사 1956

      17 정홍헌, "중등 조선지리" 정음사 1947

      18 육지수, "중등 사회생활과 우리나라의 생활(지리)" 장왕사 1950

      19 육지수, "중등 사회생활과 우리나라의 생활(지리)" 동지사 1950

      20 최복현, "중등 사회 생활과 최신 우리 나라 지리" 과학문화사 1950

      21 최복현, "중등 사회 생활과 우리나라 지리" 박문출판사 1949

      22 노도양, "중등 사회 생활과 우리 나라 지리 부분" 탐구당 1949

      23 이부성, "중등 사회 생활과 우리 나라 지리" 백영사 1950

      24 심정보, "조선총독부 편찬 다나카 게이지의 초등지리서에 나타난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2 (22): 25-42, 2014

      25 정홍헌, "조선지리" 정음사 1946

      26 임덕순, "정치지리학원리" 법문사 1997

      27 남상구, "전후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독도 기술추이와 현황" 1 : 176-209, 2011

      28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29 이지호, "인문지리" 을유출판사 1956

      30 정병준, "윌리암 시볼드(William J. Sebald)와 '독도분쟁'의 시발" 역사문제연구소 (71) : 140-170, 2005

      31 박노식, "우리나라지리" 동국문화사 1956

      32 강재호, "우리나라지리" 문화당 1957

      33 노도양, "우리나라지리" 탐구당 1956

      34 동지사, "우리나라의 생활 사학년용" 동지사 1947

      35 문교부, "우리나라의 생활 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948

      36 박노식, "우리나라 지리" 동방문화사 1950

      37 장창균, "우리나라 지리" 대동문화사 1959

      38 육지수, "우리나라" 동지사 1947

      39 서울신문사, "우리글 넌 지도 첫 출판"

      40 김상호, "우리 나라 지리" 일조각 1956

      41 이영택, "우리 나라 지리" 동아출판사 1960

      42 강대현, "우리 나라 지리" 홍지사 1956

      43 육지수, "우리 나라 지리" 장왕사 1956

      44 안송산, "우리 나라 지리" 서울출판사 1956

      45 이봉수, "새로운 우리 나라 지리" 일한도서출판사 1956

      46 노도양, "사회생활과용 중등국토지리부도" 문우사 1947

      47 지학사, "사회생활과용 중등국토지리부도" 문우사 1947

      48 정홍헌, "사회생활과 지리부 우리나라" 정음사 1949

      49 사서출판사, "사회생활과 우리나라지리·역사부도" 사서출판사 1949

      50 문교부, "사회생활과 5학년 소용 다른 나라의 생활 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949

      51 문교부, "사회생활(고장생활) 3~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955

      52 김연옥, "사회과 지리교육연구" 교육과학사 2003

      53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홈페이지"

      54 독도사전편찬위원회, "독도사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55 신석호, "독도 소속에 대하여" 1 : 89-100, 1948

      56 정병준, "독도 1947" 돌베개 2010

      57 신용하, "독도 130문 130답" 조선뉴스프레스 2011

      58 대한지리학회, "대한지리학회70년사 1945~2015" 대한지리학회 2016

      59 문교부, "다른나라의 생활 지도와 그림 1" 대한교과서 1950

      60 심정보, "근대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표현된 독도 관련 내용의 고찰" 독도연구소 (23) : 421-459, 2017

      61 日本敎科書學會, "高等社會科新地圖帖" 自由書院 1950

      62 冨田芳郞, "高等學校人文地理" 好學社 1955

      63 田中啓爾, "高等地圖" 日本書院 1955

      64 花井重次, "高等人文地理" 大日本雄辯會講談社 1954

      65 帷子二郞, "自然と人間-新しい人文地理" 帝國書院 1960

      66 田中薫, "日本の國土" 二葉株式會社 1957

      67 帝國書院編輯部, "新祥高等地圖" 帝國書院 1955

      68 佐々木淸治, "新制人文地理" 敎育圖書株式會社 1956

      69 山崎孝史, "政治·空間·場所" ナカニシヤ出版 2013

      70 大日本雄辯會講談社, "小學社會科地圖帳" 凸版印刷株式會社 1955

      71 田中啓爾, "小學校社會科地圖" 日本書院 1957

      72 西脇保幸, "地理敎育論序說" 二宮書店 1993

      73 朝鮮總督府, "初等地理書附圖"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1934

      74 朝鮮總督府, "初等地圖"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1943

      75 辻村太郞, "人文地理" 秀英出版 1957

      76 大日本雄辯會講談社, "中等社會科新地圖帖" 大日本雄辯會講談社 1951

      77 學校圖書株式會社, "中等社會科地圖帖" 學校圖書株式會社 1951

      78 村松繁樹, "中學社會日本と世界" 帝國書院 1954

      79 帝國書院編輯部, "THE NEW SCHOOL ATLAS (社會科地圖帖)" 帝國書院 1949

      80 村山祐司, "21世紀の地理-新しい地理教育" 朝倉書店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1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문화역사지리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0.93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