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民法總則 : 法令·學說·判例·一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863345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부연사, 2000

      • 발행연도

        2000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46.51 판사항(20)

      • ISBN

        898691607X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民法總則: 法令·學說·判例·一體 / 盧鍾千 編著.

      • 판사항

        제7개정판

      • 형태사항

        xii, 368 p.: 삽도; 27 cm.

      • 총서사항

        民法시리즈; 01 민법시리즈 (부연사) 01

      • 일반주기명

        색인포함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법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편 서론
      • [1] 民法의 意義 = 21
      • Ⅰ. 민법의 의의 = 21
      • Ⅱ. 법체계에서의 민법 = 26
      • 목차
      • 제1편 서론
      • [1] 民法의 意義 = 21
      • Ⅰ. 민법의 의의 = 21
      • Ⅱ. 법체계에서의 민법 = 26
      • [2] 民法의 法源 = 28
      • Ⅰ. 法源 = 28
      • Ⅱ. 民法의 法源 = 29
      • [3] 民法의 基本原理 = 35
      • Ⅰ. 서설 = 35
      • Ⅱ. 근대민법의 기본원리와 그 수정 = 35
      • Ⅲ. 우리 民法의 基本原理 = 36
      • [4] 民法의 效力·適用·解釋 = 37
      • Ⅰ. 民法의 效力 = 37
      • Ⅱ. 民法의 적용 = 38
      • Ⅲ. 민법의 해석 = 38
      • [5] 민법상의 권리의무 = 41
      • Ⅰ. 私權의 의의 = 41
      • Ⅱ. 私權의 종류 = 44
      • Ⅲ. 私權의 행사 = 47
      • Ⅳ. 私權의 공공성 = 47
      • Ⅴ. 私權의 보호 = 55
      • Ⅵ. 권리의 경합과 순위 = 56
      • 제2편 본론
      • 제1장 권리의무의 주체 = 61
      • [6] 權利能力 = 61
      • Ⅰ. 권리능력의 의의 = 61
      • Ⅱ. 권리능력의 始期와 終期 = 63
      • Ⅲ. 胎兒의 권리능력 = 67
      • Ⅳ. 외국인의 권리능력 = 72
      • [7] 行爲能力과 無能力者 = 77
      • Ⅰ. 행위능력 = 77
      • Ⅱ. 未成年者 = 79
      • Ⅲ. 限定治産者 = 86
      • Ⅳ. 禁治産者 = 89
      • [8] 住所 = 95
      • Ⅰ. 주소 = 95
      • Ⅱ. 居所·假住所 = 98
      • [9] 不在와 失踪 = 99
      • Ⅰ. 不在者 = 99
      • Ⅱ. 失踪宣告 = 102
      • Ⅲ. 사망의 입증곤란을 구제하기 위한 제도 = 108
      • [10] 법인서설 = 110
      • Ⅰ. 법인의 의의와 성질 = 110
      • Ⅱ. 法人의 종류 = 110
      • Ⅲ. 법인의 본질(법인학설) = 111
      • Ⅳ. 법인과 구별할 단체 = 113
      • [11] 법인의 설립 = 119
      • Ⅰ. 법인설립의 제주의 = 119
      • Ⅱ. 비영리법인의 설립 = 120
      • [12] 법인의 능력 = 124
      • Ⅰ. 법인의 권리능력 = 124
      • Ⅱ. 법인의 행위능력 = 126
      • Ⅲ. 법인의 不法行爲能力 = 126
      • [13] 법인의 기관과 주소 = 128
      • Ⅰ. 법인의 기관 = 128
      • Ⅱ. 법인의 주소 = 135
      • [14] 법인의 定款변경 = 135
      • Ⅰ. 사단법인의 정관변경 = 135
      • Ⅱ. 재단법인의 정관변경 = 136
      • [15] 법인의 소멸 = 138
      • Ⅰ. 법인소멸의 의의 = 138
      • Ⅱ. 법인의 解散 = 138
      • Ⅲ. 법인의 淸算 = 139
      • [16] 법인의 등기와 감독 = 144
      • Ⅰ. 법인의 등기 = 144
      • Ⅱ. 법인의 감독 = 146
      • Ⅲ. 벌칙 = 146
      • 제2장 권리의 객체 = 149
      • [17] 物件의 의의 = 149
      • [18] 물건의 종류 = 152
      • Ⅰ. 민법규정상의 물건 = 152
      • Ⅱ. 講學上의 물건 = 157
      • 제3장 권리의 변동 = 159
      • [19] 권리변동 서설 = 159
      • Ⅰ. 권리의 변동 = 159
      • Ⅱ. 법률관계 = 160
      • [20] 法律行爲 = 166
      • Ⅰ. 법률행위일반 = 166
      • Ⅱ. 법률행위의 종류 = 167
      • Ⅲ. 법률행위의 요건 = 168
      • Ⅳ. 법률행위의 목적 = 169
      • Ⅴ. 법률행위의 해석 = 182
      • [21] 의사표시 = 191
      • Ⅰ. 서설 = 191
      • Ⅱ. 의사표시의 구성요소 = 193
      • Ⅲ. 의사와 표시의 불일치 = 195
      • Ⅳ. 하자있는 의사표시 = 210
      • Ⅴ. 의사표시의 효력발생시기 = 216
      • Ⅵ. 의사표시의 수령능력 = 222
      • [22] 대리서설 = 224
      • Ⅰ. 대리의 의의·연혁·기능·본질 = 224
      • Ⅱ. 대리가 인정되는 범위 = 227
      • Ⅲ. 대리와 구별할 제도 = 230
      • Ⅳ. 대리의 종류 = 233
      • Ⅴ. 복대리 = 234
      • [23] 대리의 3면관계(대리의 법률관계) = 239
      • Ⅰ. 서 = 239
      • Ⅰ. 대리권의 의의·발생 = 240
      • Ⅱ. 대리권의 범위와 그 제한 = 245
      • Ⅲ. 대리권남용이론 = 249
      • Ⅳ. 대리권의 소멸 = 252
      • [25] 대리행위 = 256
      • Ⅰ. 대리의사의 표시(현명주의) = 256
      • Ⅱ. 대리인의 능력 = 260
      • Ⅲ. 대리행위의 효과 = 262
      • [26] 무권대리 = 264
      • Ⅰ. 서설 = 264
      • Ⅱ. 표현대리 = 265
      • Ⅲ. 협의의 무권대리 = 274
      • [27] 무효 = 281
      • Ⅰ. 서설 = 281
      • Ⅱ. 무효인 법률행위의 효과 = 290
      • Ⅲ. 무효행위의 전환 = 292
      • Ⅳ. 무효행위의 추인 = 295
      • [28] 취소 = 298
      • Ⅰ. 취소의 의의 = 298
      • Ⅱ. 취소권 = 300
      • Ⅲ. 취소의 효과 = 304
      • Ⅳ. 취소할 수 있는 법률행위의 추인 = 307
      • Ⅴ. 법정추인 = 309
      • Ⅵ. 취소권의 소멸 = 311
      • [29] 법률행위의 부관 = 314
      • Ⅰ. 법률행위의 부관 총설 = 314
      • Ⅱ. 기한 = 327
      • 제4장 기간 = 333
      • [30] 기간 = 333
      • Ⅰ. 기간의 의의 = 333
      • Ⅱ. 기간의 계산방법 = 333
      • 제5장 소멸시효 = 336
      • [31] 소멸시효 서설 = 336
      • Ⅰ. 시효제도의 의의 = 336
      • Ⅱ. 소멸시효제도와 유사한 제도 = 338
      • [32] 소멸시효의 요건 = 340
      • Ⅰ. 서설 = 341
      • Ⅱ. 소멸시효의 목적 = 341
      • Ⅲ. 권리의 불행사 = 344
      • Ⅳ. 소멸시효 기간 = 347
      • [33] 소멸시효의 중단 = 350
      • Ⅰ. 소멸시효 중단의 의의 = 350
      • Ⅱ. 소멸시효의 중단사유 = 350
      • Ⅲ. 소멸시효 중단의 효과 = 357
      • [34] 소멸시효의 정지 = 358
      • Ⅰ. 시효정지의 의의 = 358
      • Ⅱ. 시효정지 사유 = 358
      • [35] 소멸시효의 효력 = 361
      • Ⅰ.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 = 361
      • Ⅱ. 종속된 권리에 대한 소멸시효의 효력 = 365
      • Ⅲ. 시효이익의 포기 = 36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