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브랜드의 통합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공간 디자인과 마케팅>의 융합수업사례 = A Case Study on the Convergence Education of Space design and Marketing for Integrated Brand Ident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3286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브랜드의 통합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스페이스 디자인과 마케팅 교과목간의 융합수업사례를 준비과정, 수업운영 및 진행, 결과물 그리고 리뷰까지 순차적으로 정리 고찰함으...

      본 연구는 브랜드의 통합적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해 스페이스 디자인과 마케팅 교과목간의 융합수업사례를 준비과정, 수업운영 및 진행, 결과물 그리고 리뷰까지 순차적으로 정리 고찰함으로써 향후 교과목개발에 있어 좀 더 실효성있는 모형개발의 근간을 마련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자가 실제 수업지도에 참여한 2014 년 1 학기 S 여대 환경디자인학과의<브랜드스페이스마케팅>교과목을 대상으로 한 티칭포트폴리오 형식의 사례연구이다. 또한 본 연구는 각각의 전공교수(공간환경디자인 2 명, 마케팅 1 명)이 함께 15 주간 참여한 공동수업형태의 결과물로써 그 과정들을 문헌고찰과 실제적인 관찰기법을 비롯하여 결과물의 최종 리뷰의 정량적 분석을 그 방법으로 한다. 연구대상의 수업은 조별과제와 개인별과제로 진행한다. 구체적으로 조별과제는 전반부 1~7 주의 사물(物)과 이벤트(事), 후반부 8~15 주의 인물(人)과 장소(場)를 테마로 하고, 개인별과제는 1~15 주의 자기브랜드개발로 하여 모든 과정들을 관찰 기록하고 프로세스를 정리한다. 그 중 본 연구는 조별브랜드개발을 중심으로 창의적 디자인 프로세스를 전개하는 단계별, 物·事·人·場의4 가지 대상별로 각각 세부 분석한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는 디자인과 마케팅 전공교수가 융합하여 교육함으로써 향후 공간디자인 학생들에게 마케팅적 사고와 동시에 창의적 브랜드 디자인을 하는 교수법개발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브랜드를 개발함에 있어 그래픽 제품 공간 아이덴티티를 아우르는 통합적 디자인을 꾀한 것에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자기발견을 위한 개인브랜드를 개발함과 동시에 팀과의 융합을 꾀하는 양자 간의 균형을 도모하고, 창의적인디자인마케팅 융합교수법을 개발 수정 보완 개선하는 지속적인 과정을 통해 보다 실효성있는 수업내용을 구축한 것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pace that combines a design and marketing teaching model that would assist in educating future leaders with fused thinking skills. This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was conduct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4 at S Un...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pace that combines a design and marketing teaching model that would assist in educating future leaders with fused thinking skills. This study on Environmental Design was conducted during the first semester of 2014 at S University <Brand space marketing>. The case study is in regards to a teaching portfolio format for a course map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d each of the major faculty to the class in the form of joint participation during a 15 week as a result of the process and observation techniques literature that way. Subject to the observation of the present study <Brand space marketing> class courses are taught in team and personal challenges. Team challenges 1-7 during-week-15 were for things(物) and events(事), 8~15-for people(人) and places (場). Form week 1 to 13 personal challenges were set up to observe the recording and organizing process of self-care brand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what has developed is a teaching method for marketing in design focused on future students by professors, in the process becoming a fusion of a design and marketing team by teaching each class. In addition, they deserve a share of the value as interdisciplinary records and data on the results of map <brand marketing spa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장미정, "학문융합의 관점에 기반한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개발연구 : 중점 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 2015

      2 Schultz, Don E,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범우사 , 1993

      3 서영식, "융복합 교육을 위한 철학적 고찰" 철학논총 67 (1) : 145 ~ 163 , 2012

      4 Fauconnier, G,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개념적 혼성과 상상력의 수수께끼" 지호(도) , 2009

      5 이진민, "실내 디자인의 이해 : 프로세스 방법론" 서울예대 개발교재 , 1996

      6 이진민, "브랜드 스페이스 마케팅" 웅보출판사 , 2015

      7 "디지털타임즈 2012.3.29.1 면 기사"

      8 이문규, "디자인마케팅" 형설출판사 , 2004

      9 앨리나 휠러, "디자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비즈앤비즈 , 2012

      10 엘런 럽튼, "그래픽 디자인 씽킹" 비즈앤비즈 , 2012

      1 장미정, "학문융합의 관점에 기반한 공간연출디자인 교육과정개발연구 : 중점 교과목 개발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 2015

      2 Schultz, Don E,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범우사 , 1993

      3 서영식, "융복합 교육을 위한 철학적 고찰" 철학논총 67 (1) : 145 ~ 163 , 2012

      4 Fauconnier, G,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개념적 혼성과 상상력의 수수께끼" 지호(도) , 2009

      5 이진민, "실내 디자인의 이해 : 프로세스 방법론" 서울예대 개발교재 , 1996

      6 이진민, "브랜드 스페이스 마케팅" 웅보출판사 , 2015

      7 "디지털타임즈 2012.3.29.1 면 기사"

      8 이문규, "디자인마케팅" 형설출판사 , 2004

      9 앨리나 휠러, "디자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비즈앤비즈 , 2012

      10 엘런 럽튼, "그래픽 디자인 씽킹" 비즈앤비즈 , 2012

      11 강지영, "국내 교육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 (3) : 197 ~ 224 , 2011

      12 안소미, "공간디자인 교육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 웹 연계 공간디자인 교육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조사 -" 한국디자인포럼 (44) : 383 ~ 394 , 2014

      13 R, Ko, "デザインの教育、教育のデザイン" Special issue of japanese society for the science of design 20 (4) , 2013

      14 Sean Hall, "This Means This, This Means That: A User's Guide to Semiotics" Laurence King Publishing Ltd , 2008

      15 Don Koberg ž, "The Universal Traveler : A Soft-Systems Guide to : Creativity, Problem-Solving, and the Process of Reaching Goals" Axzo press ,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