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s)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SNS는 연령이나 직업 등 사용자의 배경과 무관하게 많은 사람들과 인맥 형성을 할 수 있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67501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87-1101(15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s)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SNS는 연령이나 직업 등 사용자의 배경과 무관하게 많은 사람들과 인맥 형성을 할 수 있고...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면서 SNS(Social Network Services)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SNS는 연령이나 직업 등 사용자의 배경과 무관하게 많은 사람들과 인맥 형성을 할 수 있고,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하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SNS의 장점을 악용하는 역기능이 이슈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계정 생성이 간편하고 인증절차 없이 가입할 수 있는 점을 통해 한 사용자가 다수의 계정을 생성하여 광고성 글 게재, 악성 댓글 등 악성 행위를 하거나, 친구관계를 맺어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것을 꼽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세계적으로 가장 점유율이 높은 SNS인 페이스북을 연구대상으로 정한다. 따라서 페이스북 사용자들로부터 생성되는 정보를 안전하게 공유하고 서로 간의 신뢰관계를 보장하며, 악성 행위를 하는 사용자나 봇을 판단하기 위해 사용자의 행동을 기반으로 신뢰기준을 선정하여 이에 따른 신뢰점수를 사용자 계정에 적용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people are connected to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hrough smart devices. Social Network Services are tools that transport information fast and easily. It does not care where he or she comes from. A lot of information circulates and is shared ...
Most people are connected to Social Network Services (SNS) through smart devices. Social Network Services are tools that transport information fast and easily. It does not care where he or she comes from. A lot of information circulates and is shar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but Social Network Services faults are magnified and becoming a serious issue. For instance, malicious users generate multiple IDs easily on Facebook and he can use personal information of others on purpose, because most people tend to undoubtedly accept friend requests. In this paper, we have specified research scope to Facebook, which is one of most popular Social Network Services in the world. We propose a way of minimizing the number of malicious actions on Facebook from malignant users and malicious bots by setting criteria and applying reputation syste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동적 사용자 신뢰도 평가 스킴" 한국정보보호학회 23 (23): 157-168, 2013
2 유덕훈, "국방정보보호를 위한 軍 SNS 보호프로파일(PP)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4 (14): 41-52, 2013
3 S. Leow, "You Don't Know Me But I Can Be Your Friend? Accepting Strangers as Friends in Facebook"
4 Pew Internet, "Why most Facebook users get more than they give" 2012
5 C. Dwyer, "Trust and privacy concern within social networking sites: A comparison of Facebook and MySpace" 2007
6 P. Resnick, "Trust among strangers in internet transactions: Empirical analysis of eBay' s reputation system"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127-157, 2002
7 Y. Boshmaf, "The Socialbot Network: When Bots Socialize for Fame and Money" 93-102, 2011
8 Symantec, "The Risks of Social Networking" Symantec Security Response 1-28, 2010
9 Miyata Kakuko, "Society Relation Capital and the Internet Communication Books" 2010
10 Kiyeong Noh, "Social media and cooperation in society" Hanul Academy 248-278, 2012
1 이창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동적 사용자 신뢰도 평가 스킴" 한국정보보호학회 23 (23): 157-168, 2013
2 유덕훈, "국방정보보호를 위한 軍 SNS 보호프로파일(PP)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4 (14): 41-52, 2013
3 S. Leow, "You Don't Know Me But I Can Be Your Friend? Accepting Strangers as Friends in Facebook"
4 Pew Internet, "Why most Facebook users get more than they give" 2012
5 C. Dwyer, "Trust and privacy concern within social networking sites: A comparison of Facebook and MySpace" 2007
6 P. Resnick, "Trust among strangers in internet transactions: Empirical analysis of eBay' s reputation system"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127-157, 2002
7 Y. Boshmaf, "The Socialbot Network: When Bots Socialize for Fame and Money" 93-102, 2011
8 Symantec, "The Risks of Social Networking" Symantec Security Response 1-28, 2010
9 Miyata Kakuko, "Society Relation Capital and the Internet Communication Books" 2010
10 Kiyeong Noh, "Social media and cooperation in society" Hanul Academy 248-278, 2012
11 D. Boyd,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13): 2007
12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ociety, "Social Network Services" Company and Politics 25-46, 2012
13 W. Chen, "Social Network Collaborative Filtering Framework and Online Trust Factors: a Case Study on Facebook" 266-273, 2010
14 J. Gibbs, "Self-control and Its Manifesta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 Empirical Test of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12 : 231-235, 1995
15 InternetTrend, "SNS Visitors Traffic"
16 Jinhyung. Lee, "SNS Diffusion and Trends" 44 : 54-59, 2012
17 Digital Journal, "Review: The latest Facebook scams to watch out for"
18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Research on Reputation System for Online Trust" 2009
19 Plurk, "Plurk Karma"
20 Myosub Um, "Personal and Society Interactions" Novel Media 2009
21 Soosang Lee, "Network Analysis Methods" Nonhyeong 370-, 2013
22 B. Debatin, "Facebook and Online Privacy: Attitudes, Behaviors, and Unintended Consequences" 15 (15): 83-108, 2009
23 Mornitoring.com, "Facebook 2012 – Facts and Figures"
24 FOAF, "FOAF Vocabulary Specification 0.98"
25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FACEBOOK REQUESTS FROM STRANGERS: Does Acceptance Differ by Gender of Requestor?" 2011
26 S. Yardi, "Detecting spam in a Twitter network" 2010
27 F. Benevenuto, "Detecting Spammers on Twitter" 2010
28 J.A Golbeck, "Computing and Applying Trust in Web-based Social Networks" Digital Repository at the University of Maryland 2005
29 N. Chau, "A two dimentional trust model based on communication behaviors of mutual friends in Social Networks" 2012
사이버 보안 연구 프레임워크로써의 Emulab 활용 동향 연구
GOOSE 프로토콜 환경에서 Snort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 개발
SNS에서 개인정보유출방지를 위한 개인정보 유출위험도 측정 방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4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 | 0.508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