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어미 상승 현상과 조사와의 공기관계에 관한 고찰-일본어 모어화자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f UPTALK associated with conjunctive particles.-Examining differences between Seoul dialect speakers` performances and Northern Kanto dialect speaker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에 나타나는 조사와의 공기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한국인의 어미 상승 현상은 그들의 모국어인 서울 방언이 갖는 무악센트 라...

      본 논문은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에 나타나는 조사와의 공기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한국인의 어미 상승 현상은 그들의 모국어인 서울 방언이 갖는 무악센트 라고 하는 언어적 특징에 크게 영향을 받은 현상이라는 지적이 있다. 하지만 최근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 중에서도 젊은 여성을 중심으로 어미 상승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모국어 화자를 모방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
      선행 연구는 일본어 모국어 화자의 어미 상승 현상을 담화 상의 의미를 갖는 접속조사 등의 조사와 공기가 많은 것을 그 원인이라는 지적도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한국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이 접속 조사 등과 빈번하게 공기현상이 발생한 경우 일본어 모국어 화자와 동일한 발화 의도를 갖고, 그 반대로 특정한 조사와의 공기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특히 발화 의도를 갖지 않고 모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발현된 언어적인 습관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
      이 가설 검증을 실시한 키타노의 연구(2016)에서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가 접속 조사와의 공기를 많이 보인다고 하는 주장에 대해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아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상승현상은 모방이 아닌 언어적인 습관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실험에서 이용된 문장이 각각 다른 내용이었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연구와 분석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같은 문장을 낭독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 연구와 동일하게 특정 조사와의 공기관계는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 모국어 화자의 어미 상승 현상은 발화 의도를 가지지 않는 모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것이라는 가설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Korean Learners` UPTALK associated with conjunctive particles. Previous researches has shown that Korean first language Japanese learner`s UPTALK is not a only conscious language behavior and that it ...

      This paper describes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Korean Learners` UPTALK associated with conjunctive particles. Previous researches has shown that Korean first language Japanese learner`s UPTALK is not a only conscious language behavior and that it is simp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Seoul dialect, which is known as a non-accent language.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Korean learners are trying to imitate native Japanese speakers` UPTALK behavior, especially among young females, as UPTALK has been observed in actual conversations. It is known by conventional researchers that Japanese native speakers tend to display UPTALKs at the conjunctive particles and the UPTALKs at the conjunctive particles seem to have more conscious meaning. Therefore, if Korean learners` UPTALKs are not present at the conjunctive particles, such would support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simple language behavior influenced by their non-accent language and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My previous research (Kitano 2015), provided evidence that Seoul dialect speakers`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influenced by their non-accent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However, the analysis for that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different sample language for each participant, which may have led to inaccurate results. In order to complement previous findings, additional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same sample language for each participant. The results of this additional analysis shows clear differences between Korean first language Japanese learn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of UPTALKs`. Korean learners of Japanese show UPTALKs at the case-marking particles,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especially young female, show their UPTALKs at the conjunctive particles. Such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only language behavior influenced by their non-accent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