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22개 지점을 대상으로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가능최대강수량(PMP)을 산정하는데 있어 신뢰성 있는 강우자료의 최소기간이 제안되며, 제안된 최소기간 이하일 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22918
2017
-
530
KCI등재
학술저널
369-375(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22개 지점을 대상으로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가능최대강수량(PMP)을 산정하는데 있어 신뢰성 있는 강우자료의 최소기간이 제안되며, 제안된 최소기간 이하일 경...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22개 지점을 대상으로 통계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가능최대강수량(PMP)을 산정하는데 있어 신뢰성
있는 강우자료의 최소기간이 제안되며, 제안된 최소기간 이하일 경우 이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식이 제안된다. 최소기간을
제안하기 위해 모의발생기법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연 최대 1일 강우량을 추출하여 자료기간에 따른 PMP를 추정하였으며,
자료기간에 따른 PMP의 표준편차와 실제 관측된 연 최대 1일 강우량의 표준편차와의 비교를 통하여 신뢰성 있는 PMP
산정에 필요한 최소기간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최소기간은 43년으로 선정되었으며, 무작위 발생된 PMP에서 상⋅하위 25%를
제외한 후 지수함수 회귀식을 통해 보정 공식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minimum period of rainfall data is proposed for estimating reliabl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22 station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a correction formula for compensating P...
In this study, a minimum period of rainfall data is proposed for estimating reliabl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using statistical methods for 22 stations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a correction formula for compensating PMP is proposed when the data period is below the proposed minimum period. In order to propose the minimum period, PMP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data period by extracting annual maximum daily rainfall randomly with a stochastic technique, and the minimum period required for reliable PMP estimation was determined by the comparison between the standard deviation of PMPs with varios data periods and
that of observed annual maximum daily rainfall. As a result, the minimum period was 43-year, and the correction formula was proposed by the exponential regression equation after excluding the upper and lower 25% of the randomly generated PMP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나래, "기후변화 시나리오(RCP)를 이용한 도시지역 빗물펌프장의 미래 필요용량 산정" 한국방재학회 13 (13): 299-309, 2013
2 박민규, "극치호우사상에 기초한 설계강우의 지속기간" 한국방재학회 11 (11): 293-304, 2011
3 서린, "극치강우자료의 경향성에 대한 시간적 변동 전망" 한국습지학회 12 (12): 13-24, 2010
4 Kim, D. H., "Rainfall Frequency Analysis using RCP Scenarios in the Korean Peninsula" Inha University 2014
5 김덕환, "RCP 시나리오를 고려한 극치통계분석 및 빈도해석" 한국습지학회 15 (15): 595-607, 2013
6 정세진,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극한지수 변화 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089-1101, 2013
7 Schreiner, L.C.,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estimates, U.S. east of the 105th meridian" 1978
8 "PMP and PMF estimation procedure guidelines established servic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8
9 Hershfield, D. M.,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57 : 965-972, 1961
10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Manual for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WMO 1986
1 강나래, "기후변화 시나리오(RCP)를 이용한 도시지역 빗물펌프장의 미래 필요용량 산정" 한국방재학회 13 (13): 299-309, 2013
2 박민규, "극치호우사상에 기초한 설계강우의 지속기간" 한국방재학회 11 (11): 293-304, 2011
3 서린, "극치강우자료의 경향성에 대한 시간적 변동 전망" 한국습지학회 12 (12): 13-24, 2010
4 Kim, D. H., "Rainfall Frequency Analysis using RCP Scenarios in the Korean Peninsula" Inha University 2014
5 김덕환, "RCP 시나리오를 고려한 극치통계분석 및 빈도해석" 한국습지학회 15 (15): 595-607, 2013
6 정세진,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극한지수 변화 전망"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089-1101, 2013
7 Schreiner, L.C.,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estimates, U.S. east of the 105th meridian" 1978
8 "PMP and PMF estimation procedure guidelines established service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8
9 Hershfield, D. M.,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57 : 965-972, 1961
10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Manual for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WMO 1986
11 "Design Flood Estimation trick"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2
12 심규범, "AR5 RCPs에 따른 우리나라 1일 가능최대강우량 산정" 한국방재학회 15 (15): 273-280, 2015
13 최유진, "1일 가능최대강수량 추세분석" 한국방재학회 15 (15): 369-375, 2015
이중관형 지중열교환기의 유입유량에 따른 관내 유체흐름특성에 관한 연구
상전이물질의 혼입이 삼성분계 모르타르의 수화열 및 강도특성에 미치는 영향
화재성장률에 따른 축소모형에서의 연기성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3 | 0.43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1 | 0.4 | 0.602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