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행정업무를 구체적으로 교무실 업무와 행정실 업무로 나누고, 교무실 업무 가운데 교원들이 담당하는 것...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6946107
2011
-
교무실 업무 ; 핵심업무 ; 부수업무 ; 업무조정 ; teachers' workload ; primary work ; secondary work ; work rearrangement
371
KCI등재
학술저널
215-245(31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행정업무를 구체적으로 교무실 업무와 행정실 업무로 나누고, 교무실 업무 가운데 교원들이 담당하는 것...
본 연구는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행정업무를 구체적으로 교무실 업무와 행정실 업무로 나누고, 교무실 업무 가운데 교원들이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 업무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합리적인 업무 조정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교직원들을 대상으로 교원들이 담당하고 있는 업무 및 교무업무 담당 변경이 필요한 업무를 조사ㆍ분석하고, 교원들이 교수ㆍ학습이라는 본연의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무업무 조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무실 업무 가운데 교원이 담당하기보다는 행정실에서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 업무, 교무행정 보조인력이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 업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무실 업무를 교수ㆍ학습활동과 학생관련 업무로 나누어 직ㆍ간접적 관련성을 기준으로 사분면으로 구분하여, 교무실 업무 중 교사들이 담당해야할 핵심업무와 부수적인 업무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교무실 업무를 조정할 경우 학교행정의 합리성과 효율성이 증대될 것이며, 교원들은 교육활동에 보다 전념할 수 있게 되어 학교교육의 질이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said that teachers' heavy workload is the great obstacle to the quality teaching. Actually, most of teachers are not in a good situation to devote themselves to teaching because of lots of nonessential duties. So the government acknowledges teac...
It is said that teachers' heavy workload is the great obstacle to the quality teaching. Actually, most of teachers are not in a good situation to devote themselves to teaching because of lots of nonessential duties. So the government acknowledges teachers' workload should be cut down and makes measure to reduce the workload of teachers for the quality teach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ers' work and reallocate them properly according to the nature of work. Consequently, it will help teachers with heavy workload focus on teaching.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ll of the teachers' work in schools were analyzed based on survey data, which were administer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 efficient job division was made according to the work nature ba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related work and student-related work. Through these process, the primary work and secondary work of teachers are proposed.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policy recommendations are suggested to reduce teachers' workload in teaching and non-teaching duties. The unnecessary official documents from superior authorities should be restrained and the number of supporting staff should be increased. The principal centered leadership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n maximum autonomy in operation should be allow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종희, "행정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정영수, "학교업무체계 효율화를 위한 교직원 직무분석" 경기도교육청 2010
3 박영숙, "학교급별, 직급별, 취득자격별 교원 직무 수행기준에 관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4 신상명,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잡무 경감방안, In 교원잡무경감 입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1-25, 2009
5 신현석, "학교 교무행정 지원인력 배치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6 서정화, "교육인사행정" 세영사 1995
7 경기도교육청, "교원행정업무경감 관련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한 이행계획 보도자료"
8 한유경, "교원직무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9 한국교총, "교원잡무경감을 위한 한국교총의 요구" 2010
10 서정화, "교원잡무경감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81
1 노종희, "행정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2
2 정영수, "학교업무체계 효율화를 위한 교직원 직무분석" 경기도교육청 2010
3 박영숙, "학교급별, 직급별, 취득자격별 교원 직무 수행기준에 관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9
4 신상명, "학교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원잡무 경감방안, In 교원잡무경감 입법을 위한 공청회 자료집" 1-25, 2009
5 신현석, "학교 교무행정 지원인력 배치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6 서정화, "교육인사행정" 세영사 1995
7 경기도교육청, "교원행정업무경감 관련 개선 요구 사항에 대한 이행계획 보도자료"
8 한유경, "교원직무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2006
9 한국교총, "교원잡무경감을 위한 한국교총의 요구" 2010
10 서정화, "교원잡무경감방안" 한국교육개발원 1981
11 김이경, "교원의 직무 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12 주삼환, "교원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사의 직무 수행 모형 개발 연구" 서울특별시 중부교육청 1996
13 신상명, "교원의 잡무 경감 방안 연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2007
14 이인회, "교원업무경감을 위한 교무행정 업무처리모형 개발 연구" 한국지방교육연구센터 2010
15 양성관, "교원업무경감 방안의 조건, In 교원업무경감 방안의 방향과 과제" 2010
16 서울시교육청, "교원업무 정상화 방안 보도자료"
17 교육부, "교원근무부담경감개선대책 시᛫도관계관 회의. 회의자료. 1995.5.12"
18 교육과학기술부, "교원 업무경감 및 전문성 제고방안, 지역교육청 기능ㆍ조직 개편방안" 2010
19 김이경, "교사 업무부담 증가 요인 및 개선 전략 탐색, In 교원업무경감 방안의 방향과 과제" 2010
20 NBPTS, "What teacher should know and be able to do"
21 Meyer, J. W., "The structure of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Environments and organizations" Jossey-Bass 1978
22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OECD 교육지표 조사결과 발표, 보도자료, 2011.9.14"
23 서울시 교육청, "2009년도 교원업무경감 추진계획" 2009
변화주도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사례연구: Fullan의 교육변화 관점에서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교과영역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수상경험 및 임원경험을 중심으로
성인학습자의 선행경험으로 인한 학습방해 과정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기간제 교사의 학교에서의 삶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43 | 1.43 | 1.6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 | 1.69 | 2.047 | 0.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