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통하는 학교 문화를 위한 공론장의 역할: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 The Role of Public Sphere for Communicating School Culture: Focusing on Haberma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709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하버마스(Harbermas. J) 의 ‘공론장’ 개념을 통해 소통하는 학교문화를 진단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교문화는 위계성, 관료성, 수직성 등의 경직된 은유로 교육 주체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이는 학교 민주주의를 방해하는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진보교육의 중요한 의제인 학교 민주주의화는 학교문화의 실질적인 변화가 없이는 현장에 착근되기 어려운 과제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소통하는 학교 문화가 곧 학교 민주주의화를 이루는 핵심 변수라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진단 한다. 하버마스는 이성을 강조하지만 그 이성을 전면화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후퇴한 이성을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해명하며, 이는 공론장에서 대등한 인격체들의 담론적 의사소통행위를 통해 그대로 드러난다. 교육의 과제는 이러한 담론적 의사소통행위에 참여할 리더들을 기르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현재 영재교육은 자연과학 영역에 치우쳐 있지만 인문 분야의 영재교육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문 분야의 영재교육을 통해 길러진 리더들이 사회통합의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문 영재교육은 교육이라는 복합적인 영역 안에서도 훌륭한 리더를 요청하는 사회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제도이다. 소통하는 학교문화는 공론장의 역동성을 인식하고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의 다양한 갈등을 의사소통적 행위를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행위 주체를 어떻게 길러낼 수 있는지의 문제와 연결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하버마스(Harbermas. J) 의 ‘공론장’ 개념을 통해 소통하는 학교문화를 진단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교문화는 위계성, 관료성, 수직성 등의 경직된 은유로 ...

      이 논문의 주된 목적은 하버마스(Harbermas. J) 의 ‘공론장’ 개념을 통해 소통하는 학교문화를 진단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학교문화는 위계성, 관료성, 수직성 등의 경직된 은유로 교육 주체들에게 인식되고 있다. 이는 학교 민주주의를 방해하는 요소라고 말할 수 있다. 진보교육의 중요한 의제인 학교 민주주의화는 학교문화의 실질적인 변화가 없이는 현장에 착근되기 어려운 과제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소통하는 학교 문화가 곧 학교 민주주의화를 이루는 핵심 변수라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을 통해 진단 한다. 하버마스는 이성을 강조하지만 그 이성을 전면화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후퇴한 이성을 통해 보편적인 인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해명하며, 이는 공론장에서 대등한 인격체들의 담론적 의사소통행위를 통해 그대로 드러난다. 교육의 과제는 이러한 담론적 의사소통행위에 참여할 리더들을 기르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현재 영재교육은 자연과학 영역에 치우쳐 있지만 인문 분야의 영재교육의 역할 또한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인문 분야의 영재교육을 통해 길러진 리더들이 사회통합의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문 영재교육은 교육이라는 복합적인 영역 안에서도 훌륭한 리더를 요청하는 사회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제도이다. 소통하는 학교문화는 공론장의 역동성을 인식하고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의 다양한 갈등을 의사소통적 행위를 바탕으로 해결할 수 있는 행위 주체를 어떻게 길러낼 수 있는지의 문제와 연결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school culture communicating through the concept of 'public sphere' of Harbermas.J and to suggest alternatives. School culture is perceived by educational subjects as rigid metaphors such as hierarchy, bureaucracy, and verticality. This can be said to be an obstacle to school democracy. School democratization, which is an important agenda of progressive education, is a task that is difficult to integrate into the field without substantive changes in school culture.
      Based on this consciousness,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school culture that communicates is a key variable for school democratization and diagnoses it through Habermas' communication theory. Habermas emphasizes the reason but does not prioritize the reason. In other words, through the retreating reason, the process of universal human communication is clarified, and this is revealed through the discursive communicative action of equal personalities in the public sphere. It can be said that the task of education is to raise leaders to participate in these discursive communication activities.
      Currently, gifted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the natural sciences, but the role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is also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leaders raised through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re likely to play a key role in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humanities gifted education is a system that can reflect the demands of a society that demand good leaders even in the complex area of e d ucation. The communicating school culture is connect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raise the people who can recognize the dynamics of the public sphere and solve various conflic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based on communicative actions.
      번역하기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school culture communicating through the concept of 'public sphere' of Harbermas.J and to suggest alternatives. School culture is perceived by educational subjects as rigid metaphors such as hierarch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school culture communicating through the concept of 'public sphere' of Harbermas.J and to suggest alternatives. School culture is perceived by educational subjects as rigid metaphors such as hierarchy, bureaucracy, and verticality. This can be said to be an obstacle to school democracy. School democratization, which is an important agenda of progressive education, is a task that is difficult to integrate into the field without substantive changes in school culture.
      Based on this consciousness, this study points out that the school culture that communicates is a key variable for school democratization and diagnoses it through Habermas' communication theory. Habermas emphasizes the reason but does not prioritize the reason. In other words, through the retreating reason, the process of universal human communication is clarified, and this is revealed through the discursive communicative action of equal personalities in the public sphere. It can be said that the task of education is to raise leaders to participate in these discursive communication activities.
      Currently, gifted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the natural sciences, but the role of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is also very important. This is because leaders raised through gifted education in the humanities are likely to play a key role in social integration. Therefore, humanities gifted education is a system that can reflect the demands of a society that demand good leaders even in the complex area of e d ucation. The communicating school culture is connect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raise the people who can recognize the dynamics of the public sphere and solve various conflict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pheres based on communicative action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