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管虎, "金剛川"
2 클라우스 뮐한, "현대 중국의 탄생" 너머북스 2023
3 한담, "탈혁명시대 중국 항미원조 기억 서사의 난처함― 영화 「나의 전쟁」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87) : 57-85, 2018
4 홍서현, "지난 해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 세계1위… 주선율 영화 가장 주목"
5 황슈지, "중국현대문학발전사" 범우사 1990
6 백지운, "중국인들의 한국전쟁, 항미원조" 창비 2023
7 김경석, "중국의 근대조선인식, 그 임계점의 문예형상화 ― 중국현대소설의 조선인형상에 대한 一考" 한국중국소설학회 (34) : 147-166, 2011
8 한담, "중국, ‘항미원조’ 아닌 평화의 가치로 한국전쟁 기억해야"
9 이기환, "중국 애국주의 영화 원조는 「상감령」"
10 이선이, "동아시아 근대 한인론의 지형" 소명출판 2012
1 管虎, "金剛川"
2 클라우스 뮐한, "현대 중국의 탄생" 너머북스 2023
3 한담, "탈혁명시대 중국 항미원조 기억 서사의 난처함― 영화 「나의 전쟁」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87) : 57-85, 2018
4 홍서현, "지난 해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 세계1위… 주선율 영화 가장 주목"
5 황슈지, "중국현대문학발전사" 범우사 1990
6 백지운, "중국인들의 한국전쟁, 항미원조" 창비 2023
7 김경석, "중국의 근대조선인식, 그 임계점의 문예형상화 ― 중국현대소설의 조선인형상에 대한 一考" 한국중국소설학회 (34) : 147-166, 2011
8 한담, "중국, ‘항미원조’ 아닌 평화의 가치로 한국전쟁 기억해야"
9 이기환, "중국 애국주의 영화 원조는 「상감령」"
10 이선이, "동아시아 근대 한인론의 지형" 소명출판 2012
11 최승현, "근대 중국인의 한국관 변화과정 연구" 중국인문학회 (30) : 517-534, 2005
12 陳獨秀, "陳獨秀著作選 제1권" 上海人民出版社 1993
13 陳凱歌, "長津湖之水門橋"
14 陳凱歌, "長津湖"
15 郭沫若, "郭沫若選集』(文學卷)" 人民文學出版社 1983
16 董亞春, "跨過鴨綠江"
17 蕭軍, "蕭軍五十年文集" 黑龍江人民出版社 1981
18 武兆堤, "英雄兒女"
19 舒群, "舒群集" 黑龍江大學出版社 2011
20 朴明熙, "淸末民初時期 中國朝野의 對韓國觀*―5·4時期 中國 關內의 言論을 中心으로―" 중국근현대사학회 (22) : 1-34, 2004
21 김종훈, "中 방송 ‘항미원조’ 드라마 긴급 편성…‘윤석열 연설’ 의식했나"
22 沙蒙, "上甘嶺"
23 張藝謀, "一秒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