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양명희, "한국어교육에서의 유사 문법 연구" 3 (3): 253-278, 2017
2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4단계)" 국립국어원 2015
3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3단계)" 국립국어원 2014
4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2단계)" 국립국어원 2013
5 김경화 ; 김정남, "한국어 이유 표현 ‘-느라고’와 ‘-는 바람에’에 대하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2 : 1-23, 2012
6 최수정, "한국어 유의 문법 교육을 위한 의미 중심 문법항목 범주화연구" 연세대학교 2022
7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유형 분류 연구" 영주어문학회 36 : 277-306, 2017
8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선정 연구" 고려대학교 2017
9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내용 기술 방안: ‘-으면/-면’과 ‘-거든’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07-127, 2019
10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개념 연구" 인문사회 21 8 (8): 1019-1036, 2017
1 양명희, "한국어교육에서의 유사 문법 연구" 3 (3): 253-278, 2017
2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4단계)" 국립국어원 2015
3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3단계)" 국립국어원 2014
4 양명희, "한국어교육 문법·표현 내용 개발 연구(2단계)" 국립국어원 2013
5 김경화 ; 김정남, "한국어 이유 표현 ‘-느라고’와 ‘-는 바람에’에 대하여" 한국텍스트언어학회 32 : 1-23, 2012
6 최수정, "한국어 유의 문법 교육을 위한 의미 중심 문법항목 범주화연구" 연세대학교 2022
7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유형 분류 연구" 영주어문학회 36 : 277-306, 2017
8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선정 연구" 고려대학교 2017
9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내용 기술 방안: ‘-으면/-면’과 ‘-거든’을 중심으로" 한국문법교육학회 107-127, 2019
10 이지용,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개념 연구" 인문사회 21 8 (8): 1019-1036, 2017
11 박근희, "한국어 유사 문법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65-493, 2019
12 유혜영, "한국어 유사 문법 교육을 위한 수업 단계별 교육 방안 연구:심층 면접을 통한 학습자 요구 분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2016
13 유해준, "한국어 유사 기능 문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79-93, 2017
14 한송화, "한국어 보조용언의 상적 기능과 양태 기능, 화해적 기능에대한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1 (11): 189-209, 2000
15 이미혜, "한국어 문법 항목 교육 연구" 박이정 2005
16 김수정,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연결 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17 홍종명 ; 이준호 ; 안정호, "한국어 교재의 평가 기준 설정 연구–국내외 사례 연구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51 : 79-117, 2020
18 민현식, "한국어 교재의 실태 및 대안"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7 : 5-60, 2000
19 안주호, "한국어 교육에서의 [원인] 연결어미에 대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 (13): 159-180, 2002
20 유해준,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 ‘-고’와 ‘-아/어서’의 교육 내용 연구" 중앙어문학회 67 : 317-332, 2016
21 김영선, "한국어 교육 교재의 평가 기준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7 (17): 1-20, 2006
22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2 (12): 199-232, 2001
23 이희자, "학국어 학습 전문가용 어미·조사 사전" 한국문화사 2010
24 김민영, "텍스트 유형에 따른 한국어의 시제 기능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25 이미혜, "이화 한국어1-1, 이화 한국어 1-2" Epress 2010
26 이수행, "이화 한국어 6" Epress 2012
27 이정연, "이화 한국어 5" Epress 2012
28 윤영, "이화 한국어 4" Epress 2011
29 구재희, "이화 한국어 3-1, 이화 한국어 3-2" Epress 2011
30 김현진, "이화 한국어 2-1, 이화 한국어 2-2" Epress 2010
31 진정란, "유의표현 ‘-느라고, -는 바람에, -거든’의 교육문법 정보"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 (1): 179-200, 2005
32 유해준, "유사 기능의 한국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 ‘-아/어서, -(으)니까,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61 : 515-538, 2015
33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34 한송화,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교재 분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331-362, 2003
35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연세 한국어 1-1~연세 한국어 6-2"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3
36 강현화, "어휘접근적 문법교수를 위한 표현문형의 화행기능 분석 -‘-어야 하다/되다’를 사례로-" 한국어의미학회 26 : 21-46, 2008
37 윤하라, "성균 한국어어휘·문법 4" 하우 2019
38 이연희, "성균 한국어 어휘·문법 6-1, 성균 한국어 어휘·문법 6-2" 하우 2019
39 현원숙, "성균 한국어 어휘·문법 5-1, 성균 한국어 어휘·문법 5-2" 하우 2019
40 박현수, "성균 한국어 어휘·문법 3" 하우 2019
41 이수미, "성균 한국어 어휘·문법 2" 하우 2019
42 이수미, "성균 한국어 어휘·문법 1" 하우 2018
43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 1A~서울대 한국어 6B" 투판즈 2013
44 김정남, "보조용언 '놓다'와 '두다'의 양태적 의미" 한국어의미학회 36 : 65-89, 2011
45 이지용, "말뭉치를 활용한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내용 기술" 중앙어문학회 78 : 379-417, 2019
46 강현화, "담화 기능에 따른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 연구" 한글파크 2017
47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2단계" 국립국어원 2011
48 김중섭, "국제 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 모형 개발" 국립국어원 2010
49 황인교, "국내‧외 한국어 교재 분석*"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8 : 287-329, 2003
50 유해준, "교육문법으로서의 한국어 유사 문법 연구" 중앙어문학회 85 : 425-449, 2021
51 <경희 한국어> 교재 편찬위원회, "경희 한국어 초급1 문법 ~ 경희한국어 고급2 문법"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52 <경희 한국어> 교재 편찬위원회, "경희 한국어 문법 1 ~ 경희 한국어 문법 6" 하우 2014
53 徐鍾學, "韓國語 敎材의 학습내용에 대한 實際的 評價 -Lukoff(1993)을 對象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0 (30): 299-324,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