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유전자 도입을 통한 신품종 오차드그래스를 개발할 목적으로 Agrobacterium을 이용한 효율적인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였다. 오차드그래스 성숙종자 유래의 캘러스를 standard binary vector인 p...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297963
2006
Korean
521
KCI등재
학술저널
193-198(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용유전자 도입을 통한 신품종 오차드그래스를 개발할 목적으로 Agrobacterium을 이용한 효율적인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였다. 오차드그래스 성숙종자 유래의 캘러스를 standard binary vector인 p...
유용유전자 도입을 통한 신품종 오차드그래스를 개발할 목적으로 Agrobacterium을 이용한 효율적인 형질전환 체계를 확립하였다. 오차드그래스 성숙종자 유래의 캘러스를 standard binary vector인 pIG121Hm을 가지고 있는 Agrobacterium을 이용하여 감염시킨 후 공동배양하여 형질전환 시켰다. Agrobacterium을 이용한 형질전환에 있어서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AS 첨가와 오차드그래스 품종에 따른 캘러스의 형질전환 효율의 차이를 GUS 유전자의 발현정도로 조사하였다. ‘Roughricer’ 품종의 형질전환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Agrobacterium 감염시에 접종배지와 공동배양배지에 200 ?M 의 AS를 첨가해 주었을 때 형질전환 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 ㎎/L의 hygromycin이 첨가된 선발배지에서 살아남은 캘러스로부터 정상적인 식물체가 재분화 되었으며 이들 형질전환체에 대한 GUS 염색과 PCR 분석을 실시한 결과 발현벡터의 T-DNA 영역이 형질전환식물체의 genome에 성공적으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립된 효율적인 형질전환 시스템은 환경스트레스 내성 신품종 오차드그래스의 개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ffects of acetosyringone and on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orchardgrass were investigated. Embryogenic calli induced from 3 varieties, Frontier, Potomac and Roughrider, were infected and co-cultured with Agrobacterium EHA101 carrying s...
Effects of acetosyringone and on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orchardgrass were investigated. Embryogenic calli induced from 3 varieties, Frontier, Potomac and Roughrider, were infected and co-cultured with Agrobacterium EHA101 carrying standard binary vector pIG121Hm encoding the hygromycin phosphotransferase (HPT), neomycin phosphotransferase II (NPTII) and intron-containing β-glucuronidase (intron-GUS) genes in the T-DNA region. The effects of varieties and acetosyringone (AS) concentrations on transforma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GUS gene were investigated. Inclusion of 200 μM AS in inoculation and co-cultivation media lea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stable transformation efficiency. Hygromycin resistant calli were developed into complete plants via somatic embryogenesis. GUS histochemical assay and PCR analysis of transgenic plants demonstrated that transgenes were integrated into the genome of orchardgrass.
목차 (Table of Contents)
미생물 발효제 처리 돈분액비 시용이 사료작물생산성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상에 미치는 영향
KSGS Board of Directors (FY 2006)
오차드그래스의 품종이 캘러스배양과 식물체 재분화에 미치는 영향
맥주박 첨가 섬유질 배합사료가 거세흑염소의 생산성 및 영양소 이용율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