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대 통일의식과 대학 통일교육의 과제 = The Task of Unification Education at Colleg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774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Under the premise that unification education could be regarded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Korean unification, this article provides some ways for initiating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n this vein, this paper examines levels of consciousness on unific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long with the general decline of consciousness regarding unification issues, recent survey results show widespread indifference towards and ignorance of North Korea throughout the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develop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s to reorganize the official curriculum to provide extensive and comprehensive formal schooling. In addition,unification education has to utilize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stimulate active participation. Furthermore college as an intellectual community has to try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research and education on unification-related issues.
      번역하기

      Under the premise that unification education could be regarded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Korean unification, this article provides some ways for initiating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n this vein, this paper examines levels of cons...

      Under the premise that unification education could be regarded as a necessary condition for Korean unification, this article provides some ways for initiating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n this vein, this paper examines levels of consciousness on unification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ir twenties. Along with the general decline of consciousness regarding unification issues, recent survey results show widespread indifference towards and ignorance of North Korea throughout the South Korean college students.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of unification education,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develop unification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is to reorganize the official curriculum to provide extensive and comprehensive formal schooling. In addition,unification education has to utilize various teaching methods that stimulate active participation. Furthermore college as an intellectual community has to try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research and education on unification-related issu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 통일교육은 초중등학교 통일교육과 사회통일교육의 경계 내지 주변에 위치해 있다. 그 결과체계적인 접근은 물론 통일교육 자체의 중요성에대한 인식도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연령상 20대에 해당하는 우리 사회의 대학생들은 사실상 남북한 통일을 준비하고 통일시대를 선도해야 할 중심세대라는 점에서 이들의 통일의식과 통일의지는중요한 요인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포함하는 우리 사회 20대의 통일의식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 통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 사회의 20대는 전반적으로 북한에 대한 관심과 이해 수준이 낮고, 남북한 통일에 대해서도 점차 무관심해지고 있다. 또한 통일문제를 당위적 감정적 차원보다는 실리적 이성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점차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한 통일을 이끌어 갈 통일세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대학 통일교육의 위상과 기능을회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통일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는 가운데 대학 통일교육 전반에 걸친 재구조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반 위에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정의 유기적 조화, 오프라인과 온라인 교육의 통합, 그리고 남북한 관계 및통일문제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균형을 추구해야할 것이다.
      번역하기

      대학 통일교육은 초중등학교 통일교육과 사회통일교육의 경계 내지 주변에 위치해 있다. 그 결과체계적인 접근은 물론 통일교육 자체의 중요성에대한 인식도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연령...

      대학 통일교육은 초중등학교 통일교육과 사회통일교육의 경계 내지 주변에 위치해 있다. 그 결과체계적인 접근은 물론 통일교육 자체의 중요성에대한 인식도 부족한 실정이다. 하지만 연령상 20대에 해당하는 우리 사회의 대학생들은 사실상 남북한 통일을 준비하고 통일시대를 선도해야 할 중심세대라는 점에서 이들의 통일의식과 통일의지는중요한 요인이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포함하는 우리 사회 20대의 통일의식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 통일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우리 사회의 20대는 전반적으로 북한에 대한 관심과 이해 수준이 낮고, 남북한 통일에 대해서도 점차 무관심해지고 있다. 또한 통일문제를 당위적 감정적 차원보다는 실리적 이성적 차원에서 접근하는 경향이 점차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한 통일을 이끌어 갈 통일세대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대학 통일교육의 위상과 기능을회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통일의 당위성과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확산되는 가운데 대학 통일교육 전반에 걸친 재구조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반 위에공식적 비공식적 교육과정의 유기적 조화, 오프라인과 온라인 교육의 통합, 그리고 남북한 관계 및통일문제에 관한 연구와 교육의 균형을 추구해야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옥, "통일의 의미와 통일의식의 내적구조, In 남북한 사회통합의 길- 그 현 황과 전망" 금왕출판사 2001

      2 "통일부"

      3 최진욱, "통일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분단 관리에서 통일 대비로, In 한반도 통일과 주변4국" 늘품 플러스 2011

      4 강성윤, "통일교육표준화방안연구" 2005

      5 정용하, "통일교육 방식과 내용에 따른 통일 평화의식의 변화"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321-356, 2005

      6 은기수, "통일과 북한에 관한 사회조사의 동향과 실태" 2 (2): 2010

      7 고성준, "청소년 대상 통일 필요성 논리 개발" 2010

      8 변창구, "제1장 한국 통일교육의 쟁점과 방향 - 남남갈등을 중심으로 -"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9-36, 2010

      9 송정호, "이명박 정부의 통일교육정책과 통일교육 거버넌스의 개선방향"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0 (10): 165-187, 2009

      10 김근식, "연합과 연방: 통일방안의 폐쇄성과 통일과정의 개방성 - 6·15 공동선헌 2항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19 (19): 6-176, 2003

      1 김현옥, "통일의 의미와 통일의식의 내적구조, In 남북한 사회통합의 길- 그 현 황과 전망" 금왕출판사 2001

      2 "통일부"

      3 최진욱, "통일담론의 새로운 패러다임: 분단 관리에서 통일 대비로, In 한반도 통일과 주변4국" 늘품 플러스 2011

      4 강성윤, "통일교육표준화방안연구" 2005

      5 정용하, "통일교육 방식과 내용에 따른 통일 평화의식의 변화"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6) : 321-356, 2005

      6 은기수, "통일과 북한에 관한 사회조사의 동향과 실태" 2 (2): 2010

      7 고성준, "청소년 대상 통일 필요성 논리 개발" 2010

      8 변창구, "제1장 한국 통일교육의 쟁점과 방향 - 남남갈등을 중심으로 -" 한국통일전략학회 10 (10): 9-36, 2010

      9 송정호, "이명박 정부의 통일교육정책과 통일교육 거버넌스의 개선방향"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0 (10): 165-187, 2009

      10 김근식, "연합과 연방: 통일방안의 폐쇄성과 통일과정의 개방성 - 6·15 공동선헌 2항을 중심으로" 극동문제연구소 19 (19): 6-176, 2003

      11 원준호, "신패러다임 통일교육 구현방안" 통일연구원 2005

      12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13 김진하, "분단관리 대북정책의 문제점 진단 및 향후 과제" 2010

      14 이경태, "바람직한 대학통일교육방향" 대한정치학회 11 (11): 233-256, 2004

      15 "대학통일문제연구소 협의회"

      16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대학생 평화·통일의식조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4

      17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대학생 통일의식조사 보고서"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2010

      18 변종헌, "대학 통일교육의 역설과 활성화 방안" 한국윤리학회 1 (1): 303-325, 2010

      19 함택영, "남북한 평화체제의 건설과 통일교육: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의 수렴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9 (9): 33-60, 2003

      20 차승주,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에서의 통일교육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2010

      21 성장환, "교대생들의 통일비용에 관한 의식 조사연구" 대한정치학회 10 (10): 189-218, 2002

      22 김재한, "DMZ평화답사" 오름 2006

      23 박명규, "2011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통일평화연구원 2011

      24 박명규, "2010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통일평화연구원 2010

      25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9년도 청년통일의식조사"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9

      26 박명규, "2009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9

      27 박명규, "2008 통일의식조사" 통일평화연구소 2008

      28 김병조, "2007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연구소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0 학술지등록 한글명 : 통일정책연구
      외국어명 : Unification Policy Studies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8 1.82 2.05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