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초기의 貞洞街와 일대 유적 출토 근대도자의 성격과 특징 = Jeongdong Street in Early Modern Era and Character and Features of Modern Ceramics from the Rui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146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analyzes the modern ceramic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the Jeongdong district in Seoul where diplomatic corporations, bureaucrats, missionaries, and educators who had traveled to Joseon since the signing of the treaty with Western emirat...

      This thesis analyzes the modern ceramics excavated from the ruins of the Jeongdong district in Seoul where diplomatic corporations, bureaucrats, missionaries, and educators who had traveled to Joseon since the signing of the treaty with Western emirates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were collectively residents.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se items as excavated items. Excavations from the Jeongdong area, referred to as the ‘Legation Quarters’, are symbols that can be causally interpreted to understand not only the real life of the demanding subject but also its aspect and age. The ruins of Jeongdong Street are located in a place where modern and Western antiquities are concentrated and excavated, and can be assumed to relate closely to the ruins and the royal family. As such, Jeongdong has been the first settlement of westerners since the flowering period, and has provided a place for competition for political diplomacy and interest in Korea and played a role as a bridgehead to advance into other regions.
      Especially, in order to expand the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for their own countries, it was presumed that Western traditions were often performed by the local public offices and Westerners, who were the main residents, preferred Western ceramics imported or imported from their countries rather than Japanese porcelain or Joseon white porcelain.
      Therefore, the excavated artifacts of Jeongdong Street, which is a cluster of the early modern Westerners, proved to be a relic directly reflecting the lifestyle of the contemporaries of the time, and it is unique as a modern reli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개항 이후 구미열강들과의 수호조약 체결 이후 조선으로 도항했던 외교 공사, 관료, 선교사, 교육자 등이 집단적으로 거주했던 서울 정동 일대의 유적에서 발굴되는 근대도자를 ...

      본 논문은 개항 이후 구미열강들과의 수호조약 체결 이후 조선으로 도항했던 외교 공사, 관료, 선교사, 교육자 등이 집단적으로 거주했던 서울 정동 일대의 유적에서 발굴되는 근대도자를 분석하고 이 도자들이 지니고 있는 성격과 특징을 소비지유적 출토품으로 고찰하는데 있다. 소위 공사관 거리(Legation Quarters)로 일컫는 정동 일대의 유적 출토품들은 수요주체의 실생활은 물론 그 양상과 연원을 파악할 수 있는 인과론적 해석이 가능한 상징물이다. 특히 정동가의 유적은 근대기 서양자기가 집중 발굴된 지역으로써, 인근의 유적,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상정해 볼 수 있는 위치에 놓여있다. 이처럼 정동가는 개화기 이래 서양인들의 최초 정착지이면서 對조선 정치외교와 이권경쟁의 장이 마련되었고, 타 지역으로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자국을 위한 정치경제적 권력 확장을 위해 각국 공사관에서는 서양식 연회를 수시 베풀었고, 이 때문인지 주 거주자였던 서양인들은 일본자기나 조선백자보다 자국에서 들여오거나 수입한 서양자기를 선호하며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근대 초기 서양인들의 밀집지인 정동가의 출토 유물은 당대 이국인의 생활상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근대 유적으로서는 유일무이한 경우로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광식, "한국무역의 역사"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4

      2 金鍾憲, "슈페이예르와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조선 내 외교활동―1884~1894" 대동문화연구원 (61) : 125-163, 2008

      3 서울예술학원, "서울중구정동1-45번지유적" 2013

      4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서울統計資料集" 大韓帝國時期篇 1996

      5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서울 행당동 주개장 유적 : 서울 행정구역 도시개발사업부지내 문화유적 시·발굴조사" 2011

      6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종로구 무악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정밀발굴조사 보고서" 2018

      7 (재)고려문화재연구원, "서울 정동 유적"

      8 서울예술학원,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 유적" 2016

      9 엄승희, "서울 中區지역 유적 출토 근대 도자" 한국미술사학회 296 (296): 139-174, 2017

      10 장실, "러시아근대문화의 형성과 외국문화의 영향" 14 : 54-59, 1998

      1 최광식, "한국무역의 역사" 재단법인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4

      2 金鍾憲, "슈페이예르와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조선 내 외교활동―1884~1894" 대동문화연구원 (61) : 125-163, 2008

      3 서울예술학원, "서울중구정동1-45번지유적" 2013

      4 서울특별시시사편찬위원회, "서울統計資料集" 大韓帝國時期篇 1996

      5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서울 행당동 주개장 유적 : 서울 행정구역 도시개발사업부지내 문화유적 시·발굴조사" 2011

      6 한울문화재연구원, "서울 종로구 무악2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부지 내 유적 정밀발굴조사 보고서" 2018

      7 (재)고려문화재연구원, "서울 정동 유적"

      8 서울예술학원, "서울 구 러시아공사관 유적" 2016

      9 엄승희, "서울 中區지역 유적 출토 근대 도자" 한국미술사학회 296 (296): 139-174, 2017

      10 장실, "러시아근대문화의 형성과 외국문화의 영향" 14 : 54-59, 1998

      11 홍지인, "다시 만나는 이웃 러시아 : 2010 한러수교 20주년 기념전"

      12 엄승희, "근대전환기 국내 사료 분석을 통한 서양자기 사용실태 연구 : 식기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3 : 123-153, 2017

      13 김갑득, "구한말 정동 외인 거주지와 건축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14 김정신, "구한말 서울 정동의 러시아공사관에 대한 복원적 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19 (19): 61-78, 2010

      15 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 "구한국외교문서(日案)1"

      16 전정해, "광무년간의 산업화 정책과 프랑스 자본․인력의 활용" 84 : 3-8, 1999

      17 서정현, "광무개혁기 정동의 공간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8 이덕주, "개화와 선교의 요람 정동이야기" 대한기독교서회 2002

      19 이규진, "개화기(1876~1910) 서양음식에 대한 인식과 수용" 한국식생활문화학회 30 (30): 714-725, 2015

      20 류대영, "개화기 조선과 미국 선교사"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4

      21 이정희, "개항기 근대식 궁정연회의 성립과 공연문화사적 의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2 "高宗實錄"

      23 朴敏善, "韓國近代 貞洞派의 政治的性格에 關한 一考察 (1894-1897)"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3

      24 中島浩氣, "肥前陶磁史考" 靑潮社 1985

      25 統監府, "第1次 統監府統計年報"

      26 "獨立新聞"

      27 "梅泉野錄"

      28 朝鮮建築學會, "朝鮮と建築 26" 朝鮮建築會 1935

      29 "宮內府去來文牒"

      30 R, Hildyard, "European Ceramics" Victoria & Albert Museum 2009

      31 최경화, "18 19세기 日本 磁器의 유입과 전개양상" 한국미술연구소 (29) : 197-22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4-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 The Korea Association of Art&Desig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3-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논총 -> 조형디자인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 Society of Craft -> Th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공예학회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영문명 : Korea Society Of Craft -> THE KOREA SOCIETY OF ART&DESIGN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1 0.58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